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동사연쇄구성 연구 : 韩国语连动结构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취아

Advisor
박진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동사연쇄구성(Serial Verb Construction)V₁-어+V₂ 구성의미적 특징통사적 특징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박진호.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의 문법 체계에 동사연쇄구성이라는 범주를 설정하고 그 의미적·통사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고는 범언어적으로 사용되는 동사연쇄구성의 정의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정의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국어에 적합한 두 가지 정의 기준을 추가적으로 제시한 후, 한국어 동사연쇄구성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 정의에 바탕을 두고 한국어의 동사연쇄구성의 범주를 확립하고 그 의미적·통사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1장에서는 합성동사와 통사적 구성 두 가지 용어로 주어진 구성을 기술하는 전통적인 기술 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구성의 형성 부문과 관련성이 없는 중립적인 용어인 동사연쇄구성을 도입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제2장에서는 범언어적으로 사용되는 동사연쇄구성의 통사적 정의 기준과 의미적 정의 기준의 문제점을 각각 지적하고 한국어에 적합한 통사적 정의 기준 두 개를 새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이 두 기준을 반영하여 한국어 동사연쇄구성에 대한 정의를 새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이 정의에 근거하여 한국어 동사연쇄구성의 범주를 확립하였다. 또한 동사연쇄구성의 정의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이분법적 접근법과 스펙트럼 접근법이 있는데, 본고는 스펙트럼 접근법을 선택한다. 스펙트럼 접근법은 동사연쇄구성의 정의 기준을 전부 만족시키지 못하는 타고 가다와 묵어가다처럼 통사적 긴밀도와 사건 통합의 긴밀도가 일치하지 않는 구성과 통사적으로 때려 마시다와 건너듣다처럼 논항을 공유하지 않는 구성을 동사연쇄구성으로 기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제3장에서는 동사연쇄구성을 구성 요소 간의 의미적 관계에 따라 이동-이동 동사연쇄구성, 방식 동사연쇄구성, 수단 동사연쇄구성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가운데 방식 동사연쇄구성에 속한 사건 논항 동사연쇄구성은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부류이다. 사건 논항 동사연쇄구성은 V₁ 동사가 V₂ 행위가 진행되는 방식을 나타내지만 V₁ 동사가 구성에서 나타낸 의미로는 자립적으로 쓰이지 않는다는 의미적·통사적 특징이 있다. (어떤 곳에) 눌러살다와 훔쳐보다가 이에 해당하는 예다.
이어서 3장에서는 동사연쇄구성의 합성성을 살펴보았다. 합성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연쇄구성으로 방식 동사연쇄구성 뛰어가다와 이동 동사연쇄구성 건너가다 등을 들 수 있고, 의미가 합성적이지 않은 동사연쇄구성의 예로 때려 마시다와 늘어앉다를 들 수 있다. 동사연쇄구성의 의미가 비합성적인 원인은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의 확장된 의미로 쓰이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2장에서는 합성동사구성 범주와 동사연쇄구성 범주 그리고 통사적 구성 범주 간의 의미 확장 양상 및 동사연쇄구성 내부에 존재하는 의미 확장 양상을 살펴보았다. 세 범주 간의 의미 확장 양상은 동사연쇄구성 (새가) 날아가다가 합성동사 구성 (돈이) 날아가다로 확장되어 쓰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고, 동사연쇄구성 범주 내부에 존재하는 의미 확장 양상으로 방식 동사연쇄구성 (침대에) 누워지내다가 사건 논항 동사연쇄구성 (아무 일도 안 하고) 누워지내다로 확장되어 쓰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4장에서는 동사연쇄구성의 통사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동사연쇄구성의 논항 공유 현상을 살펴보았다. 논항 공유 현상에 따라 동사연쇄구성을 분류하면 주어 공유 동사연쇄구성, 주어-목적어 공유 동사연쇄구성, 논항을 공유하지 않는 동사연쇄구성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 본고는 한국어의 동사연쇄구성이 논항을 공유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을 깨고, 논항을 공유하지 않는 동사연쇄구성이 존재함을 주장하였다.
이어서 본고는 연접 층위와 연접 관계에 있어서 한국어 동사연쇄구성이 보이는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연접 층위에 있어서, SVO 어순의 고립어인 중국어와 SVO 어순의 교착어인 파마어의 경우, 핵 층위 동사연쇄구성과 중심부 층위 동사연쇄구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들 언어와 달리 한국어는 자신의 어순(SOV)과 언어 유형의 관계로 핵 층위 동사연쇄구성만 가진다. 연접 관계에 있어서, 한국어 동사연쇄구성은 일반적으로 대등-종속 연접이라는 연접 관계를 보이지만, 드물게 당겨먹다처럼 종속 연접 관계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한국어 동사연쇄구성의 유래는 주로 두 가지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하나는 동사 간의 결합이고 다른 하나는 통사적 구성에서 온 것이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사건 통합의 긴밀도와 통사적 결합의 긴밀도에 따라 사건 연속체에서의 동사연쇄구성의 위치와 구조적 연속체에서의 동사연쇄구성의 위치를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동사연쇄구성은 두 가지 연속체에서의 위치가 일치한다. 그러나 덜 전형적인 동사연쇄구성에 속하는 타고 가다와 묵어가다는 두 가지 연속체에서의 위치가 다르다.
