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철 시조의 담화 특성과 전승 의식 : A Study on Discourse and Acceptance of Jeong Cheols Sijo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영민

Advisor
조해숙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송강정철시조서정시서정 주체담화전승SonggangJeong CheolSijoLyricLyric SubjectDiscourseAcceptance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조해숙.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송강 정철 시조의 담화 특성과 전승 의식을 분석하여 시이자 노래로서 정철 시조의 서정적 특징과 그것을 매개로 한 소통 양상을 고찰하고자 했다. 선행 연구는 교훈가가 많고 너무 즉흥적이며 세련미를 갖추지 못해 문학적 가치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정철의 시조를 소홀히 다루었다. 게다가 작가에 대한 전기적 고찰이 활발한 성과를 내면서 당쟁으로 인한 정치적 부침, 연군 의식과 애민 정신, 도가적 취향과 풍류 생활 등이 작품 해석의 준거로 부상했다. 그 결과 나 정도를 제외한 정철의 시조는 독자적 논의의 대상이 될 기회를 좀처럼 얻기가 어려웠다. 혹시나 작품을 음미할 여유도 없이 평가가 이루어져 그 가치를 평가할 기준을 마련하지 못한 것은 아니었나 하는 의문이 이 논문의 출발점이었다. 따라서 일단은 여타의 요소를 배제한 채 텍스트에 나타난 언어를 분석하려 한 것이다. 각각의 언술이 하나의 담화를 이루는 방식에 주목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Ⅱ장에서는 『송강가사』의 간행 경위와 정철 시조의 자료 현황을 정리했다. 발문 등에 따르면 『송강가사』는 여섯 차례 이상 간행되었는데 현전하는 것은 이선본, 성주본, 관서본 등 세 가지이다. 이 가운데 이선본과 관서본은 같은 계열로 파악된다. 한편, 17세기 말과 현재의 전승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아서 지금도 두 가지 계열이 전하는 것처럼 당시에도 의성본과 황주본 두 가지 계열이 전한 것으로 이해하면 쉽다. 의성본 계열과 황주본 계열이 서로가 선본임을 주장하며 현재에 이른 것이다. 현전하는 것 중에는 이선본이 의성본 계열을, 성주본이 황주본 계열을 대표한다. 아울러 이선본은 52수를 수록해 작품 수가 적지만 고어에 가깝고 오류가 드물며 성주본은 79수를 수록해 작품 수가 많지만 후대의 표기이고 오류가 많다. 전자에만 있는 작품은 3수, 후자에만 있는 작품은 31수이다.
이어서 시조 연행의 관습과 담화 분석의 의의를 구체화했다. 자료로 전하는 시조 연행의 장면은 말로 할 것을 노래로 한 경우가 많은데 이방원의 와 정몽주의 는 이러한 성격을 잘 드러낸다. 시조는 가창과 연행을 전제로 하는바, 그것을 둘러싼 사람들 사이의 소통 관계를 매개할 때가 많은 것이다. 한편, 담화는 개별 언술이 연속된 질서를 이루는 방식을 일컫는다. 담화의 개념을 연행의 관습에 적용해 볼 때 그것은 담화의 주체와 그들이 맺는 소통 관계의 층위 및 주체들 사이를 오고 간 전언과 그 구성의 층위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음을 파악했다. 곧 담화 주체와 소통 관계의 층위에서는 화자의 언술이 텍스트 안에 머무는 내부 지향적 담화와 화자의 언술이 텍스트 밖을 향하는 외부 지향적 담화를, 전언 구성의 층위에서는 등가 관계에 기초한 수렴적 언술과 인접 관계에 기초한 확산적 언술을 준거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다.
