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Novel synthesis of heteroatoms-doped carbons using one-pot chlorination process: Understanding the synthesis-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of CNB and M-CNB materials : 탄질화물, 붕화물 및 전이금속 전구체의 단일 염소반응 공정을 통한 고기능성 이종원소 치환 다공성 탄소소재 합성 및 응용과 열역학을 통한 구조 제어 인자의 이해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하대권

Advisor
정인호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arbide derived carbonchlorination processpyrolysis processboron and nitrogen co-doped porous carbonM-Nx embedded porous carbonatomic dispersion of metaloxygen reduction reaction탄화물 유도 탄소염화 반응 공정열분해 공정붕소 및 질소 이종치환 다공성 탄소M-Nx 작용기 담지 다공성 탄소금속의 원자 단위 분산산소 환원 반응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2021. 2. 정인호.
Abstract
The introduction of heteroatoms to the porous carbon materials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to boost the surface reactivity of the porous carbon materials for energy and environment applications. The doping of nitrogen atom to the carbon structur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the past decades, and the co-doping of other heteroatoms, including boron and transition metals to nitrogen-doped carbon(CN) has gained great interest to enhance the surface reactivity of CN.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facile synthetic methodology to the synthesis of the heteroatoms co-doped porous carbon materials based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ynthesis-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The conventional carbide-derived carbon (CDC) synthesized via the chlorination proces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for producing the nanoporous carbon using the selective extraction of the metal or metalloid atom in the carbide lattice. The CDC is favorable to synthesizing highly nanoporous structure as well as controlling the nano-pore size. However, to extract the metal atom, a reactive etchant, such as the halogen element (Cl2), is required inevitably; thus, it is challenging to incorporate the heteroatom component into carbon structure. Previously, our research group has demonstrated the availability of the chlorination process to produce heteroatoms-doped (nitrogen and boron) porous carbon materials. However, it is still insufficient to apply the chlorination process to synthesize the high functional heteroatoms-doped porous carbon materials.
In this thesis, new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heteroatom-doped porous carbon materials synthesis, which is based on the thermodynamic and experiments are introduced. The critical factors that decide 1) the incorporation of the h-BN phase in the porous carbon in the synthesis of the CNB and 2) the atomic dispersion of metals in the synthesis of the M-CNB via the chlorination method and pyrolysis method are predicted by the thermodynamic calculations and demonstrated by the experiments.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CNB and M-CNB materials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the synthetic parameters such as the raw powder composition and heat-treatment temperature.
In the first part, we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he novel synthetic route to synthesizing B-C-N materials using one-pot chlorination of Ti(C1-x,Nx)-TiB2 mixture. The influence of boron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boron-doped porous carbon (CB) and boron and nitrogen co-doped porous carbon (CNB) is discussed. Boron content supplied from TiB2. It is demonstrated that boron atoms supplied into the carbon structure by the solid-state diffusion serve as the carbon structure linker as well as the dopant. Thus, boron atoms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heteroatoms-rich carbon layer, which can effectively enhance the electrocatalytic activity. The oxygen-rich carbon layer in CB and nitrogen-rich carbon shell in CNB result in the increase in the 2e- pathway and 4e- pathway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performance.
Furthermore, we successfully synthesized BN nanodomains embedded porous carbon by the one-pot chlorination of nitrogen-rich Ti(C,N)-TiB2. The formation of h-BN phase and the influence of boron to CN structure are predicted using the thermodynamic calculations. Based on the calculations, the facile synthesis method (direct bond method) that maximizes the contactability of Ti(C,N) and TiB2 (C, N, and B precursors, respectively) is introduced. Supplied boron atoms serve as the carbon structure linker as well as the BN formation source, which is the key to the significant development of the h-BN-carbon interface. The abundant h-BN-carbon interfaces in highly porous carbon structure significantly improve the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2e- pathway ORR performance. Thus, the h-BN nanodomains embedded porous carbon shows outstanding operation performance in the custom-made full flow cell.
