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7세기 전반 비로자나 삼방불좌상 연구 : A Study of Early Seventeenth-Century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 Statu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지용

Advisor
이주형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歸信寺禪雲寺金山寺비로자나 삼방불祝聖의례願堂17세기GeumsansaGwisinsaSeonunsa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wondangroyal bless rituals17th centur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0. 8. 이주형.
Abstract
본고는 17세기 전반에 조성되었던 (이하 ), (이하 ), (이하 )의 의례적 기능과 도상 선택의 이유 나아가 이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배경을 검토하여 세 불상의 조성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에 앞서 삼신불, 약사불, 미타불의 5불 구성이 비로자나불, 약사불, 미타불의 구성과 동일한 개념임을 전제로 논의하도록 하겠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우선 비로자나 삼방불상의 의례적 기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세 불상은 17세기 초에 조성되어 주불전 내에 봉안되었다. 불상이 의례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불상의 도상과 의례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17세기 주불전 내부에서 설행되었던 의례를 검토하였다. 『운수단가사』, 『영산대회작법절차』는 16세기 중반에 간행된 공양의식집으로 주불전 내부에서 일상적으로 설행되는 의례를 보여준다. 이 의식집들에는 15세기 공양 의식집과 달리 축성(祝聖)의례가 공양 의례 안에 포함되었고, 별도의 축성의례를 수록하였다. 따라서 공양의례와 축성의례의 대상이 곧 주불전 내부에 적합한 도상으로 선택되었을 것이다.
의식집을 살펴본 결과 이 의례에 요구되는 도상은 방위를 나타내는 제불(諸佛)이었다. 특히 석가 삼방불은 축성의례의 대상으로 명확하게 지시되었으며, 동시에 방위를 나타내는 여래였기 때문에 17세기부터 유행할 수 있었다. 비로자나 삼방불 도상은 여말선초부터 공간적 차원의 여래로 수용되었다. 따라서 , , 도 명종대 변화된 의례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같은 시기에 동일한 개념을 가진 석가, 약사, 미타의 석가 삼방불이 유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주 일대에 위치한 세 사찰에서만 비로자나 삼방불 도상이 선택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세 사찰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해명될 수 있다. 양식적 분석을 통해 금산사-귀신사-선운사상의 순서로 조성되었음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도상이 금산사를 시작으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귀신사, 선운사에 전파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산사는 세조와 덕원군에 의해 15세기 후반에 중창되면서 비로자나 5불상이 조성되었다. 이 불상군의 의례적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동시기에 제작된 15세기 비로자나 삼방불, 5불 도상의 의례적 기능을 검토한 결과 비로자나 5불 도상이 축성의례와 연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세조대 조성된 금산사 비로자나 5불상도 동일하게 축성의례의 대상으로 기능했을 것이다.
17세기 초 금산사 재건역 때 비로자나 5불 도상이 조성되었다. 이전에 조성되었던 도상을 그대로 복원했다는 점에서 이전에 조성된 불상의 의례적 기능을 인지하고 복원했을 가능성이 있다. 전쟁으로 소실된 후 3년 만에 금산사 재건이 시작되었다는 점, 형식적으로 이 17세기 통례와 다르다는 점, 축성의례의 공간인 대웅전에 봉안되었다는 세 가지 사실을 통해 이전에 조성되었던 5불상의 존재와 의례적 기능을 인지했던 사실이 확인된다. 따라서 17세기 초 조성된 도 축성의례의 대상으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귀신사와 선운사에서 동일한 개념을 가진 도상의 불상이 조성되었다. 조성의 선후관계를 보아 금산사의 영향 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의도하고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다음의 세 가지 측면을 바탕으로 이를 해명해 보았다. 첫째, 귀신사와 선운사는 재건 이전에 존재했던 전각과 존상을 복원할 수 있었지만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비로자나 삼방불 도상의 선택이 외부적 요소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금산사가 도내 수사찰이었기 때문에 인근 지역 불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귀신사와 선운사 재건역에 참여한 금산사 승려들로부터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셋째, , 의 봉안공간과 두 사찰의 가람배치를 통해 금산사와 동일한 의례적 맥락을 고려했던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은 축성의례의 대상으로 조성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인근 사찰에서 동일한 의미, 기능을 가진 존상이 요구되었을 때 금산사 승려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에게 익숙한 도상을 적용했던 것이다. 따라서 이 세 불상의 조성은 기능적 측면에서 보자면 축성의례의 대상이라는 점이 강조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들 세 불상은 모두 대형으로 조성되었다. 이것을 가능하게 했던 경제적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귀신사의 경우 무경자수의 「귀신사 사적기」에 인조의 친부 원종대왕이 재건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필자는 해당 구절을 원종에 의한 귀신사 절수로 해석하였다. 즉 의 조성 배경에는 궁방의 절수원당이라는 경제적 요소가 작용하였다. 금산사와 선운사는 조선 초기에 원당으로 지정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를 해석하기 위해 대형불상을 조성한 다른 사찰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들 모두 15-16세기부터 왕실과 관련되었던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왕실과 관련된 사찰이 전후 대규모로 빠르게 재건되었던 것이다. 그 원인으로 왕실과 원당의 경제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명종대 내원당 정책과 내원당전의 분급은 왕실과 사찰 사이의 경제적 유착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관계는 전후 재건역 당시에도 반영되었고 왕실 관련 사찰의 이른 시기 대규모 재건으로 이어졌다. 금산사와 선운사의 이른 재건과 대형 불상 조성은 왕실과 원당의 경제적 관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세 사찰에 조성된 불상의 의의는 이러한 배경에서 파악될 수 있다. 축성의례의 대상인 삼방불상의 조성은 충의 실천이자 왕실, 관료의 재건역 허가와 후원에 대한 종교적 차원의 반대급부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삼방불상의 조성은 국가와 불교계 사이의 공생관계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This thesis studies th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of the first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which consist of Vairocana, Bhaisajyaguru and Amitabha Buddha. Specifically, I focus on the Vairocana five directional Buddhas of Geumsansa Temple (金山寺), Gimj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of Gwisinsa Temple (歸信寺), Gimje, and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of Seonunsa Temple (禪雲寺), Gochang. Iconography of these statues represents three directions which are the East, Center, and West, each corresponding to Bhaisajaguru, Vairocana and Amitabha. This thes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Vairocana five directional Buddhas and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are interpreted as same concepts. I argue that these statues were utilized in the royal bless ritual, and that the socio-economic context significantly affected the function of the images.
