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로환경의 인지적 특성이 상업가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treet Environment on Street Vitalization in Commercial Areas
보행자의 세 가지 정서적 욕구의 위계관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지현

Advisor
권영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로활성화보행환경지각욕구이론VR다층모형Street VitalizationPedestrianEnvironmental PerceptionTheory of NeedsMulti-level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2021. 2. 권영상.
Abstract
Walkability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in the field of urban design..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to find out what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an promote walking and vitalize street. Among them, relative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onditions that established at the area level, such as density and diversity of land use, but discussions on the street leve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re still lacking.

Especially, there is not much consideration for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have a more direct and immediate impact on pedestrian emotion.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detailed mechanisms that exist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environment and street vitalization because most studies have covered the direct influence between the landscape usage behavior.

In this study, the detailed mechanisms between street environmetn characteristics and pedestrian activity were iden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environmental perception. Specifically, a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treet, tidiness, enclosure, human scale, coherence, transparency, complexity, imagability which are formed inside individuals through cognitive processes were deriv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elements and three emotional responses: safety, comfort and interest. In particular, by analyzing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the three emotional needs of pedestrian, this study draw discussions on wh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hould be pre-eminent to induce lateral activation, and what factors should follow up afterwards.

This analysis requires measuring pedestrian psychological responses to the environment on many streets with different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a limit to obtaining data from field surveys that have been utilized in many existing studies. Therefore, VR images are utilized in this work. Cognitiv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ased on expert evaluation and pedestrian emotional responses were measured for ordinary people and students majoring in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Multi-level analysis was performed as statistical models suitable for analysis because these collected data had hierarchical properti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mong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environment, tidiness, enclosure, and transparency have a static effect on safety and comfort. Furthermore, it has been shown that transparency, complexity, imagea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est. Because interest requires high arousal, while safety and comfort require low arousal, it was seemed that some characteristics of street environment that have positive effect on interest may reduce the level of safety and comfort. But these relationships have not been derived in this study. Rathe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ransparency have been found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by having a combination of positive effects on two or more emotional responses.

Second,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comfort, comfort and interest, but there i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interest. This means that, as argued in existing theories, there is a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omfort and interest, and these hierarchies work in stages. Based on this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further improve comfort, safety must be prepared in advance, and comfort must come first to induce interest.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street vitalization is interest among the three emotions. In order to induce pedestrain activity and vitalize commercial street, imageability, transparency, and complexity that directly affect interesting needs to be enhanc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effect of increasing interest by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can induce comfort.
보행친화적 환경은 도시설계 분야에서 꾸준히 강조되어 온 가치로서 보행을 증진시키고 가로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물리적 환경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혀내기 위해 지금까지 다수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이들 연구들을 바탕으로 토지이용의 밀도와 다양성 등 지역 단위에서 갖춰져야 하는 조건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에 비해 가로 단위의 환경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부족한 점이 많은 상황이다. 우선 가로 환경을 구성하는 많은 특성 가운데 보행자의 심리에 보다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간 특성에 대한 고려는 많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가로 환경의 특성과 가로 이용 행태 간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만을 살펴봄으로써 그 사이에 존재하는 세부적인 메커니즘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로 환경의 특성이 가로 이용으로 이어지는 세부 메커니즘을 보행자의 환경지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과정을 거쳐 개인의 내면에 형성되는 환경 특성으로서 이미지어빌리티, 투과성, 복잡성, 응집성, 위요감, 휴먼스케일, 유지관리성이 안전함, 편안함, 흥미로움 등 세 가지 정서적 반응을 매개로 가로 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세 가지 정서적 반응 사이의 영향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가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갖춰져야 하는 환경 특성은 무엇이며, 그 이후에 후속되어야 할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분석을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 특성이 상이한 다수의 가로들을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보행자의 심리적 반응을 측정할 필요가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에서 다수 활용되어 온 현장조사로는 자료 구득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R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VR 이미지에 대해 전문가 평가를 바탕으로 인지적 환경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일반인과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가로 환경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의 경우 위계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분석에 적합한 통계 모형으로써 위계적 회귀분석과 2계층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장 먼저 가로 환경의 인지적 특성 가운데 안전함에는 유지관리성, 위요감, 투과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편안함에는 유지관리성, 응집성, 투과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흥미로움에는 이미지어빌리티, 복잡성, 투과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심리학적 관점에 따르면, 흥미로움은 높은 각성을 필요로 하며, 이에 비해 안전함과 편안함은 낮은 각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각성 유발을 통해 흥미로움을 증진시키는 환경 특성이 안전함과 편안함은 오히려 감소시키는 trade-off 관계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 이러한 관계는 도출되지 않았다. 오히려 투과성 등의 환경 특성이 두 개 이상의 정서적 반응에 복합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안전함과 편안함, 편안함과 흥미로움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성립하나, 안전함과 흥미로움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 이론에서 주장된 바와 같이 안전함, 편안함, 흥미로움 사이에는 위계관계가 성립하며, 특히, 이러한 위계가 단계적으로 작동함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편안함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선행하여 안전함이 갖춰져야 하며, 흥미로움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편안함이 우선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실질적인 가로 이용 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세 가지 정서 가운데 흥미로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행 증진 및 가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흥미로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어빌리티, 복잡성, 투과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더불어 편안함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흥미로움이 증진되는 효과를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09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