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국가적 케이팝 팬덤의 경계관리활동에 대한 연구 : Cringe Culture, Boundary Policing, and Hybridity in Transnational K-pop Fandom
크린지(Cringe) 문화의 혼종성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지원

Advisor
홍석경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케이팝팬덤크린지 문화혼종성코리아부경계관리K-popfandomcringe culturehybridityKoreabooboundary polic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1. 2. 홍석경.
Abstract
이 연구는 오늘날 초국가적 범주로 확장된 케이팝의 눈부신 성공의 이면에 가려진 팬덤의 해로운(toxic) 문화 실천의 문제의식 속에서 시작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지난 몇 년간 온라인 팬덤 문화 실천 중 하나로 떠오르게 된 크린지 문화(cringe culture)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초국가적 케이팝 팬덤의 복잡한 문화정치적 역학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대중문화, 인터넷 문화, 그리고 팬덤 문화까지 이어지는 크린지 문화의 계보를 추적하고, 크린지의 표현적 양상과 수사적인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크린지 문화란 인터넷상에서 포착되는 어색한 순간들을 유머의 틀 안에서 즐기는 일종의 놀이 문화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거리두기와 타자화의 도구로서 실천되는 크린지 문화의 양상에 주목하였는데, 무언가를 크린지라고 규명하는 것은 그것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행위이며, 크린지의 대상을 타자로 배치함으로써 함께 크린지를 느낀 사람들과의 공감을 기반으로 서로를 포괄하여 일종의 공동체가 형성되고 있었다.
케이팝 팬덤이 적극적으로 제작하고 유포하는 크린지 텍스트는 대부분 팬덤 그 자체에 대한 것이었다. 즉, 케이팝 팬덤은 크린지라는 형식을 활용하여 내부의 경계역학을 재구성하고 관리하며 팬의 규범을 정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케이팝 팬덤이 향유하는 크린지 문화가 제안하는 내부의 경계는 무엇이며, 이 경계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교섭의 장이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유튜브에 게시된 케이팝 관련 크린지 동영상과 댓글을 분석하여 팬덤이 수행하는 크린지 문화를 규명하고, 크린지 텍스트의 발화 과정에서 구성되는 의미 체계를 살펴보아 인종, 젠더, 지역 등 팬덤 내외부에 중층적으로 얽혀있는 사회적 권력 관계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케이팝 수용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을 온라인으로 이어줌으로써 기존 한국과 동아시아 팬덤에 의해 쌓인 팬 실천 방식에 균열을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균열은 기존에 존재하던 명확한 위계나 기대치가 결핍된 상태로서 케이팝 팬덤 내부에 일종의 복잡하고 어색한 상황을 만들어내고 있었는데, 팬덤의 규범을 재확립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논의와 교섭의 시도가 크린지 문화로 나타나고 있었다. 즉, 초국가적 케이팝 팬덤의 크린지 문화는 고유한 규칙과 사회적 연관성이 있는 문화 양식으로서 팬덤 참여 방식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진정한 팬과 아닌 사람들의 경계를 그려내기 위해 활용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규범을 설립하고자 하는 욕망은 궁극적으로 케이팝 팬이라는 정체성을 정당화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이어진다. 크린지 동영상의 주요한 소재로 코리아부가 등장했는데, 이는 한국 문화를 지나치게 칭송하여 한국인과 사귀고 싶어 하거나 한국인처럼 행동하는 팬들을 비하하는 용어로 팬덤 내외부에서 통용되고 있었으며, 케이팝 팬덤을 정당화하고 올바른 팬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궁극적으로 거리를 두어야 할 대상으로 견제되고 있었다. 이때 흥미로운 점은 케이팝 크린지 동영상에서 재현되는 코리아부는 대부분 백인 여성이라는 점이다. 크린지 문화는 백인 팬을 끊임없는 감시의 위치에 세우며 기존의 위계질서에 대한 전복의 움직임을 보여준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백인의 백인성을 불편한 인종적 정체성으로 가시화하고 올바른 팬의 담론으로부터 배제시킴으로써 권력의 재구성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케이팝의 혼종적 수용 정경에 백인이 들어오기 시작하며, 그들이 오리엔탈리즘적 페티시즘과 타자화를 범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불안감과 백인성의 권력에 대한 경계심이 팬덤이 내부적으로 해결해야하는 주요한 의제로서 크린지 문화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코리아부 문제는 젠더적・인종적・지역적 질서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아시안 남성에게 성애적으로 종속당하고자 하는 백인 여성의 관계를 그려내며 헤게모니 질서를 더욱 어지럽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크린지 문화의 형식을 유형화하고 이를 통해 초국가적 케이팝 팬덤의 경계 관리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팬덤 참여가 구성하는 교섭의 장 안에서 권력 주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충돌하며 기존의 권력 관계 지형에 도전하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케이팝 팬덤의 크린지 문화는 초국가적 맥락에서 동아시아 대중문화를 둘러싼 사회 질서를 재구조화하는 케이팝의 독특한 혼종적 정체성을 밝힐 수 있는 주요한 텍스트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정체성 논의에 참여하고 권력 구조에 도전하는 케이팝 팬덤의 문화 실천은 서구 중심의 대중문화 질서를 넘어서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아직 해결되지 않은 전 지구적 케이팝 수용과 관련된 본질적 질문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가능해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 동아시아, 그리고 전 세계를 아우르는 케이팝의 영향력이 실현되는 팬덤의 마냥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다양한 수용 방식과 이를 통해 드러나는 교차적 갈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탐색하기 위한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남긴다.
