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nd job groups
세대 및 직군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영

Advisor
임도빈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서번트 리더십조직효과성직무만족동기부여세대직군Servant leadership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MotivationGenerationJob group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임도빈.
Abstract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조직환경 속에서 기술의 발달과 함께 나타난 여러 무기명 표현창구내에서 자유로운 의사표현과 함께 많은 갈등 또한 늘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세대들과 디지털 친화도가 높은 세대, 일명 밀레니얼 세대로 대변되는 세대들과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으며 잠재되어 있던 직군간의 갈등 또한 표출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갈등은 조직 구성원간 불신이나 업무동기 상실 등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섬김의 자세로 부하직원들을 존중하며 그들이 공동의 목표를 이룰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헌신의 리더십인 서번트 리더십이 주목받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러한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을 뿐 그 과정에서 세대나 직군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서번트 리더십이 공기업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나 동기부여 등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세대와 직군별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문항을 활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A공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직원의 직무만족이나 동기부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조력자로서 섬김의 자세로 부하직원들이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는 서번트 리더십은 여전히 조직에서 환영받는 리더십이며 이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은 현재 중간관리자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는 X세대 이전 세대에게 더욱 효과적이며 밀레니얼 세대에게는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리더는 부하직원들의 세대특성을 유심히 살피어 그에 맞는 섬세한 리더십을 발휘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군별로 일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중 기술직군은 감정적인 부분을 보듬어 주는 리더십이 더욱 효과적이었고, 사무직군은 조직이 진정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도록 조직전체를 아우르는 청지기 정신을 가진 리더십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부서 구성원들의 직군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리더십이 필요함을 확인하는 결과이다.
결국 조직의 리더는 부하직원을 섬기는 자세를 기본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세대나 직군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카멜레온적인 리더십을 가져야 조직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노력만이 다양한 직군과 세대로 구성된 현대의 조직속에서 성공한 리더로 기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Z세대로 표방되는 새로운 세대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직군구성 형태에 따른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Many conflicts are also increasing along with free expression of opinion as various anonymous expressions creat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ppear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is changing day by day. In the process, conflicts between existing generations and digital-friendly generations(so called millennials generations) are deepening, and potential conflicts between job groups have also begun to be expressed. The leadership to effectively manage these conflicts is very important, as there can be many side effects, such as distrust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or loss of motivation. To this end, Servant Leadership, a dedicated leadership that respects subordinates and creates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achieve their common goals, is drawing attention, but so far, there is still a lack of studies on how it differ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job groups, but only focusing on the studies on the impact of such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find out the impact of this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motivation of members of public corporations, and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nd job groups in the proces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using the questionnaire that was verified in the preceding studie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n employees of public corpor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rvant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r motiva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ervant leadership, which provides a platform for subordinates to exercise creativity with a supportive attitude, is still a welcome leadership in the organization, which is expected to continue for some time.
Second, Servant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for the X generation, who currently play a role as a middle manager,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illennial generation may need new leadership. The leader should carefully examine th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his subordinates and show delicate leadership accordingly.
Thir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Servant leadership by job group. Tech workers were more effective in supporting emotional aspects, and office workers were more effective in leadership with stewardship.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need for changing leadership according to job group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members.
In the end, the leader will only be able to manage the organization more effectively if he or she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 or job group based on the attitude of serving subordinates and has the appropriate chameleon leadership, and only these efforts will be remembered as a successful leader in a modern organization composed of various job groups and generation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further research on the new generation(Generation Z) and various types of job group composition will be need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90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2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