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채윤

Advisor
곽금주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girtstresssmartphone addictionadolescencemediating effect스트레스그릿스마트폰 중독청소년기매개효과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21. 2. 곽금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With the increased usage of smartphones among adolescents, numerous studies have examined smartphone addiction. However, most studies focused on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relatively few studies investigated how adolescents become addicted to smartphones. In fact, no known studies have reported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grit,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grit,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age 12 to 16. Particularly, w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Participants were 605 Korean adolescents (mean age = 13.97 yea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stress, grit, and smartphone addiction. Stress was assessed using the Daily Hassles Scales for Children in Korea developed by Han and Yoo (1995). Grit was measured by the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Original Grit Scale (Duckworth et al., 2007; Park et al., 2020). Finally, smartphone addic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develop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We analyzed the association of stress, grit,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using PROCESS macro version 3.5, and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gr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Finally, gr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ther words, high levels of stress reduced grit, which in turn increased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In addition, two factors of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both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olescent's daily stress may be a potential risk factor for smartphone addiction. Furthermore, by demonstr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stress leads to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lowered grit. This suggests that high level of grit is an important personal factor that may prevent the path of stress to smartphone addiction. Our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empirically investigate adolescent's grit in relation to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Moreover,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martphone addiction.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선행 연구들은 스마트폰 중독의 관련 요인에 대해 연구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중심적으로 다루었으며 청소년들이 어떻게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게 되는지 그 경로에 대한 탐색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한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그릿,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2세에서 16세 한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그릿,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605명의 한국 청소년들이 참여하였으며 (평균 연령 = 13.97세), 참여자들은 스트레스, 그릿, 스마트폰 중독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완료하였다. 스트레스는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Han & Yoo, 199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릿은 Original Grit Scale의 번안된 척도(Duckworth et al., 2007; Park et al., 2020)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중독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Pearson의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스트레스, 그릿, 스마트폰 중독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Hayes(2017)의 PROCESS macro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의 그릿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그릿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그릿은 낮아지고, 이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을 높이는 경향이 있었다. 게다가, 그릿의 두 하위 요소 (노력 지속과 흥미 유지) 모두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의 잠재적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그릿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지는 기제를 밝혔으며 그릿이 청소년기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을 완화하는 개인적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그릿을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과 연관시켜 탐색한 첫번째 경험적 연구이며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과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논의에는 이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1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3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