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대 전환기 서양의 한국 인식 : The Modern Western Perception of Korea: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Knowledge in Bibliographies from the Eighteenth to Twentieth Century
18-20세기 전반 문헌 목록의 지식 분류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민재

Advisor
허수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 인식한국학문헌 목록지식 분류재한 서양인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Korean studiesBibliographyclassification of knowledgeWestern perception of KoreaWestern view of KoreaOriental studiesChinese EmpireJapanese EmpireWesterners in Korea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Regional studie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1. 2. 허수.
Abstract
본 연구는 서양어 문헌 목록을 통해 서양이 한국을 인식하게 되는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한국 인식의 특질을 고찰한다. 동서 간의 접촉과 교류가 시작된 이래로, 아시아에 관한 지식은 각종 문서와 저술의 형태로 축적되었다. 문헌 목록은 그렇게 축적된 개별적 지식을 수집, 선별, 배치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주체의 인식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문헌 목록을 주요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문헌의 선별과 분류, 그리고 배치 속에 한국에 대한 서양의 인식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특히, 문헌의 분류와 배치에는 한국을 포함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서양의 선이해가 작용한다. 문헌 목록은 또한, 일정한 수준 이상의 연속성과 사회성이 담보된 자료이다. 문헌 목록은 그 대상이 되는 지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문헌의 선별과 분류, 그리고 배치는 당대의 학적 담론과 인식을 토대로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즉,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문헌의 분류와 배치가 납득 가능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문헌 목록에 대한 분석은 저자나 저술에 대한 내용적 분석에 따르는 개별성ㆍ특수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문헌 목록은 또한, 축적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그것이 동일한 편찬자에 의해 작성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지식의 대상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내용적으로 연속성을 갖는다. 따라서 각 시기별 문헌 목록을 통해 지식의 선별, 분류, 그리고 배치가 이루어지는 방식의 장기적인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분류체계 및 분류 항목의 전승 관계에 주목하였다. 또한, 각 문헌 목록에 수록된 한국 관련 저술들을 데이터화하여 지식의 생산과 축적에서 나타난 변화의 양상들을 주제별ㆍ시기별ㆍ발행주체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지하듯이, 한국과 서양의 직접 교류가 본격화된 것은 19세기 후반부터였는데, 당시에는 복수의 한국 관련 서양어 저술을 통해 근대 서양의 문명론에 입각한 한국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런데 전통시대에는 한국과 서양의 교류가 중국, 일본에 비해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비정기적인 접촉이나 증언, 저술과 같은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서양과 한국은 서로의 존재를 인식해왔다. 따라서 19세기 후반~20세기 초의 서양어 저술이 한국 인식의 출발점이 되었다고 규정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 제1장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서양의 인식이 전승, 혹은 분화하는 양상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동아시아 관련 서양어 문헌 목록의 분류체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아시아 지역에 관한 서양의 지리적ㆍ문화적 인식이 점차 분화하면서 한국을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조명한 것이다.
19세기 말~20세기 초에 나타난 변화에 주목한 제2장에서는 한국 관련 지식의 생산ㆍ축적에서 나타난 변화의 구체적인 양상으로서, 한국 관련 개설서 및 정기간행물의 등장에 주목하였다. 당시 새롭게 등장한 한국 관련 지식 생산의 주체, 그리고 그들에 의해 지식이 생산되는 맥락을 규명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변화의 결과, 1920년대 후반에 편찬된 문헌 목록에서 한국에 관한 지식이 존재하는 위치와 형태가 모두 달라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관한 지식이 존재하는 형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부분적인 구성 요소에서 하나의 지식 단위로, 그리고 지식 단위에서 지식체계로 구분하였다.구성 요소에서 단위로의 전환은 지식의 생산량과 밀도의 증가가 주된 요인이었으며, 단위에서 체계로의 전환은 수집ㆍ분류의 대상 확대가 주된 요인이었다.