This thesis examined toxic cultural practices of the transnational K-pop fandom, which has often been overshadowed by K-pops rapid success across the globe. More specifically, it explored the rising popularity of cringe culture within the fan community, and the complex cultural politics of fan participation and identity negotiation it entails.
First, the genealogy of cringe, which spans from television, Internet culture, to fandom cultures, was outlined along with a discussion of the expressions and rhetorical effects of cringe. The study defined cringe culture as a kind of play that captures awkward moments of the Internet within a framework of humor. In particular, cringe culture was viewed as a tool for distancing and Othering; to identify something as cringe is an act of placing it as Other and distancing oneself from it, and through this process, a sense of community is forged within those who mutually cringe.
Within the transnational K-pop fan community, fans actively produced and distributed cringe videos, the subject of which was mostly about the fandom itself. In other words, K-pop fans utilized the cringe form to reconstruct and control the internal dynamics of the fandom, and to define fan participation norm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boundaries suggested by cringe culture and what kind of identity negotiations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se boundaries. To do so, K-pop cringe videos uploaded on YouTube and their subsequent com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istinctive cringe culture of K-pop fan communities, as well as the semantic systems formed in the utterances of cringe,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racial and gendered power dynamics intertwined within the spaces of transnational fan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reception of K-pop across the globe in ever-increasing capacities was creating gaps in fan participation norms first constructed by Korean and East Asian fandoms. As the online realm connects more and more cultures through the shared love of K-pop, these gaps become clearer, leading to an awkward and complex condition defined by the lack of clear-cut hierarchies and expectations. Cringe videos can be seen as the fandoms attempt to recover these gaps and minimize awkwardness by reestablishing fandom norms through active discussion and negotiation. In other words, the cringe culture of the transnational K-pop fandom was being utilized as a means to shape discourses on how to participate in the fandom correctly and to draw the boundaries between authentic and non-authentic fans.
Such desires to establish norms ultimately lead to the desire to legitimize the K-pop fan identity. Many of the cringe videos dealt with the Koreaboo - a derogatory term to describe fans who are overly obsessed with Korean culture – who are portrayed as those who must be ultimately avoided in order to become authentic, legitimate fans. Most of the Koreaboos represented in cringe videos were white women. K-pop fandoms cringe videos placed white fans in a position of constant surveillance, making visible the whiteness of white fans as a problematic racial identity and excluding them from the discourses of proper fan participation. This signaled the subversion of existing hierarchies where power dynamics between white fans and non-white texts are reconstructed. As white fans enter the landscape of K-pops hybrid reception, anxieties surrounding the potential for Orientalist fetishism and Othering emerged as important agendas to be discussed and resolved internally within the fandom; one way these anxieties manifested is through cringe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Koreaboo problem - which lies in the intersection of gender, race, and locality – further disrupted the hegemonic order in its depiction of the complex dynamics of white women who want to be sexually subordinated to Asian men.
Ultimately, this study discussed the ways in which subjects of power collided and challenged the existing power relations as depicted by fans participation in cringe culture. It suggested that the cringe videos of transnational K-pop fans are important texts that reveal K-pops unique hybrid identity, with the potential to restructure local and global forces and subvert existing hierarchies within a transnational context.
Transnational K-pop fan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of individual and communal identity and challenge existing social forces in an attempt to legitimize their fannish interests in their own local experiences. Such practices suggest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the existing orders of popular culture consumption centered around the West, and raise important questions related to the global consumption of K-pop that have yet to be resolved. As such, this study ends on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regarding the myriad practices of K-pop fans across the globe, which are not always positive, and the intersectional conflicts these practices may call attention to.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2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