Ⅲ·Ⅳ장에서는 이상의 준거를 토대로 정철 시조의 담화 특성을 분석했다. 먼저 Ⅲ장에서는 내부 지향적 담화에 속한 시조를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등가 관계에 기초한 수렴적 언술이 두드러진다. 화자의 언술은 대상과의 관계를 반영하는바 떠나간 임과 불안한 현실을 다룬 시조에서는 임과 현실을 표상한 시어를 중심으로 시상이 수렴한다. 이러한 언술은 세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세상 밖으로 밀려난 서정 주체의 면모를 드러낸다. 한편, 내부 지향적 담화가 구현된 정철의 시조에서 확산적 언술이 나타날 경우, 심미적 대상이 촉발하는 순간의 정취에 몰입하여 자신이 느끼는 결핍과 불안을 달래는 서정 주체의 상이 그려진다. 따라서 내부 지향적 담화에서는 끊임없이 자신을 밖으로 밀어내는 현실에 부딪혀 자기와 세계를 돌아보고 자신의 위치와 태도를 정립하는 자기 응시의 서정 주체가 발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외부 지향적 담화에 속한 정철의 시조를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인접 관계에 기초한 확산적 언술이 두드러진다. 대상과 세계가 촉발한 의미 체계를 구축하는 것보다 자신의 정서와 갈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데에 초점을 두기 때문이다. 확산적 언술에 기반한 연쇄와 생략의 구성 및 텍스트의 결속의 방식은 사회적 관습과 맥락을 공유한 사람들, 즉 동일한 정체성을 지닌 집단 안에 있는 내포 독자와 친밀한 관계를 이루게 한다. 아울러 외부 지향적 담화에서 수렴적 언술이 나타날 경우, 집단 체험을 형상화하여 백성의 감화와 실천을 유도한다. 결국 외부 지향적 담화는 시조로써 다른 사람과 소통하면서 정서적 유대 관계를 맺고 내적 갈등을 공유하며 백성을 감화하려 한 집단 결속의 서정 주체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Ⅴ장에서는 정철 시조의 서정적 특질과 그것이 매개한 소통 관계를 고찰하고자 했다. 시조는 詩歌一道의 자장 안에 있는 것으로 시의 풀림과 노래의 울림이 복합된 장르이다. 여기에서 시의 풀림과 노래의 울림은 시조의 서정이 작용하는 두 방향을 함축한 용어이다. 그것은 정철로 하여금 소외된 처지에 놓인 자기 모습을 응시하고 자신의 결핍과 불안을 노래하여 마음에 맺힌 시름을 풀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자신의 정서와 갈등을 다른 사람과 나누며 그들과 유대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 따르면 정철은 시조 서정의 두 방향을, 즉 시의 풀림과 노래의 울림을 충분히 이해하는 가운데 다양한 담화 방식을 모색했다고 할 수 있다. 시인으로서 자신의 재주와 능력을 여실히 발휘한 것이다.
한편, 시의 울림과 노래의 울림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떼려야 뗄 수 없으나 내부 지향적 담화를 구현한 정철의 시조는 상대적으로 풀림의 방향을 추구하고 외부 지향적 담화를 구현한 정철의 시조는 상대적으로 울림의 방향을 추구한다. 그런데 전자는 주로 가문 내에서 전승된 정황이 드러나고 후자는 주로 연행의 현장에 밀착해 있었던 정황이 드러난다. 이로써 전자는 정철이 자신의 시름을 달래는 데에 소용되면서 그것을 엿듣는 내포 독자의 마음을 울렸을 것으로, 후자는 정철이 자기와 비슷한 정체성을 지닌 집단을 결속하는 데에 소용되면서 호방한 풍류객이자 충성스런 신하의 이미지를 구축했을 것으로 추론된다. 아울러 후자는 󰡔청김󰡕을 통해 서울의 풍류 문화에 재진입했고 문중 구성원들과 서인-노론 계 인사에 의해 추숭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서론에서 논의한 것처럼 고산의 시조/송강의 가사라는 구도는 정철을 시조보다 가사에 뛰어난 작가로 평가했으며 작가에 대한 전기적 고찰은 정철에게 호방한 풍류객이자 충성스런 신하의 이미지를 부여했다. 그러나 풀림을 지향한 내부 지향적 담화는 정치인으로서 확고한 정철의 모습이 아니라 세계와의 관계를 섬세히 인식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위치와 태도를 부단히 성찰하는 정철의 상을 조명한다. 아울러 풀림과 울림의 사이에서 시조의 다양한 담화 방식을 모색한 것은 가사뿐만 아니라 시조에서도 자신의 재주와 능력을 발휘한 시인으로 정철을 재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된다. 결론적으로 정철의 시조는 시조 서정의 두 방향을 풍성하게 구현한 까닭에 정철 당대와 현재를 매개하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기대한 것보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지금껏 전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철 시조의 담화 특성은 개별적 존재의 독백과 사회적 존재의 대화를 모두 구현하는바, 정철의 시조는 사적인 기능과 공적인 기능을 아울러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서구 근대의 서정시 개념은 집단의 정서를 노래한 것은 서정이 아닌 것처럼 이야기했으나 우리 시조의 서정은 함께 노래하는 것까지 아우를 수 있는 서정이었다. 자료가 없는 까닭에 더 구체적 장면을 포착할 수 없는 것은 아쉽지만 정철 시조의 경우, 연행의 현장에 밀착해 있으면서 백성을 교화하거나 집단을 결속하는 등 사회/문화적 효용을 발휘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의 결핍과 불안을 응시하면서 세계와의 관계를 정립해 나가는 개인적 서정의 역할을 하는 데에도 손색이 없었다. 따라서 문학적 가치가 떨어진다는 평가는 서구 근대의 서정시 개념이 시조의 서정적 편폭을 포괄할 수 없었던 데에서 비롯한 혹평이라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의의는 정철의 시조가 지닌 문학적 가치와 시조 작가로서 정철의 위상뿐만 아니라 시조 장르의 서정적 편폭과 그 사회/문화적 역할까지 재조명할 토대를 마련한 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Jeong Cheol's Sijo has been neglectfully treated because it had many lessons, was too improvised, and lacked sophistication such that it led to poor literary values. In addition, as the biographical review of the artist has been successful, political uprisings caused by the conflict, consciousness of the army and the spirit of sympathy, and the taste of Taoism have emerged as the standard for interpreting the work. As a result, Jeong Cheols Sijos except for or were difficult to obtain an opportunity to be the subject of independent discussion.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wa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evaluation was made without any room for tasting the work and failed to prepare criteria for evaluating its value. To answer this question,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first analyze the language in the text, excluding other elements, and then consider what social/cultural communication it mediates. This is wh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and succession consciousness of Jeong Cheols Sijo.
