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인구집단에서 종교 점화가 독재자게임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ligious priming on the behavior of a Korean sample in a dictator gam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희정

Advisor
박순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협력종교초자연적 감시초자연적 처벌친사회성독재자 게임cooperationreligionsupernatural monitoringsupernatural punishmentprosocialitydictator gam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1. 2. 박순영.
Abstract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human society is large-scale cooperation among genetically unrelated individuals. Such group cooperation is unique in the animal world. In a relatively small group, reciprocal altruism or indirect reciprocity based on reputation can lead to cooperation and altruistic behavior among non-kin. However, as the size of the group grows, anonymity is strengthened, and it is harder for reputation to influence peoples behavior. Free-riders, who do not participate in cooperative efforts but reap the benefits of such cooperation, pose a serious threat to a large group and can easily result in the collapse of cooperative efforts. Studies have shown that punishment is an effective mechanism that can help maintain large-scale cooperation by deterring free-riders. Punishment, however, incurs costs to the punishing individuals and thus raises the question of who will bear such costs, creating the problem of second-order free-riders. Religion has been put forward as one mechanism that could have contributed to large-scale cooperation by solving the problems of punishment and suppressing selfishness.
In their highly cited experiment, Shariff and Norenzayan(2007) showed that priming participants with religious concepts made them behave more prosocially in an anonymous economic game. It has been suggested that religion can make people more altruistic and observant of social norms through beliefs in supernatural agents or power that monitor and punish people even when others are not around. Punishment by supernatural agents like God can be much more effective than punishment carried out by other humans or institutions. Shariff and Norenzayan(2007)s study demonstrating that religion promotes prosociality and subsequent studies inspired by their results have expanded to hypotheses that religious beliefs, which often entail supernatural monitoring and punishment, provided adaptive benefits and thus have been selected at the individual or group level over the course of human history. However,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rosocialit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human cooperation, most studies on the topic to date have been conducted in Western contexts. Therefore, the need to empirically test the effect of religious priming on a more diverse sample is raise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priming and increased prosocial tendencies observed in Shariff and Norenzayan(2007)s experiment can be generalized to different cultural contexts.
In this study, Korean participants first performed a scrambled sentence task designed to implicitly prime religious concepts used in previous studies, secular concepts related to moral authority, or religious concepts that were expected to evoke thoughts of supernatural monitoring or punishment in Koreans. Participants then played a one-shot dictator game, in which they were assigned to the role of giver and asked to decide how to share an endowment with an anonymous receiver. Through this experime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whether the participants primed with religious words and words related to secular institutions of morality made more generous offers in the dictator game.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primed with religious words used in previous studies, words related to secular moral authority, and Korean religious words did not behave more prosocially in the dictator game. Participants religion and self-reported belief in God also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llocation amou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line with those of recent studies which tested the effect of religious priming in East Asian contexts but failed to find a significant effect, raising questions about the generalizability of religious priming. More thorough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whether beliefs in supernatural monitoring and punishment have, by promoting cooperation,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and maintenance of large societies in East Asian cultures, and if not, what are the factors facilitating prosociality in East Asia or Korea.
인간 사회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유전적으로 관련이 없는 개체들 간의 대규모 협력이다. 이와 같은 집단 협력은 자연계에서 예외적인 현상이다. 규모가 제한적인 집단에서는 이타적 호혜주의나 평판에 기반한 간접 호혜성이 비친족 간의 협력과 이타적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하지만 집단의 규모가 커지면 익명성이 강화되어 평판의 효과가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대규모 집단에서는 협동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그 혜택은 누리는 무임승차의 문제가 불거지는데, 이러한 무임승차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협력은 쉽게 붕괴된다. 처벌은 무임승차를 저지해 대규모 협력을 가능케하는 기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처벌은 처벌자에게 비용 부담이 발생하기 때문에, 2차 무임승차의 문제를 낳고 누가 처벌을 맡을지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처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간의 이기심을 억제해 협력에 기여했을 한가지 기제로 종교가 제시된다.
샤리프와 노렌자얀(Shariff & Norenzayan, 2007)의 실험연구에서는 종교를 점화하면 사람들이 행동경제게임에서 더 친사회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종교는 다른 사람이 주변에 없을 때도 나의 행동을 감시하고 처벌하는 초자연적 존재나 힘에 대한 믿음을 통해 사람들을 보다 이타적이고 협력 규범을 준수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신과 같은 초자연적 존재의 처벌은 다른 인간이나 기관에 의한 처벌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종교가 친사회성을 증진시킨다는 샤리프와 노렌자얀의 연구결과와 이에 기반한 후속연구들은 초자연적인 감시와 처벌을 시사하는 종교적 믿음이 적응적 이득을 제공해 인류사에서 개체 또는 집단 수준에서 선택되었다는 가설들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종교와 친사회성 간의 관계가 인간 사회의 협력 양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소수의 서구 국가들에서 수행되었다. 따라서 종교 점화의 효과를 보다 다양한 문화권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샤리프와 노렌자얀의 연구에서 관찰된 종교 점화와 친사회성 증진 간의 인과적 관계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인지 확인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참여자들로 하여금 문장구성과제를 수행하게 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종교적 개념이나 도덕적 판단과 관련된 세속적 제도, 또는 한국인에게서 초자연적 감시와 처벌의 느낌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예상되는 종교적 개념을 점화했다. 이어서 참여자들은 낯선 익명의 상대방과 돈을 나눠 가지는 독재자 게임에서 분배자 역할을 맡았다. 이를 통해 종교나 세속적 제도와 관련된 단어를 점화한 참여자들이 독재자 게임에서 더 관대하게 돈을 분배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실험 결과, 선행연구 종교 조건, 세속적 제도 조건, 한국 종교 조건에 배정된 참여자들은 통제조건의 참여자들보다 더 관대하게 행동하지 않았다. 참여자의 종교나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도 분배금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최근 동아시아 문화에서 종교적 친사회성 가설을 검증하였으나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하지 못한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하며, 해당 가설의 일반화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동아시아 문화에서도 초자연적 감시와 처벌에 대한 믿음이 협력을 증진시켜 대규모 사회 형성 및 유지에 기여했는지, 만일 아니라면 동아시아나 한국에서 친사회성을 촉진시키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추가조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2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