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직문화 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Attitude: A Comparative Study of Public Officials in the Administrative and Legislative Departments
행정부와 입법부 공무원 비교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성훈

Advisor
전영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부 중앙부처국회소속기관조직문화조직몰입직무만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전영한.
Abstract
최근 급격한 환경의 변화 속에서 행정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혁신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부문의 개혁은 시대를 막론하고 요구되는 과제이기 때문에 정부기능의 재조정과 조직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새로운 제도와 관리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와 관리기법들이 우리의 행정현실을 고려않은 무분별하게 도입되고 정부의 조직문화와 부합하지 않음에도 적용된 새로운 제도나 관리기법들의 성패에 대해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은 논란이 있다.
중앙 행정부처에 대한 조직문화 연구는 다수가 있으나 최근 변화되는 환경속에 노출된 조직의 문화유형 연구가 부족하고, 국가정책의 결정과정에서 입법부가 차지하는 역할은 점차적으로 커짐에도 입법활동을 지원하는 국회 소속기관의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며, 관련된 소수의 연구도 국회 소속기관 중 일부만으로 한정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경쟁가치모형에 따른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앙 행정부처와 국회 소속기관을 비교하면서 연구한 논문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문재인정부 들어서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정부혁신 노력이 반영된 행정조직의 조직문화를 정확하게 진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가 된다. 하나는 행정부의 조직문화와 입법부의 조직문화를 비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조직문화가 행정부 와 입법부 공무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각 조직의 관리자들에게 향후 조직관리에 있어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조직 유형별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지배적인 조직문화에 대해서는 행정부의 경우는 합리문화와 위계문화를, 입법부의 경우에는 위계문화를 각각 지배적인 조직문화로 인식하고, 위계문화의 경우에는 두 행정조직 유형간 위계문화 인식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행정조직 유형별 조직문화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행정부 공무원의 경우에는 집단문화와 발전문화뿐만이 아니라 합리문화와 위계문화 또한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집단문화, 발전문화 뿐만이 아니라 합리문화와 위계문화 또한 공무원들의 조직몰입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입법부 공무원의 경우에는 집단문화와 위계문화만이 해당 공무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문화를 조직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즉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입법부 공무원의 경우에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위계문화가 행정부 공무원에 비해 입법부 공무원에게 직무만족의 인식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가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정부조직이 조직성과 향상을 위하여 신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 NPM)이념을 받아들여, 작은 정부와 시장경쟁을 지향하고 민영화, 구조조정, 성과급 보수제, 목표관리제(MBO: Management by Objectives), 연봉제,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 Card)와 같은 다양한 민간관리기법들을 적용하는 등 제도와 시스템의 변화를 행정조직간 조직문화 차이에 대한 연구없이 무분별하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46개의 정부 중앙부처와 4개의 국회소속기관 모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기존의 연구에 비해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높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부 중앙부처와 국회소속 기관의 공무원들의 직무태도 향상에 각기 다른, 적합한 전략을 수립하여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유용성을 지닌 연구라고 할 수 있다.
Amid recent drastic changes in the environment, government innovation to improve administration in a better direc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reform of the government sector is a task required regardless of the times, new systems and management techniques are being introduced to readjust government functions and streamline organizational management. However, there is a lot of controversy both at home and abroad about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se systems and management techniques, which are indiscriminately introduced without considering our administrative reality and do not conform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government.
Despite the recent lack of research on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entral administration, and the role of the legislatur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national policies has gradually grown, there is also a lack of research on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National Assembly's institutions that support legislative activities, and a small number of related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only a few of the National Assembly's affiliated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re is no paper that has been studied comparing the central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s agencies with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n job attitudes according to the competitive value model.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needs to accurately diagnose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corporate culture that reflects efforts which Moon Jae-in administration continues to innovate the government.
There are two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One is to compa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administration with that of the legislature, and the other is to compare the job attitude of the administration officials with that of the legislature officials. These findings are believed to provide managers of each organization with certain implications for future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ominant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ced by public officials by type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were recognized as the dominant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ase of the administration, and the hierarchical culture in the case of the legislatur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hierarchical culture between the two type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attitude by type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t was found that not only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but also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in administration, and that hierarchical culture, as well as collective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involvement. And in the case of public officials in the legislature, only the collective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 of the relevant public official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in the case of a legislative official who perceived hierarchical culture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was analyzed that hierarchical culture had an adjustme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to a legislative official compared to an administrative official.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Korean government organizations adopt the concept of new public management (NPM) and pursue market competition and small governments, and apply various private 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privatization, restructuring, performance-based remuneration, target management system (MBO), annual salary system, and balance sheet (BSC) to the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in the National Assembly without any research on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betwee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is more likely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n the previous research, it can be said to be of practical use in that it can establish and present different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ttitude of government central and parliamentary official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89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3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