In the second part, we discuss the novel synthesis method for atomically dispersed M-CNB (M= Fe and Ni) via the one-pot chlorination of Ti(C,N)-TiB2-M(acac)x (M= Fe and Ni) mixture. The addition of boron to M (M= Fe and Ni)-CNB causes the formation of metal boride nanoparticles, which is predicted by thermodynamic calculation and demonstrated by the experiments. The formation of boride nanoparticles greatly changes the melting temperature of nanoparticles, which is a major parameter that determines the atomic dispersion of metal in the porous carbon structure. It is revealed that the introduction of boron facilitates the single Fe atom dispersion in the Fe-CNB system. Hence, Fe-CNB shows superior ORR performance. In contrast, in the Ni-CNB, doping boron is detrimental for the atomic dispersion of Ni, rather intensifies the graphitization of the Ni-CNB, unhelpful to the electrocatalytic properties.
Finally, the novel synthesis method for atomically dispersed M-CNB (M= Fe and Ni) via the one-pot pyrolysis of polyethylene glycol-urea-boric acid-metal nitrate (Fe and Ni) is investigate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boric acid results in the formation of a liquid boron oxide protective layer. The liquid boron oxide layer induces the formation of the heteroatoms-doped carbon nanotube and inhibits the formation of the metal-based nanoparticles during the pyrolysis process, which is predicted by the thermodynamic calculation and verified by the experiments. Metal contents (Fe and Ni) readily incorporates into micro- and mesoporous CNB. Thus, M-Nx active sites are well-developed in M-CNB (Fe and Ni), and Fe-CNB and Ni-CNB show the excellent electrocatalytic activity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and CO2 reduction reaction (CO2RR).
All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guidelines for the synthesis of the high functional heteroatoms-doped porous carbon materials, which can be used to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energy and environment.
다공성 나노 탄소소재에 이종 원자를 치환하는 방법은 탄소소재의 표면 반응성을 특정 응용분야에 적합하게 극대화 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지난 수 십 년간, 질소를 비롯한 비 금속 원자들 및 전이 금속 원자들의 치환에 대한 연구가 여러 방면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합성-구조-물성 관계의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실용적인 이종 원자가 치환된 다공성 나노탄소소재의 합성법 개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염화반응을 통한 탄화물에서 유도된 탄소소재 (CDC) 합성법은 다공성 나노탄소소재를 손쉽게 합성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염소 기체 분자와 탄화물 구조 내에 금속 원자들 간의 선택적인 제거 반응을 통하여, CDC 소재에 수 nm 이내의 미세기공들을 다량으로 발달 시킬 수 있다. 또한, 정밀한 합성 조건 조절을 통하여 미세기공들을 옹스트롬 (Å) 단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CDC 방법을 통해 합성된 다공성 나노 탄소소재는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폭넓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CDC 소재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염소와 같은 반응성 높은 부식성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공정을 수반한다. 이 때문에, CDC 소재에 탄소 이외에 다른 이종 원자를 담지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왔다. 본 연구 그룹을 포함한 몇몇 연구에서 탄화물이 아닌 탄질화물 및 붕화물의 염화반응을 통해 이종 원자가 치환된 다공성 나노 탄소소재를 합성하는 연구가 보고 되었지만, 이종원자의 치환량 및 종류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기존의 CDC 합성법의 한계를 넘어, 열역학 계산과 실험을 바탕으로 한 이종원자가 치환된 다공성 나노 탄소 소재 합성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형 열역학 계산을 통하여 탄소소재 합성과정에서 이종 원자 치환에 핵심이 되는 공정인자들을 예측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또한, 합성된 탄소 소재들의 전기화학반응 촉매제로의 응용가능성에 대하여 평가한다.
