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 후기 족보의 여성 정보 등재 추이와 그 의미 : Trend and Meaning of the Womens Information Registered on the Late Joseon Dynasty Genealogy
安東權氏族譜(1476~1907)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나은

Advisor
김건태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족보조선 후기처 정보외손사회적 지위가계Late Joseon DynastyGenealogyThe Wife's informationDaughter's DescendantSocial StatusLineag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1. 2. 김건태.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족보의 처 정보 기재가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된 연구이다. 조선 전기부터 간행된 족보는 조선 후기에 더 활발히 간행되면서 구성상 변화를 보였다. 조선 후기로 가면서 외손 가계 기록에는 제한이 생기는 반면, 처 정보를 기재하는 인물들이 늘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족보의 처 정보 기재 인물의 증가 추세, 처 정보 기재 내용을 분석해 처 정보 기재가 가지는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조선 후기는 가문별 족보 간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이전에는 족보에 입록될 수 없었던 인물들이 점차 족보에 포함되는 시기였다. 여기에는 동족 집단의 인물을 포함한다는 이유가 뒷받침되었다. 안동권씨가 간행한 족보에서도 이와 같은 변화가 반영되었다. 안동권씨는 1476년 처음으로 족보를 간행한 이후 1907년까지 6차례 더 大同譜를 간행하였다. 이 가운데 17세기 중반 이후 간행본부터 계통을 확실히 알 수 없지만 안동권씨로 족보에 입록되고자 하는 인물이 입록되는 別譜가 만들어진 것이다.
안동권씨족보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더 넓은 범위의 인물들을 포함했지만 동시에 족보 간행을 거듭하며 족보 입록이 번복되거나 뒤늦게 족보에 입록되는 인물들이 존재했다. 여전히 사회적으로 한미한 지위거나 가문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에 해당하는 인물들은 안정적인 족보 입록을 보장받지 못했던 것이었다.
조선 전기에 비하여 조선 후기는 더 많은 성관이 족보 간행에 참여했고 족보 입록 인물의 범위도 더 넓어졌다. 동시에 외손 가계의 입록에는 제한이 생겼다. 족보가 동일 성관의 인물을 더 많이 포함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어 갔던 것이다. 이 같은 변화 속에서 족보 입록을 통한 사회적 지위 보장 가능성은 낮아졌다. 이에 따라 족보에 입록되는 인물들은 점차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처 정보 또한 그 가운데 제공되는 정보였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처 정보를 기재하는 인물의 비율은 점차 높아졌다. 처 정보는 당대의 혼인 관계 구현만을 위한 정보만이 아닌 한 인물의 계통과 관련한 정보였다. 처 정보 기재 초기는 이전 족보에 이미 입록되었던 인물들의 처 정보 제공이 더 중요했고 이후로도 이입 인물의 처 정보는 지속적으로 추가되었다.
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인물의 대다수가 처의 가계 정보에 해당하는 본관과 아버지 정보를 제공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었다. 족보를 통해서 사회적 지위를 입증하려는 인물들에게 처의 가계가 조선 후기로 갈수록 더 필요한 정보가 된 것이다. 이는 조선 후기까지 외가와 처가가 개인의 사회적인 지위 및 이권 획득에서 영향을 주고 있었던 사회적 배경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he phenomenon of registering wifes inform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genealogy. Genealogy[族譜], which started the early Joseon Dynasty, changed composition being widely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hile there is a restriction on registering daughter's children, a growing number of people provide wifes inform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increasing trend of the people enrolled wifes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content of the information, this thesis sought the meaning of description of the wife.
Genealogy was actively published throughout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eople who could not be registered on the early genealogy begin to be listed in the genealogy. The main reason was the gathering of homogeneous groups. The same change has been made in Andong Kwons genealogy. From 1476 to 1907, Andong Kwon published its genealogy seven times. Byeolbo [別譜: Separated genealogy], which included uncertain descendants, was made since the mid-seventeenth century.
Andong Kwons genealogy broadened enrolled members toward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a reversal of registration or the late-registration also existed.
Compared to the early Joseon Dynasty, much more clan printed their genealogy. And this enabled more people to be included in the genealogy. Simultaneously fewer people from the daughters descendants were included, due to the limitation in the scope. The genealogy has reorganized to include more people from the homogeneous groups. Throughout the change, the possibility of guaranteeing social status has been lowered. As a result, enrolled people started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The 'wifes information' was one of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percentage of the people who have their wives information gradually increased as the publication continues. wifes information was not only about the marriage at the time but also the lineage of the person. Provision of the wifes information was more significant for pre-registered people than the newly registered people at the initial phase. And wifes information of pre-registered members was continuously supplemented. And wifes information of pre-registered members was continuously supplemented.
The majority of the people who offered the wifes information focused o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wifes choronym[本貫] and father, which correspond to the wifes lineage information. The wifes information, especially about the wifes lineage, was needed for those who tried to demonstrate their social ran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could be related information in genealogy could be related to the social background in which maternal families and wifes families have an influence on individuals social status and interest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75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1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