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新增東國輿地勝覽』과 『輿地圖書』의 邑史 資料 비교, 활용 : 전라도를 중심으로 : Comparison and Utilization of the Local Historical Sources in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and Yeojidoseo(輿地圖書) : Focused on the Jeolla-Do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웅

Issue Date
2017-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규장각, Vol.51 No., pp. 63-104
Keywords
여지류읍지지방사연구기문제영the Code of Geography ClassTown Chroniclesthe Study of Local HistoryWritingsLyrics
Abstract
『新增東國輿地勝覽』은 記文․題詠 등을 여타 항목과 함께 유의한 반면에 『輿地圖書』는 『세종실록지리지』를 전범으로 삼아 통치자료[治道] 차원에서 方里, 賦稅, 堤堰을 비롯한 각종 정보 항목에 유의하였다. 이에 전자는 문화 기술에 치우쳤음에도 불구하고 기문과 제영에서 볼 수 있듯이 고을의 내력, 건물의 배치와 규모, 고을 재지세력의 활동 및 기층 문화의 제반 사정 등을 담음으로써 고을의 역사 즉 邑史를 풍부하게 서술하는 데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에 후자는 국가의 통치 필요상 중앙의 관심사를 투영한 제반 정보의 종합여지 편찬에 초점을 둔 나머지 전자에 비해 고을 자체의 재래적인 내력과 사정들을 덜 담고 있다. 다만 『여지도서』 경상도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지방 사족과 중앙의 길항 관계에 따라 제영과 기문이 포함된 까닭에 읍사가 좀더 풍부해 질 여지가 있다. 따라서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여지도서』의 이러한 相補的인 關係를 인식하여 교차적으로 검토하고 정밀하게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이들 여지류는 지방인물사는 물론 지방사회의 변동을 비롯하여 기층문화의 특징 등을 해명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거듭날 것이다.
ISSN
1975-628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74476
DOI
https://doi.org/10.22943/kyujg.2017..51.0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