한국에 관한 지식의 형태적 변화를 견인한 주요한 생산 주체는 재한 서양인 집단이었다. 지식의 생산 주체와 현지 사회 간의 상호관계가 단순 관찰에서 접촉, 교류 및 참여 단계로 심화될수록, 생산되는 지식의 양과 밀도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수집ㆍ분류 대상의 확대는 한국을 실체적인 지식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서는 상호작용과 이해가 요구되는 바, 지식 단위에서 체계로의 전환 역시 재한 서양인 집단의 저술 활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 제3장에서는 재한 서양인 집단의 한국 관련 저술 활동과 그들에 의해 편찬된 문헌 목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이래로, 재한 서양인 집단은 한국에 관한 지식을 생산하는 핵심적인 주체였다. 아마추어 연구자로서 재한 서양인에 의해 생산된 한국에 관한 각종 저술은 한국을 방문한 적이 없거나, 혹은 처음 접해보는 서구인들에게 정보와 지식으로 소비되면서, 한국에 관한 선이해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한국 관련 저술 활동이나, 문헌 목록의 편찬에 대한 분석은 근대 전환기 한국 인식의 중추적인 맥락을 규명하는 작업이라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Western-language bibliographies to identify how
the West came to perceive Korea over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perceptions. Since the West came into contact and began to
interact with the East, Westerners have continued to record their
knowledge about Asia in various documents and writings. Such
accumulated knowledge was collected, selected, and arranged into
bibliographies representative of the subjects view of the object. The reason bibliographies have been taken as an object of analysis
for this study is because the selection,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literature reflects how Westerners perceived Korea. The Wests
preunderstanding of Korea, not to mention East Asia, particularly tends
to affect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literature. At the same
time, bibliographies are also sources with a guaranteed degree of
continuity and sociality. They are creat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knowledge being explored, which is why the selection,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literature is bound to be based on the academic
discourse and understanding of the time. In other words, literature needs
to be classified and arranged according to an acceptable standard so 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sought by users. The analysis of
bibliographies can therefore escape the limitations of individuality and
specificity that tend to be imposed through the contextual analysis of an
author or writing.
As a form of accumulation, bibliographies possess contextual continuity
whenever their object of knowledge is identical,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ve been compiled by the same person or not. Hence, examining
bibliographies by period can help reveal a long-term trend in the way
knowledge has been selected, classified, and arranged.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transmission between classification systems
and categories.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writings involving Korea
were extracted to compile a data set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by topic,
period, or publisher.
As the West began to interact more heavily with Korea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several Western-language writings about Korea came
to disseminate perceptions of Korea based on modern Western ideas of
civilization. While interactions with Korea were not as vibrant during the
traditional era compared to those with Japan or China, the West and
Korea were aware of each other through occasional meetings or indirect
channels of information such as testimonies or writings. Henc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Western perceptions of Korea originated from
Western-language writings authored between the late nineteenth to early
twentieth century. As such, Chapter 1 of this study traces developments
in the transmission and diversification of Western perceptions of East
Asia. The classification system applied to bibliographies with
Western-language writings on East Asia is analyzed to determine how
Western cultural, geographical perceptions of East Asia gradually
developed into the Wests understanding of Korea. Chapter 2 delves into more specific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about Korea betwee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namely, the emergence of introductory books or
periodicals featuring Korea. Investigating the emerging producers of
knowledge about Korea and the context behind such production revealed
that by the late 1920s, the position and form of knowledge about Korea
in bibliographies had changed.
This study regards changes in the form of knowledge about Korea
over time as a series of transformations: a partial element transforms
into a knowledge unit and then into a knowledge system. An elements
transformation into a knowledge unit is mainly caused by an increase in
the volume and density of produced knowledge, whereas a knowledge
units transformation into a knowledge system is mainly caused by an
expansion in the range of knowledge that requires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The producers who mainly drove the morphological change in
knowledge about Korea were Westerners residing in Korea. As such
knowledge producers relationship with Korean society evolved from
mere observation and occasional contact to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the volume and density of produced knowledge tended to increase. The
expanding range of knowledg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required
interaction and understanding that went beyond recognizing Korea as a
concrete object of knowledge so that the transformation from knowledge
unit into system proved to be intimately linked with the writing of
Westerners residing in Korea.
Chapter 3 of this study thereby attempts to perform an analysis of
Korea-related writing by Westerners in Korea and the bibliographies
they compiled. Such Westerners have been key producers of knowledge
about Korea since the late nineteenth to early twentieth century.
Various amateur findings about Korea written by Westerners residing
there were consumed as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Westerners who
had never visited Korea or were encountering the country for the first
time, and thus formed a preunderstanding of Korea. Analyzing the
writing of Westerners in Korea and the bibliographies they compiled is
therefore an investigation into the central context of the modern
Western perception of Korea.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7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07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