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옥천군 보건소의 비상대응체제 운영이 보건소 내원 고혈압 환자군의 혈압 관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COVID-19 emergency response system on the blood pressur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visiting Okcheon-gun public health cente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재우

Advisor
홍윤철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고혈압코로나19 바이러스코로나19 범유행보건소HypertensionSARS-CoV-2COVID-19 pandemicPublic health cent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1. 2. 홍윤철.
Abstract
Hypertension is the most common geriatric disease. Primary health care takes the largest part in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in South Korea, public health care centers in particular play a major role. Each local government manages a public medical system to allow local patients to conveniently receive periodic treatment, preventing complications such as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Recently, the COVID-19 outbreak, which began in December 2019 and spread as a global pandemic,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disaster in South Korea, and these public health centers were used as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scontinuation of periodic follow-up at a public health center in Okcheon-gun, Chungcheongbuk-do on the blood pressure management of hypertensive patients who visited the public health center regularly. The outpatient clinic of the public health center was totally shut down from March 1, 2020 to April 21, 2020, and then re-opened from April 22, focusing on chronic disease patients. The study group was selected among patients who visited the re-opened clinic from April 22 to the end of May, diagnosed with hypertension, and had a regular follow-up in the public health center. Through the health center medical records, the blood pressure measured at present time of visit for each patient was compared with the blood pressure measured at the last visit before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other comorbid diseas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registered disease code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a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for patients especially with diabetes or dyslipidemia. In addition, the clinical control status of systolic blood pressure was defined as uncontrolled if the value was the same or higher than 140 mmHg, and the change in the clinical control status at the time of visit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as analyzed.
Out of a total of 573 patients that visited the center, 306 patients (53.4%) were treated for hypertension, and among them, 235 patients were enrolled. The average blood pressure of all subjects was 136.9/78.0mmHg after the COVID-19 pandemic, which is 4.4mmHg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SBP)(P < 0.001) and 1.7mmHg higher diastolic blood pressure(DBP)(P < 0.05) than the average blood pressure before the COVID-19 pandemic. In the case of mean arterial pressure(MAP) which is calculated from SBP and DBP, there was an increase from 95.1mmHg to 97.5mmHg after the COVID-19 pandemic(P < 0.001). Among the study group, 127 patients did not have diabetes or dyslipidemia, 79 patients had either one of diabetes or dyslipidemia, and 29 patients had both diabetes and dyslipidemia,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A, B, and C. In subgroup A, there was 5.1mmHg increase of SBP(P < 0.001), 1.9mmHg increase of DBP(P < 0.05), and 3.0mmHg increase of MAP(P < 0.05). In subgroup B, there was an increase of 3.0mmHg SBP, 1.8mmHg DBP, and 2.2mmHg MAP whereas the increase of SBP was a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P = 0.047). In subgroup C, there was an increase of 4.8mmHg SBP, 0.1mmHg DBP, and 1.7mmHg MAP whereas the increase of SBP was a only nearl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P =0.054).
For the clinical control status of the SBP, 55% of all subjects maintained the status of controlle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15% maintained the uncontrolled state, 23% changed from controlled to uncontrolled, and 7.7% changed from uncontrolled to controlled stat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uncontrolled state showed a high increase(χ-square test, P < 0.001).
In additio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for clinical control status and the odds ratio of the uncontrolled state after the COVID-19 pandemic to the controlled state before the COVID-19 pandemic was measured as 0.20(P < 0.001). Sex and diabetes variables were found as significant variables which correlate with the change of the clinical control status. For female, the risk of changing to uncontroled state after the COVID-19 pandemic was 3.0 times higher than that for male, and for diabetic patients, the risk of changing to uncontroled state after the COVID-19 pandemic was 3.1 times higher than that for nondiabetic hypertension patients(P < 0.05).
The blood pressure of hypertensive patients managed by Okcheon public health cente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4.4/1.7mmHg after termination of regular follow-up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for about 2 month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 clinical status of uncontrolled SBP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3% to 37%.
고혈압은 가장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서, 지역사회 일차의료가 담당하는 비중이 높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소 등의 공공의료의 역할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기적인 경과 관찰을 통하여 혈관 질환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여 환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자체별로 보건의료체계를 갖추고 있다.