First I examine the ritual function of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The three temples' statues were created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were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s. Since the Buddha statues were the object of the ritual, there must have been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statues and the ritual. Therefore, I analyze the rituals that were performed in the main Buddha Hall in the 17th century. Wunsudangasa (雲水壇歌詞) and Yeongsandaehoejagbeobjeolcha (靈山大會作法節次) are 16th-century manual books for gongyang, or offering rituals. These two ritual manuals were routinely performed at the main Buddha Hall.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bless ritual for kings was newly listed in the ritual manuals mentioned above, and was compiled as an independent manual book as well. This ritual required the image of Buddha which encompasses all directions; since th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symbolizes all directions, thos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are likely to have been the focus of such rituals.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were created only in these three temples located near Jeonju. This can be explained throug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temples. Buddha statues of the three temples were created in the order of Geumsansa-Gwisinsa-Seonunsa. Based on stylistic analysis, it can be assumed that this iconography was spread by Geumsansa Temple's Vairocana five directional Buddhas. Geumsansa Temple was rebuilt in the late 15th century by King Sejo and Prince Deokwon. At this time, the Vairocana five directional Buddhas were created. Geumsansa Vairocana five Buddhas, patronized by King Sejo, served as the object of the bless ritual for king. Subsequently, Geumsansa statues were destroyed by the war and restored to the same iconography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fact that the restored version followed the original iconography indicates that the monks of Geumsansa Temple were aware of the ritual function of the iconography. The restored statues were also 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 where the bless ritual was performed.
The Vairocana three Buddhas statues of other two temples seem to have performed the same ritual function as the Geumsansa Vairocana five Buddhas. This is supported by these two facts: first, the Gwisinsa and Seonunsa statues were both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 of each temple; second, these two temples were under the influence of Geumsansa Temple. The monks of Geumsansa Temple participated in rebuilding Gwisinsa Temple and Seonunsa Temple. Therefor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of Gwisinsa and Seonunsa were influenced by the Geumsansa five Buddhas. Consequently, the bless ritual for kings is the key to understanding both the iconography and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main Buddha Hall.
The Buddha groups of three temples are monumental in their scales, being created at a comparatively early period. I argue that this can be explained in the economic context. Gwisinsa Temple was designated as a royal temple, wondang (願堂), by the royal family. Geumsansa Temple and Seonunsa Temple had been the royal temple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royal temples belonged to the royal family's financial institution, Naesusa (內需司), and paid tribute to the royal family. In other words, the Wondang Temple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royal finances. When the Wondang Temple was destroyed by the Imjin War, the royal family lost its financial base. Thus the reconstruction and sponsorship of the Wondang Temples were intended to stabilize the royal courts financial status as well. This royal patronage explains the early commission and creation of the Buddha statues of those three temples. This royal context also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ose statues in ensuring the survival of Buddhism in the postwar period.
In order to survive in the Confucian society, the Buddhist community needed to align with the fundamental value of Confucianism, loyalty (忠: chung). The temple practiced the value of loyalty through performing a bless ritual for king, and this led to the creation of the Vairocana three directional Buddhas, which functioned as the focus of the ritual. Therefore, the creation of the these statues serves as a good example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Buddhist communi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2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9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