Chapter Ⅱ summarizes the proceedings of the publication of and the data of Jeong Cheol Sijo. According to the foreword, has been published more than six times, and there exist three copies including Leeseon Copy, Seongju Copy, and Gwanseo Copy. Among these, Leeseon Copy and Gwanseo Copy are identified as the same affiliations.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of successio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the present situation are not very different, so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two affiliations were delivered at that time as Uiseong Copy and Hwangju Copy are succeeded. Uiseong Copy affiliation and Hwangju Copy affiliation have reached the present, claiming that each other is an earlier copy. Among the existing copies, Leeseon Copy represents Uiseong Copy affiliation, and Seongju Copy represents Hwangju Copy affiliation. In addition, Leeseon Copy contains 52 Sijos, but the number of Sijos is small, but they are close to archaic words and have little errors. Seongju Copy has many works containing 79 Sijos but they are writings in the later generations and have many errors. The former has 3 works and the latter has 31 works.
In addition, this paper materialized the custom of Sijos suggestion and the significance of conversation analysis. The scenes of Sijo suggestion delivered by data are often represented by song instead of words, but Lee Bang-won's and Jung Mong-ju's reveal this character well. Sijo presupposes the song and suggestion, and often mediates the communi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surrounding it. On the other hand, conversation refers to the way that individual discourse forms a continuous order. When applying the concept of conversation to the custom of suggestion, it was found that it can be analyzed in two ways: the layer forming the communication relationship and the layer forming the messages coming and going between them. In other words, in terms of communication, discourse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conversation that aims inside the text and the conversation that aims outside the text, and in terms of message composition, the discourse that diffuses into an equal relationship with the discourse converging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Chapters Ⅲ-Ⅳ analyzed the conversation structure of Jeong Cheols Sijo based on the above criteria. First, Chapter Ⅲ dealt with Sijo, which belongs to an internally oriented conversation. Here, the discourse converging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is prominent. Conversation and discourse reflect the relationship with objects, and in Sijo, which dealt with an absolute and uneasy world, they are found to be superior to other objects as well as lyric subjects. Therefore, the poetic word or poetic row converges around the absolute king and the unstable reality, and accordingly the lyric subject reveals the aspect of being pushed out of the world without being in harmony with the world. The lyric subject at this time gazes at himself in an alienated position, complaining of deficiency and anxiety. On the other hand, when a poetic word or poetic row spreads in an internally oriented conversation, the lyric subject faces an aesthetic object. It is understood that the sensation triggered by an aesthetic object is expressed and the mood of the moment is revealed, soothing the deficiency and anxiety that one feels. Either way, a lyric subject of self-gaze appears to sink toward the inside.