5장은 결론으로서 전체 논의를 요약·정리하고, 본고의 한계점 및 보완점을 제시한다.
本文旨在在韩国语的语法体系中确立连动结构这一范畴,并探讨韩国语连动结构的语义及语法特征。连动结构在汉语等孤立语中较为常见,在韩国语这样的黏着语中是否存在这一范畴往往具有争议性。本文认为韩国语不仅有连动结构,其连动结构还非常丰富。
本文共有五章。第一章细述了研究目的,研究的意义,进行了先前研究总结,并介绍了研究对象与方法,以及本文的构成。
在第二章,连动结构在韩国语研究中属于相对生疏的主题,因此本文在探讨韩国语连动结构之前,首先介绍了有连动结构与没有连动结构的语言的特征,以加强对连动结构的理解。其次本文批判了学界常使用的关于连动结构的定义,指出了其缺点,并补充了两条符合韩国语语法特征的新标准。在补充和修改了原定义后,本文提出了符合韩国语特征的新定义,并以此新定义为基础,在韩国语的语法体系中确立了连动结构这一范畴。
在第三章,本文对韩国语连动结构的语义特征进行了分析。主要探讨了连动结构要素之间的语义关系,连动结构的语义合成性,以及连动结构的语义延申现象。
本文首先根据连动结构构成要素之间的语义关系,将连动结构分为空间移动事件连动结构,方式连动结构,因果连动结构,结果连动结构,以及手段连动结构等几类。其中,方式连动结构中有一类连动结构被称作事件论元连动结构。此类连动结构在韩国语中尚未被探讨过,比如훔쳐보다就属此类。훔치다原意为偷,是动词,在훔쳐보다这一结构中意为偷偷地,表达的是副词的意思,훔쳐보다整体意为偷偷地看。此类连动结构的语义及语法特征表现为:V₁动词独自使用时无法表达在此结构中表达的意思。之所以称为事件论元连动结构是因为此类结构中V₁动词在功能上与副词一样修饰V₂动词与他的论元所表达的整个事件,若是此时V₁动词定要取个论元的话,可看成是取V₂与它的论元一起所表达的整个事件为论元。
其次本文对连动结构的语义合成性进行了分析。一般来说事件论元连动结构的语义具有非合成性的特点,但并非绝对。最后本章还阐述了连动结构范畴内部以及范畴之间的语义延申现象。原意为耐着性子看((너그럽게)눌러보다)的事件论元连动结构经过语义延申后可表达一直看((계속)눌러보다)的意思,表达后者意思时该结构依旧是事件论元连动结构。因此此类语义延申现象属于连动结构范畴内部的语义延申。而原意为飞走的方式连动结构在表达其抽象隐喻义(钱)打水漂的意思时是合成词,因此此类语义延申现象属于连动结构范畴与合成词范畴之间的语义延申。
在第四章,本文探讨了韩国语连动结构的语法特征。本章首先探讨了韩国语连动结构的论元共享现象,其次指出了其在连结层位(juncture layer)与连结关系(nexus)上所表现出的特征,并阐述了连动结构的由来,最后还探讨了在事件连续体(event continuum)与结构连续体(structural continuum)上连动结构的分布。
首先本文根据论元共享现象将连动结构分为:主语共享连动结构,主语-宾语共享连动结构,宾语共享连动结构,功能转换连动结构,以及论元不共享的连动结构,共五种。其中最后一种论元不共享连动结构主要来自语语义分类中的论元事件连动结构。论元不共享连动结构的发现也打破了先前研究中韩国语连动结构须共享论元的这一固有观念。
其次,韩国语的连动结构在连结层位上无一例外都属于谓词层位的连动结构,在连结关系上绝大部分连动结构都属于并列-从属类型的连动结构,虽不常见,但也有包孕类型的连动结构,당겨먹다属此类。韩国语连动结构在连结层位上表现的这一特征与其是SOV型黏着语这一特征有着十分紧密的关系。最后韩国语的连动结构主要有两个来源,一种是动词与动词直接被连接语尾-어连结后而形成的V₁-어+V₂结构,돌아오다当属此类。另外一种是从复句简化而形成的V₁-어+V₂等结构,날아가다属此类。
最后在第四章中,本文将连动句按照其表达的事件之间的紧密度高低在事件连续体(event continuum)上进行了排列,将其按照其构成要素的结合紧密度的高低在结构连续体(structural continuum)上进行了排列。大部份的连动结构在两个连续体上的分布一致,但非典型的连动结构타고 가다和묵어가다在两个连续体上的分布则不一致。
在第五章,本文对一至四章的内容进行了归纳总结,提出了本文的研究意义,并指出了本文的不足之处。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5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