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본군위안부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 : The Meaning of Harm and Victim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Focusing on Litigation on the Illegality of an Omission on the Agreement on the Settlement of Problem concerning Property and Claim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한일청구권협정 부작위 위헌소송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추지현-
dc.contributor.author이재임-
dc.date.accessioned2021-11-30T04:21:28Z-
dc.date.available2021-11-30T04:21:28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586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5654-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6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2021. 2. 추지현.-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일본군위안부를 어떻게 문제화해왔는지를 피해와 피해자에 대한 이해방식을 통해 탐구했다. 이를 위해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작위의무를 둘러싸고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가 경합했던 한일청구권협정 부작위 위헌소송(2006-2011)의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불운한 삶을 살아온 할머니에 불과했던 일본군위안부는 1987년 민주화 이후 과거사청산 운동과 반성폭력 운동의 흐름에서 피해자로 호명되기 시작했다. 정신대문제 운동은 피해자를 투쟁가로, 이들의 개별화된 고통을 정치적 동력으로 변환시키고자 노력했고 1990년대 이들에 대한 보호와 지원이 제도화되었다. 이후 2000년대 인권 담론의 확장과 과거사청산 작업의 본격화와 함께 피해자는 인권 주체로서 논의되기 시작했고 이들의 고통은 사회공동체의 기억과 인권을 위해 이야기되었다. 즉, 소송 이전 피해자를 권리 주체로 보는 관점이 등장했고, 이것은 여전히 이들을 인도주의적 보호·지원 대상으로 보는 관점과 병존했다.
위헌소송에서 피해자의 배상청구권 실현을 위한 한국 정부의 작위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외교통상부의 주장은 피해자를 권리 주체가 아닌 보호·지원의 대상으로 축소하는 것을 의미했다. 특히 외교적 보호권 논의에서 피해자는 인권과 평화와 배치되는 국익을 추구하는 국가 중심의 외교 행위 대상으로 부차화되었다. 또한, 외교통상부는 피해를 미래를 재고하도록 하는 현재의 인권문제가 아닌 한국 정부의 부작위와 관계없는, 식민지 시기 누구라도 겪을 수 있었던 과거의 사건으로 복속시켰다. 피해자들의 고통은 이들의 권리 회복 대신 개개인에 대한 인도주의적 조치를 정당화하는 개인의 아픔으로 소환되었지만, 담론경합에서 피해의 특수성과 사회적 차원이 논의되지 못하면서 이 경향은 제어되지 못했다.
2010년대 피해자 기표와 이들의 고통이 탈정치화되고 개인화되는 양상이 강화되면서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해결은 피해자들의 고통 경감에 있다는, 사회운동에 대한 백래쉬가 일었다. 2015년 12.28 한일 위안부 합의가 보여주듯 그 가운데 여성의 경험을 통한 평화구축, 그리고 사회 변혁을 통한 재발 방지를 요구해온 여성운동의 문제 제기는 관철되지 못하고 있다. 페미니스트 이행기 정의의 실현을 위해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를 재의미화해야 하는 이유다.
본 논문은 위헌소송의 담론경합에서 드러난, 한국 정부가 상정한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와 그것을 전제로 한 대항 담론이 일본군위안부 운동의 피해자 정치(politics of victimhood)를 무력화하고 페미니즘의 논의를 굴절시키고 있음을 밝혔다는 의의를 갖는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plored how South Korean society has represented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o be a problem through a way of understanding harm and victim. To this end, research data of litigation surrounding the illegality of an omission in the Agreement(2006-2011) were examined, in which the meanings of harm and victim competed with each other o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commissive duty to act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ho had been only known as old women with unfortunate lives, began to be recognized as victim through the movements to face the past and the movements against sexual violence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The movement surround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 tried to transform victims into fighters and their individual suffering into political movements. In addition,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 comfort women became institutionalized in the 1990s. Later, in the 2000s, along with the expanded discussion of human rights and full-scale work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the past, the victim began to be discussed as a subject of human rights, and their sufferings were shared by the social community for the memory and human right. In other words, prior to the lawsuit, a new perspective on victim appeared which viewed them as a subject of rights, and this new perspective coexisted with the humanitarian one of seeing them as subjects deserving protection and suppor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sserte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oes not have a commissive duty to make the victim's right to claim for reparation valid in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This implied a narrower definition of victim as the recipients of protection and support, not as subjects with rights. In particular, victim have been marginalized by state-centered diplomatic activities that pursue national interests contrary to human rights and peace in the discussion of the right of diplomatic protection. In addition, the Ministry has minimized the concept of harm into a past incident that anyone in the colonial period could have experienced and which does not have anything to do with the omission in the Agreement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ather than as a human rights issue that allow people to reconsider the future. The suffering of the victims was recalled as individual pain that justified humanitarian measures for individuals instead of restoring their rights. However, this trend could not be controlled as the specificity and social dimension of the harms were not discussed.
