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해식 작곡 대금독주곡 <저 소리> 분석연구 : An Analysis on Composed by Lee Haesik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혜정

Advisor
김승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금이해식대금독주곡저 소리연주법창작음악DaegeumLee Haesiksolo daegeum pieceperformance techniquesnew composi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0. 8. 김승근.
Abstract
본 연구는 이해식 대금독주곡 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악곡의 선율과 리듬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주해석에 대해 고찰하였다. 작품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곡구조는 단악장 형식이며 장단으로 구성된 구간을 제외하고 크게 A, B, C, D 4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져 있다. 선율의 유사성과 반복, 구조음에 따라 총 18개의 세부 악절로 나눌 수 있다. A는 ⓐ,ⓑ,ⓒ,ⓓ 네 악절로 B는 ⓔ,ⓕ,ⓖ 세 악절로 C는ⓗ,ⓘ,ⓙ,ⓗ′,ⓚ,ⓛ 여섯 악절로 D는 ⓜ,ⓜ′,ⓐ′,ⓝ,ⓞ 다섯 악절로 나누어 구분된다.
둘째, 선율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A단락과 D단락에서는 주제선율이 반복되어 나타나고 나머지 단락에서도 선율의 반복 및 동형진행을 통해 동기(motive)의 변주수법이 나타난다. 또한, 다양한 음계의 출현과 변화음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악곡을 전개하는 모습을 보인다.
셋째, 대금연주자가 대금선율연주 전과 후에 직접 장구를 연주하여 악곡의 악작과 악지를 알린다. 이는 대금창작곡에서 첫 시도이며 작곡가의 개성이 나타나는 부분이다. 악곡은 모데라토(Moderato) 빠르기와 4/4박의 동일한 박자로 진행되지만, 당김음·악센트·다박자를 활용하여 고정된 박자와 리듬에서 탈피하는 역동적인 리듬 형태가 나타난다.
넷째, 이 곡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대금 주법은 꾸밈음과 전통음악적 요소인 농음·퇴성이다. 꾸밈음은 짧은 앞꾸밈음과 5음음계로 구성된 확장된 형태의 앞꾸밈음을 사용하여 하행과 상행하는 선율을 강조하였다. 농음과 퇴성은 작곡자만의 표기법을 사용하였고 표현방법을 연주자의 재량에 맡김으로써 전통적인 어법에 국한되지 않고 그 의미를 확장시킨다.
다섯째, 연주해석은 대금 주법과 악상기호 해석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대금 주법과 악상기호는 악곡의 전반부에만 주로 나타나며 작곡자만의 표기법으로 제시되어있기 때문에 연주자들에게 독자적인 해석 연주법을 요구한다. 필자는 악곡에 사용된 대금 주법에 대한 표현법을 제시하였고 다이나믹의 변화와 세부적인 음형을 고찰하여 악곡 전반에 대한 효과적인 연주해석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대금독주곡 는 전통적 요소와 현대음악적인 특성이 공존하는 작품이다. 전통음악기법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계와 리듬을 사용하여 다채로운 변화가 나타나고, 대금연주자가 장구와 대금을 한 작품에서 연주하는 형태는 대금독주곡의 새로운 형식을 모색하였다.
This thesis analyzes the melody and rhythm of Lee Haesiks solo daegeum piece and examines the ways that performers can interpret the piec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my analysis.

First, is a single movement piece and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A, B, C, and D) with an additional section based on jangdan. These four sections can be divided into 18 passages according to their melodic similarity and repetition and structural notes. Each section is divided as follows: the A section into four passages (ⓐ,ⓑ,ⓒ,ⓓ), the B section into three passages(ⓔ,ⓕ,ⓖ), the C section into six passages(ⓗ,ⓘ,ⓙ,ⓗ′,ⓚ,ⓛ), and the D section into five passages(ⓜ,ⓜ′,ⓐ′,ⓝ,ⓞ).
Second, through melodic analysis I found that the melodic theme is repeated in the A and D sections and that variations of the motive are presented through a melodic repetition and scale sequence. Various scales and altered notes are also used as the piece develops.
Third, the daegeum player plays the janggu before and after playing the daegeum to announce akjak(the beginning of music) and akji(the end of music). This was the first attempt for new compositions for daegeum and it demonstrates the composers characteristics. The tempo(moderato) and meter(4/4) of the piece do not change; however, despite the fixed tempo and meter, the use of syncopation, accents, and multi-meter creates dynamic rhythmic patterns.
Fourth, daegeum techniques featured in this piece are ornamentations and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vibrato and toeseong(a descending slide to smoothly connect a note to the note below). I found that ornamentations including short appoggiatura and expanded appoggiatura comprising of a pentatonic scale are used to emphasize the descending and ascending melodies. Moreover, he uses his own symbols for vibrato and toeseong, leaving its interpretation to individual performers, which allows performers to explore its meaning beyond tradition.
Fifth,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musical interpretation of the piece by focusing on daegeum techniques and musical symbols. The daegeum techniques discussed above and musical symbols can be found predominantly in the first half of the piece. Because they are indicated with the composers own terms, it requires individual performers interpretation of the piece. In this thesis, I suggest the effective ways to interpret daegeum techniques and the overall piece by examining the changes in dynamics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notes.
In conclusion, solo daegeum piece features both elements of traditional and modern music. Based on the traditional musical techniques, the piece presents various changes using diverse scales and rhythmic phrases. At the same time, this was an attempt to explore a new form of solo daegeum piece that the daegeum player plays both the janggu and daegeum within the same pie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34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4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