Subsequently, Chapter IV dealt with Sijo which belongs to an external-oriented conversation. Discourse spreading in an equal relationship is prominent here. This is because they focus on sharing their emotions and conflicts with others rather than forming a system of meaning. By presenting the indicators of the conversation, not only the conversation situation was indicated, but also the content of the discourse was made so that the listener could immediately understand the song. In particular, the chains, omissions, and leaps of poetic words were factors that enable people to share social customs and contexts, that is, readers in groups with the same ident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semantic action. Moreover, rather than unilaterally delivering his subjectivity by utilizing text binding, he revealed the existence of conflicting consciousness and the resulting conflict. It seems that he was trying to worry about together withholding the judgment. It can be said that the lyric subject reveals a more comfortable appearance while forming a bond with others. Finally, embodies the people's empathy and participation by embodying experiences. In an externally oriented conversation, a lyric subject of group cohesion, which is related to others as a song, is found.
Chapter V attempted to analyze the lyric characteristics of Jeong Cheols Sijo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and the communication patterns through them. Within the concept of Poem and song are in the same genre, Sijo is a genre that puts identity as a poem and identity as a song on two extremes and reveals various aspects in between. In other words, the identity as a poem focuses on expressing one's own meaning, and it has a personality immersed in one's inner self and a semantic intention to pursue different perceptions and emotions, and the identity as a song aims at appeal, influence, and persuasion. It is to represent the rhetorical intention to find a way to deliver the public character and meaning of singing with others. However,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s in Chapters III-IV suggest that Jeong Cheol's Sijo evenly showed two directions. In the type of conversation in text, the semantic orientation was revealed, and in the type of conversation outside text, the rhetorical orientation was strongly demonstrated.
On the other hand, various personalities of Jeong Cheols Sijo tend to come into contact with aspects of each copy. In Chapter Ⅱ, it was understood that the publication of could be divided into Uiseong Copy affiliation and Hwangju Copy affiliation, and according to various statements, Uiseong Copy affiliation was collected in song copy without being delivered by , a summarized copy.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romantic culture in the center of Seoul as it was accommodated in . On the other hand, the main affiliation is presumed to be a succession in the literature. Therefore, the work recorded in Uiseong Copy affiliation was relatively close to the suggestion site while the work recorded in Hwangju Copy affiliation was not. Coincidentally, 76.9% of the works in Leeseon Copy showed a rhetorical orientation belonging to an out-of-text conversation, and 87.1% of works in Seongju Copy revealed semantic orientation belonging to an in-text conversation. In the former case, it was advantageous to bind people in the field of suggestion, and in the latter case, it was immersed in the inside, so that the structure was advantageous to soothe deficiency and anxiety.
Since the 19th century, the accommodation of Jeong Cheols Sijo has deteriorated. The work included in Leeseon Copy significantly narrows the scope of accommodation and reveals the anonymization of some works. And the bound text is also broken and does not represent a complex meaning. The Sijo included in the Seongju Copy was not distributed in the first place, and only works that can be interpreted as songs of romantic feeling and songs that sing unworldly stage are accommodated in the later generations. It is far from the context of alienation, anxiety, and deficiency of the lyric subject reviewed in Chapter III. On the contrary, it was often the work of another writer, but when adding as Jeong Cheol's work, it often sang loyalty as a servant. As time passed, the accommodation of Jeong Cheols Sijo ceased, and the versatile aspect of the concept that Poem and song are in the same genre disappeared, and it seems that the image of the loyal subject remained.
In conclusion, the conversation structure of Jeong Cheols Sijo embodies both the monologue of individual beings and the dialogue of social beings, so it can be said that Jeong Cheol's lyrical characteristics encompass both private and public. The concept of lyrical poems in the Western modernity speaks as though it was not lyric to sing a group emotion, but our Sijo's lyric was a lyric that could encompass singing together. It is unfortunate that it is impossible to capture more specific scenes due to the lack of data, but Jeong Cheol's Sijo, on the other hand, is believed to have exerted cultural utility by adhering to the suggestion site and cultivating people or uniting groups. Not only that, he was also good at acting as a personal lyric who established hi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while staring at his lack and anxiety. Therefore, the evaluation that the literary value is inferior can be seen as a criticism, including that the concept of lyric poetry in the western modern world could not cover the lyric space of Sijo. Rather, we believe that the value of Sijo should be re-examin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4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