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통일교육에서의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 : A Critical Study on Nationalism in Unification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승원

Advisor
박성춘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통일교육통일교육의 이념민족주의열린 민족주의Unification EducationIdeology of Unification EducationNationalismOpen Nationalism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1. 2. 박성춘.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nationalism as the basic ideology of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way to improve unification education is proposed. Existing studies on unification education regard nationalism as a negative and dangerous ideology. Therefore, they argue that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pursue open nationalism as opposed to a nationalism ideology that emphasizes homogene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existing studies. First, they do not fully address the issue that nationalism is an ideology that has not only negative and dangerous influences, but also positive influences as well. Second, they do not clearly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and nationalism. Without a full explanation,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argument that we should move away from nationalism and find an alternative for unification education. A clear definition would also lead to understanding why nationalism, despite the criticism, still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unification. Third, previous studies have not critically examined open nationalism. Open nationalism, presented as a rising ideology for unification education, is considered a new solution for conflicts between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n exact definition of open nationalism and how it differs from nationalism. Moreover, previous studies fail to grasp that the concept of open nationalism is derived from the compatibility between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and also how this is in fact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is study address issues of nationalism in rela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and to present a problem in this education. Furthermore, it aims to show a possible method to improve the current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open nationalism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element for reviewing the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diagnosing its proble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analyzed nationalism debates conducted on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both reasons for and against nationalism-based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found. This revealed that nationalism is a controversial subject in unific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nationalism as an essential property for unification. For this end, a clear distinction from unification and integration was given, as well as nationalism from nation. This analysis on nationalism revealed that unification must be founded on nationalism.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open nationalism. Analysis shows that open nationalism assumes compatibility between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because it pursues both political and civic nationalism as well as diversity and universal values. However, the current unification education cannot sufficiently and concretely reflect this even though it regards open nationalism as its central ideolog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presumed compatibility is in fact impossible because it is merely a theoretical contradiction.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limitations to open nationalism is unification education.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has overlooked the daily life of nationalism (banal nationalism) that emphasizes ethnic and cultural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Also, unification education has not sufficiently addressed the debate of nationalism as an important issue related to unifi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 problems occurring in unification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autious of nationalism being explicitly revealed through its goals and ideology (as hot nationalism and waved flags) and the tacit and everyday forms of nationalism (as banal nationalism and unwaved flags) that are inherent in the concrete description and context of unification education.
In addition,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ble to deal with socially and academically controversial topics.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specially be able to reflect the controversial nature of nationalism in the conte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argued that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escape from the arguments for pros and cons of nationalism ideology. This study also argued that, ba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and nationalis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nationalism is handled in unification education and how to handle nationalism inherent in unification discourse.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기본 이념인 민족주의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고,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통일교육 연구에서는 민족주의를 주로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통일교육이 남북한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 이념으로부터 벗어나 열린 민족주의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민족주의에 대한 기존의 통일교육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논쟁적 사안인 민족주의 담론을 균형 있게 다루고 있지 않다. 통일교육의 이념으로서 민족주의는 한계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역할과 의의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는 민족주의에 대한 논쟁을 충분히 논의하지 않은 채, 그것의 위험성만을 강조해 온 경향이 있다. 둘째, 통일과 민족주의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고 있지 않다. 기존의 연구는 민족주의 이념을 지속적으로 비판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왜 여전히 통일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 않다.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 이념이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아가 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일과 민족주의 간의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는 이러한 통일과 민족주의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비교적 소홀했다. 셋째, 열린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진행하지 않았다. 현재 통일교육의 이념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열린 민족주의는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간의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해결책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열린 민족주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것이 기존의 민족주의와 어떤 차별성을 갖는지에 대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열린 민족주의 개념이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가능성을 토대로 성립된다는 점뿐만 아니라 사실상 그러한 양립가능성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 역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분석법을 활용하여 민족주의를 둘러싼 통일교육의 쟁점과 현황을 검토한 뒤,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민족주의에 대한 통일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열린 민족주의를 중요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통일 담론에서 열린 민족주의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민족주의를 둘러싼 통일교육의 쟁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열린 민족주의가 지닌 한계를 분석해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의 한계와 관련해 본 연구는 첫째, 통일교육에서의 민족주의 논쟁을 다뤘다. 민족주의 일반 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족주의에 기초한 통일교육을 지지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 양쪽의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민족주의가 통일의 논쟁적 주제에 해당함을 밝혔다. 둘째, 통일의 본질적 속성으로서 민족주의를 탐구하였다. 통일교육에서의 민족주의 이념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는 통일과 통합, 그리고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을 서로 구분하여 통일이 민족주의의 토대 위에서 성립 가능한 개념임을 밝혔다. 셋째, 열린 민족주의의 이론적∙실천적 한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열린 민족주의는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 가능성을 전제로 하며, 다양성과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동시에 정치적∙시민적 민족주의에 기초한 개념이다. 그러나 현재의 통일교육은 열린 민족주의를 표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내용과 맥락에서 열린 민족주의 이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열린 민족주의의 전제와 관련해,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와 민족주의의 결합이 이론적 모순을 내포하고 있음을 밝혔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열린 민족주의의 한계가 나타나는 근본적인 원인이 통일교육에 있음을 지적하였다. 첫째, 지금까지 통일교육은 남북한의 종족적∙문화적 동질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의 일상성을 간과해왔다. 둘째, 통일과 관련된 중요한 쟁점으로서 민족주의에 대한 논의를 충분히 진행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통일교육의 문제점으로부터 향후 통일교육이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했다. 먼저, 통일교육은 목표와 이념을 통해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민족주의뿐만 아니라, 통일교육의 구체적인 서술과 맥락에 내재되어 있는 암묵적이며 일상적인 형태의 민족주의 역시 경계해야 한다. 또한 통일교육은 사회적∙학문적으로 논쟁적인 주제들을 다룰 수 있어야 하며, 특히 민족주의의 논쟁적 성격을 고려해 이를 통일교육의 내용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통일교육이 민족주의에 대한 찬반론에서 벗어나, 통일과 민족주의 간의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가 어떻게 다뤄지고 있으며, 또한 통일 담론에 내재된 민족주의를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2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3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