한편, 2019년 12월부터 시작되어 전세계적 범유행으로 퍼지게 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사태(이하 코로나 사태)는 한국에서도 국가적재난사태로 인지되어 보건의료체계를 비상대응체제로 운영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지자체의 보건소들은 정상 진료를 중단 또는 축소 운영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옥천군 보건소의 정상 진료 중단이 보건소에 주기적으로 내원하는 고혈압 환자군의 혈압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0년 3월 1일부터 2020년 4월 21일까지 보건소 진료가 완전히 중단되었다가 4월 22일부터 만성질환 위주의 축소 운영이 시작된 이후 5월 말일까지 재진으로 내원한 고혈압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보건소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각 환자에 대해 내원 시 측정한 혈압과 코로나 사태 이전 마지막으로 내원하여 측정한 혈압을 비교하였다. 또한, 고혈압 환자의 함께 등록된 상병을 이용하여 동반질환을 조사하였고, 특히 당뇨 또는 이상지질혈증이 동반된 환자군에 대하여 추가적인 혈압 비교를 시행하였다. 한편, 전체 대상자의 수축기 혈압의 임상적 조절 상태를 140mmHg을 기준으로 수치가 낮으면 조절, 수치가 같거나 높으면 비조절로 정의하여 구분한 후 코로나 사태 전 후 내원시 임상적 조절 상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고, 여러 요인과의 상관성 분석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방문 환자 573명 중 고혈압 환자는 306명으로, 고혈압 진료 비중이 53.4%임을 확인하였고, 이 중 전체 대상자 수는 235명이었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혈압은 코로나 사태 이후 136.9/78.0mmHg로 측정되어 코로나 사태 이전의 132.6/76.3mmHg에 비해 수축기 혈압은 4.4mmHg(P < 0.001), 이완기 혈압은 1.7mmHg(P < 0.05)의 상승이 관찰되었다. 측정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이용하여 계산된 평균 동맥압의 경우 코로나 사태 이후 97.5mmHg로 코로나 사태 이전의 95.1mmHg에 비해 2.4mmHg(P < 0.001)의 상승이 관찰되었다.
한편,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군 127명, 당뇨 또는 이상지질혈증 중 하나만 동반된 환자군 79명, 당뇨와 이상지질혈증이 모두 동반된 환자군 29명에 대해 각각 소집단 A, B, C로 설정하여 추가적인 혈압 비교를 시행하였고 소집단 A의 경우 수축기 혈압 5.1mmHg(P < 0.001), 이완기 혈압 1.9mmHg(P < 0.05), 평균 동맥압 3.0mmHg(P < 0.05)의 유의한 혈압 상승이 관찰되었다. 소집단 B의 경우 수축기 혈압 3.0mmHg, 이완기 혈압 1.8mmHg, 평균 동맥압 2.2mmHg의 혈압 상승이 관찰되었으나 수축기 혈압 차이만 유의하게 나타났고(P = 0.047) 소집단 C의 경우 수축기 혈압 4.8mmHg, 이완기 혈압 0.1mmHg, 평균 동맥압 1.7mmHg의 혈압 상승이 관찰되었으나 수축기 혈압 차이만 유의확률 0.054 정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코로나 사태 전 후 전체 대상자의 수축기 혈압의 임상적 조절은 조절 상태를 유지한 경우 55%, 비조절 상태를 유지한 경우 15%, 조절 상태에서 비조절 상태로 변화한 경우 23%, 비조절 상태에서 조절 상태로 변화한 경우 7.7%로 측정되어 비조절 상태 분율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χ-square test, P < 0.001).
또한, 비조절 상태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해 본 결과 코로나 사태 전 조절 상태인 경우 코로나 사태 후 비조절 상태가 될 위험도는 0.20로 측정되었고(P < 0.001), 코로나 사태 전 조절 상태의 환자군 중에서 성별이 여자인 경우 코로나 사태 후 비조절 상태로 변화할 위험도가 남자에 비해 3.0배 높았고 당뇨병 환자의 경우 코로나 사태 후 비조절 상태로 변화할 위험도가 3.1배 높았다(P < 0.05).
정리하면, 약 2개월 간 코로나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보건소 진료를 중단함으로써 보건소에서 관리하던 지역사회 고혈압 환자들에게서 평균 4.4/1.7mmHg의 유의한 혈압 상승이 관찰되었고, 임상적으로 혈압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는 환자의 분율이 23%에서 37%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6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9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