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PEPC-MS)' 개념 탐색 및 척도 개발 : The Conceptua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Psychological Competency in Middle School(PEPC-MS) and the Development of Sca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민권

Advisor
권성호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체육수업심리 역량자기 성장 역량공동체 참여 역량physical educationpsychological competencyself-growth competencycommunity Engagement competenc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1. 2. 권성호.
Abstract
현대적 의미의 역량은 개인적 차원의 기능이나 지식적 수준을 넘어 가치를 포함하는 조직적 차원까지 포함하는 경쟁 전략의 구성요소로 개념적 전환이 이루어졌다. 특히, 인간의 내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심리적 역량은 역량 개념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지속적이고 꾸준한 교육을 통해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크다. 체육수업에서 역시 심리 역량이 갖는 교육적 의미는 증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한편, 교과 역량에 기반한 선행 연구는 주로 질적 연구 방법을 택하고 있으며, 이는 교과 역량 기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측정도구가 개발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PEPC-MS:Physical Education Psychological Competency in Middle School)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1에서는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개념을 탐색하기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한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의 개념에 따라 14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영역과 각 영역에 포함된 하위 요인별 개념으로 구성된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어서,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구안된 모형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여 자기 성장 역량 및 공동체 참여 역량과 같이 2개의 역량 영역과 각 영역별 4개의 하위 요인 구조를 마련하고, 각 영역 및 하위 요인별 개념을 정의하였다. 세부적으로 자기 성장 역량의 하위 요인은 긍정적 자기인식, 자기 관리, 진취성, 전략적 문제해결력으로 구성되었으며, 공동체 참여 역량은 존중, 협력적 소통, 규칙 준수, 공동체 의식이 하위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2에서는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가 진행되었다. 먼저, 델파이 조사 전문가 위원에게 요청하여 선정된 총 48개의 하위 요인별 문항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기 성장 역량 4요인 18문항, 공동체 참여 역량 4요인 15문항이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결정되었다. 개발된 척도는 내적 합치도, 문항-총점 상관 계수 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여, 각 요인에 포함된 문항들이 해당 요인을 잘 설명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요인들과 중복되지 않는 고유의 개념을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학교 체육수업 심리 역량 척도는 연구1에서 구안한 모형에 따라 중학교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심리 역량과 관련된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The meaning of competency has been conceptually transformed into a component of a competitive strategy that includes value beyond the function of a personal dimension or the level of knowledge level. In particular, psychological competency, which is an internal part of human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study of competency concepts, and it is of great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changes are made through continuous and steady educati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psychological competenc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an also be expected to increase. On the other hand, prior researches on curriculum-based competency mainly app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no scale has been developed that ha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based program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PEPC-MS(Physical Education Psychological Competency in Middle School) was explored and based on this, a scale of the physical education psychological competency in middle school was developed.
First, Study 1 conducted a Delphi survey of 14 exper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PEPC-MS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to explore the concept of PEPC-MS. We first propose a model consisting of the area of PEPC-MS and a subfactor-specific concept included in each area through a first Delphi survey. Subsequently, the 2nd and 3rd Delphi surveys carried out the validation work on the proposed model to prepare two competency areas, such as self-growth competency and community engagement competency, and to define the concepts for each domain and sub-factor. Specifically, sub-factors of self-growth competency consisted of positive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initiative, and strategic problem-solving, and community engagement competency were derived from respect, cooperative communication, rule complianc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Based on this, Research 2 developed and validated the PEPC-MS scale. First of all, a total of 48 sub-factors selected by Delphi investigation expert members were analyzed, and finally, 18 items of self-growth competency and 15 items of community engagement competency were determined to measure the PEPC-MS scale. The developed scale obtained reliab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nal compatibility and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s. Furthermore, we validate the concentration and discrimination validation, demonstrating that the items contained in each factor are measuring unique concepts that do not overlap with other factors while explaining the factors well. In other words, the PEPC-M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tool to identify and measure factors related to PEPC-MS according to the model proposed in Study 1.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3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