첫 번째 주제는 타이타늄 탄질화물과 붕화물 혼합물(Ti(C1-x,Nx)-TiB2)의 원-팟(one-pot) 염화반응을 이용한 다공성 나노 B-C-N 소재의 합성이다. 먼저, 다공성 나노 탄소소재의 구조 형성과정에서 붕소를 도입 시 붕소가 탄소소재의 구조와 표면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염화반응 과정에서 붕화물-탄질화물 계면 형성을 통해 붕소 원자들을 고상 확산을 통해 탄소 구조 형성 과정에 효과적으로 공급하였으며, 공급된 붕소 원자들이 탄소 구조 연결자 역할을 하여 질소 혹은 산소 원자들이 담지된 탄소층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붕소 공급 방법을 통하여, 질소 혹은 산소가 원자 단위로 다량으로 다공성 탄소체들에 담지 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 탄소체들이 높은 산소 환원 반응 촉매 활성도를 갖는 것을 규명하였다.
더 나아가, Ti(C1-x,Nx)-TiB2의 원-팟(one-pot) 염화반응을 통한, 나노의 크기의 질화붕소 상(h-BN)이 다량으로 담지된 다공성 나노 탄소소재의 합성법 개발에 대해 논의한다. 평형 열역학 계산을 통하여, Ti(C1-x,Nx)-TiB2의 염화 반응에서 핵심 반응식과 h-BN 상 담지에 적합한 합성 조건을 예측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원-팟(one-pot) 염화 반응 합성법 설계하였다. 공급된 붕소의 탄소 구조 연결자 역할이 탄소 구조에 h-BN 상을 담지를 가능케 함을 규명하였다. 또한, 다량의 h-BN-탄소 층 계면 형성이 2전자 산소 환원 반응의 촉매 활성도를 향상시키는 핵심인자임을 규명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한 플로우 셀 (flow cell) 환경에서 높은 과산화수소 생산효율을 갖는 h-BN 상이 나노 크기로 담지된 다공성 탄소 촉매 소재가 합성가능함을 보였다.
두 번째 주제에서는 타이타늄 탄질화물, 붕화물, 전이 금속을 포함한 전구체 혼합물(Ti(C,N)-TiB2-M(acac)x)의 원-팟(one-pot) 염화 반응을 이용한 전이 금속이 원자 단위로 담지된 다공성 나노 Fe-CNB 소재의 합성에 대해 논의한다. 평형 열역학 계산과 나노 효과를 고려한 평형 열역학 상태도 계산을 통하여, 전이 금속을 포함한 전구체에 의해 형성된 전이 금속 기반 나노 입자에 공급된 붕소가 금속 기반 나노 입자의 녹는점의 변화를 유발함을 예측하였다. 또한, Fe-CNB 시스템과 Ni-CNB 시스템의 대조 실험을 통하여, 붕소의 도입을 통한 금속 기반 나노의 입자의 녹는점 상승이 탄소 구조체 내에 전이 금속 원자를 원자 단위로 분산 시키는 핵심인자임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수한 4전자 산소 환원 반응 활성도를 갖는 원자 단위로 분산된 Fe-CNB 촉매 소재를 (Ti(C,N)-TiB2-M(acac)x)의 원-팟(one-pot) 염화 반응을 통해 합성가능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에틸렌 글라이콜-붕산-전이 금속 질산염의 원-팟(one-pot) 열분해를 통한 원자 단위로 분산된 M-CNB (M= Fe 와 Ni) 소재의 합성에 대해 논의한다. 평형 열역학 계산을 이용하여, 열분해 과정에서 분산이 액상의 산화 붕소 층으로 상변화하여 전이금속 기반 나노 입자의 형성을 억제 할 수 있음을 예측하였다. 또한, 붕산의 도입이 전이 금속을 질소와 붕소가 치환되어 있는 다공성 탄소 구조체에 원자 단위로 전이 금속을 분산 시킬 수 있는 핵심 요인임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이 금속이 원자 단위로 분산된 Fe-CNB와 Ni-CNB 소재를 원-팟(one-pot) 열분해 방법을 통해 합성 가능함을 보였으며, 이 소재들이 각각 우수한 산소 환원 반응 촉매 성능과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촉매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학위논문이 이종 원자가 치환된 고기능성 다공성 나노 탄소소재 합성법 개발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다공성 나노 탄소소재의 활용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24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