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ssociation between diet quality and prevalence of obesity, dyslipidemia, and insulin resistance: The Filipino Womens Diet and Health Study (FiLWHEL) : 필리핀 이주여성의 식사의 질과 비만, 이상지질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 연구: 필리핀 여성건강연구(FiLWHE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희선

Advisor
이정은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Dietary diversityObesityDyslipidemiaInsulin resistanceInflammationCross-sectional studies식사의 다양성비만이상지질혈증인슐린 저항성염증단면연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2021. 2. 이정은.
Abstract
한국사회는 결혼을 통한 이민자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이민으로 인한 식습관 및 건강 상태 변화가 중요한 관심사로 주목 받고 있다. 국내 이민자의 경우 본국에서 가지고 있던 식습관과 한국으로 이민 후 형성된 식습관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식사요인과 만성질환 위험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것이 건강한 삶의 질 추구에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필리핀 여성건강연구(Filipino Womens Diet and Health Study, FiLWHEL)는 2014-2016 기저조사 동안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해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생활습관을 조사하였다. 식사조사는 1일치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해 조사하였으며 체질량지수는 수집된 몸무게와 키를 통해 계산하였다. 혈액검사는 8시간 이상 공복 후 채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iLWHEL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도상국 여성 대상 식이 질 점수인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FAO)의 여성 최저식이다양성(Minimum Dietary Diversity for Women, MDD-W) 점수와, 한국인 염증 지표인 자료기반 염증지수(Data Derived Inflammatory Index, DDII)를 사용해 국내 필리핀 이주여성의 비만 및 이상지질혈증 유병률과 각 점수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MDD-W는 FAO에서 개발도상국 여성의 적정 미량영양소 섭취 파악을 위해 개발되었다. DDII는 서울대학교 영양역학 연구실에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사업의 도시기반 코호트의 식이 및 생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성염증지표인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수치를 예측하는 모델로서 개발되었다. 비만은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 기준에 따라 정의하였고 이상지질혈증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분류 기준을 따라 정의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MDD-W 삼분위수와 DDII 오분위수에 따라 비만 및 이상지질혈증 지표의 오즈비(Odds Ratios, ORs)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s, 95%CIs)을 산출하였으며 다변량 모델에서 각 식사의 질 점수에 따라 다른 보정변수가 포함되었다. 잠재적 상호작용 변수로 나이, 국내 거주기간 및 체질량지수에 따른 층화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화 선형 모델을 이용해 DDII의 오분위수와 실제 hsCRP 수치의 경향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자료의 통계분석에서 SAS version 9.4를 이용하였고 유의 수준 0.05 미만으로 양측검정 하였다. MDD-W 분석결과, 5점 미만의 대상자와 비교해 5점 초과의 대상자에서 복부 비만 유병률이 42% (OR=0.58, 95%CI=0.36-0.94, p for trend=0.03) 감소했다. DDII 점수가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가장 높은 집단의 오즈비(95%CIs)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이 3.48배 (1.85-6.54), 높은 저밀도지단백질이 4.28배 (2.05-8.93), 고중성지방혈증이 7.30배 (2.76-19.36), 높은 당화혈색소가 3.71배 (2.01-6.84), 공복혈당 장애가 2.63배 (1.09-6.33), 고인슐린혈증이 10.71배 (4.50-25.48), 인슐린 저항성이 10.31배 (4.64-22.9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for trend <0.01 for all). 층화분석을 실시한 결과, DDII 점수 하위 60% 집단과 상위 40% 집단을 비교했을 때 국내 거주기간이 8년 이하인 집단에서 상위 40% 집단의 저밀도지단백질 오즈비(95%CIs)가 5.77배로 더욱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for interaction=0.02).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식품군을 섭취할수록 복부비만 유병률이 감소하고, DDII에 의한 염증지수가 높아질수록 이상지질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결혼이민자는 결혼을 통해 다문화 가정 및 후속세대의 건강 및 지속 가능한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이민자의 본국과 이주국가의 식생활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지표가 국내 이민자의 만성질환 예방에 활용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 영양관리 활동에서 이민자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식사지침 및 식사의 질 지표의 개발과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ith the rise of non-communicable disease world-wide, diet quality may be a key modifiable factor for the prevention of non-communicable diseas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quality and prevalence of obesity, dyslipidemia, and insulin resistance among Filipino immigrant women in Korea. A total of 413 participants of 2014-2016 baseline population from the Filipino Womens Diet and Health Study (FiLWHEL) were examined. Individual dietary intakes were evaluated through 24-hour recalls, then converted to two dietary quality scores; Minimum Dietary Diversity for Women (MDD-W) developed b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and Data Derived Inflammation Index (DDII) originally developed by the nutritional epidemiology laborato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lood triglycerides,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s, glucose, and insulin levels were examined from the fasting blood samples. Logistic regression models was used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MDD-W scores and decreased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OR (95%CIs) of the top vs the bottom category was 0.58 (0.36-0.94; p for trend=0.03). Increased inflammatory index was associated with elevated prevalence of dyslipidemia and insulin resistance; ORs (95%CIs) of the highest vs the lowest categories were 3.48 (1.85-6.54) for total cholesterols, 4.28 (2.05-8.93) for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s, 7.30 (2.76-19.36) for triglycerides, 7.24 (2.79-18.76) for high triglycerides to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s ratio, 3.71 (2.01-6.84) for glycated hemoglobin, 2.63 (1.09-6.33) for blood glucose, 10.71 (4.50-25.48) for insulin, and 10.31 (4.64-22.93) for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p for trend <0.01 for all). Greater dietary diversity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in Filipino immigrant women. Pro-inflammatory scores based on diet and lifestyl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prevalence of dyslipidemia and insulin resistance. Concerning the growing proportion of multicultural family unit, the immigrants may have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well-being of the future generat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suggests a need for population-specific public health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ing dietary guidelines for non-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concerning the metabolic differences of the target population. Further epidemiological studies on dietary quality index in relation to the chronic disease are warranted.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6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0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