In the 2010s, as the signifier of victims and their suffering became depoliticized and got more and more personalized, a backlash to the social movement occurred which claimed that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could be resolved by alleviating victims pain. Even though feminist movement requested the prevention of recurring problems through social transformation and the peacebuilding based on womens experiences, their request has not been fulfilled, as shown in the Korea-Japan Agreement of December 28, 2015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Issue. This is why the definition of harm and victim must be re-defined in order to make feminists transitional justice feasible.
This paper is meaningful for the following reason. It uncovered the definition of harm and victim used by South Korean government in the competitive discussion of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based on that, the counter-discourse has paralyzed the politics of victimhood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and distorted the discussion on feminism.
keywords : Victim,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Human Right, Peacebuilding, Transitional Justice, Transnational Feminist Move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 질문 1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3
1. 민족 담론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 여성 피해자의 주변화 3
2. 증언과 기억의 젠더 정치: 피해자 관점의 확장 6
3. 국제법과 국제정치에서의 피해자의 권리 9
제 3 절 이론적 배경 13
1. 신자유주의와 '피해자 정치(politics of victimhood)'의 의미 변화 14
2. 이행기 정의와 변혁적 정의, 페미니스트 접근 19
제 4 절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24
1. 연구 자료 24
2. 연구 방법 26
제 2 장 일본군'위안부'의 문제화 과정: '피해자'의 부상 28
제 1 절 1990년대 이전: 피해와 피해자의 출현 28
1. 민족의 상처로서의 피해의 가시화 28
2. 피해자의 발화와 침묵의 지속: 불운한 노인 여성으로서의 피해자 31
제 2 절 1990년대: 과거사청산 운동의 등장과 피해 지원의 제도화 33
1. 정신대문제 운동과 '피해자' 호명: 투쟁가로서의 피해자 33
2. 위안부 지원법과 정부의 외교정책: 인도주의적 지원대상으로서의 피해자 40
제 3 절 2000년대: 인권 담론의 확장과 피해자 위상의 변화 46
1. 국제인권레짐과 과거사 청산작업, 피해자 명명의 제도화: 인권침해 당사자로서의 피해자 46
2. 국제인권법과 초국적 여성운동: 권리 주체로서의 피해자 52
제 4 절 소결 58
제 3 장 일본군'위안부' '피해'와 '피해자'를 둘러싼 담론경합 60
제 1 절 소송의 경과와 법적 쟁점 및 결정 60
제 2 절 피해자의 위상: 권리 주체와 보호 대상 65
1. 운동과 정책의 간극: 투쟁가 혹은 지원대상 65
2. 피해자권리 보장에 대한 해석: 국가의 의무 혹은 재량 69
제 3 절 피해의 역사성: 지속되는 과거와 상상 불가능한 미래 76
1. 일제 강제동원으로서의 경중: 보편성 혹은 특수성 76
2. 피해 구제에 대한 해석: 과거에 한정된 피해 혹은 회복되어야 할 현재의 피해 82
제 4 절 고통의 해석 87
1. 피해자: 고통과 인정의 대상 87
2. 피해: 국가의 개입을 요구하는 고통의 맥락 91
제 5 절 소결 96
제 4 장 '피해자' 호명과 젠더화된 평화구축의 과제 98
제 1 절 피해를 통한 한일관계의 재구축: 피해자의 인권과 국익 98
제 2 절 여성의 발화와 경험 해석을 둘러싼 국제정치: 젠더 관점에서의 평화구축 104
제 3 절 위헌결정 이후: 피해/자 담론의 지속과 평화구축의 지연 108
제 4 절 소결 115
제 5 장 결론 117
참고문헌 121
별첨 135
Abstract 141
-
dc.format.extentvi, 14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피해자-
dc.subject일본군‘위안부’-
dc.subject인권-
dc.subject평화구축-
dc.subject이행기 정의-
dc.subject초국적 여성운동-
dc.subjectVictim-
dc.subject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dc.subjectHuman Right-
dc.subjectPeacebuilding-
dc.subjectTransitional Justice-
dc.subjectTransnational Feminist Movemen-
dc.subject.ddc305.4-
dc.title일본군위안부 피해와 피해자의 의미-
dc.title.alternativeThe Meaning of Harm and Victim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Focusing on Litigation on the Illegality of an Omission on the Agreement on the Settlement of Problem concerning Property and Claim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aeim LEE-
dc.contributor.department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1-02-
dc.title.subtitle한일청구권협정 부작위 위헌소송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586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586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