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구전설화에 나타난 기생의 트릭스터적 성격과 의미 :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Gisaeng's Trickster-like Nature in Korean Oral Folktal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Hannah Og Nam

Advisor
나수호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구전설화기생설화강자훼절형약자조력형트릭트릭스터여성성가부장제,Korean Oral FolktalesGisaeng FolktalesGangajahwaejeolyeongYakjajoryeokhyeongTrickTricksterFeminityPatriarch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 2. 나수호 .
Abstract
This thesis departs from the premise that the manifestation of patriarchal values in gisaeng folktales is a more complex issue than past research has assumed. With this in mind, this thesis is aimed towards examining the portrayal of gisaeng in oral folktale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gisaengs trickster-like nature.
In chapter 2, based on the nature of the trick (a concept defined within this paper as the act of deceiving or making a fool out of someone through lies, pretense or secretive methods) performed by the gisaeng, this paper divided the tales of gisaeng containing a trick motif into two categories: Gangjahwaejeol-hyeong and Yakjajoryeok-hyeong. Both types of tales are centered around the performance of a trick as the solution to a conflict. However, in Gwangjahwaejeol-hyeong tales, the primary aim of the trick is to bring down the powerful by making them betray their values while in Yakjajoryeok-hyeong tales the trick is primarily used to help the weak and disadvantaged. For the purpose of a more in-depth analysis, this paper then divided each type into three smaller types by discerning the most prominent patterns of narrative within each type.
In Chapter 3, this paper examined the gisaengs portrayal in each type, and its significance, in consider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patriarchy. The Gangjahwaejeol-hyeong tales reflect the patriarchys justifcation of male sexual desire and wariness of female sexuality which the gisaeng symbolizes. However, while embodying these patriarchal values, the gisaeng in these tales also use these values to their advantage. In Yakjajoryeok-heyong tales, the gisaeng is portrayed as a morally-upstanding figure who possesses agency, choosing of her own accord to help the disadvantaged and disheartened. She is also praised as a virtuous woman despite actively capitalising on her sexuality. However, what she achieves through her tricks is the realization of the hopes and ideals of men 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erefore, rather than reflecting a modernistic attitude in support of female agency, a more suitable interpretation would be that the gisaeng in these tales acts as a literary device that imaginatively satisfies desires for hope-fulfillment.
In both tales, the dual-natured gisaeng who both destroys and restores enjoys positive affirmation and privileges and a certain level of freedom from patriarchal oppression despite acting in a manner antithetical to patriarchal views.
In Chapter 4, this thesis confirmed the gisaengs trickster identity by identifying the manner in which she uses her marginality to transform society and then re-establishes herself in the centre of that society. In Gangjahwaejeol-hyeong tales, the gisaengs tricks replaces the excessively rigid fabric of society with one that priorities compassion and empathy. As a result, she establishes a partial communitas among men that transcends hierarchical divides. On one hand, the trickster gisaeng acts as a tool used for the benefit of men, but at the same time she also holds power as a necessary figure for the establishment of peace and solidarity. In Yakjajoryeok-hyeong tales, the gisaeng reverses the existing social order by bringing down the powerful through her tricks and hands power over to the weak and disadvantaged. By thus establishing justice, the gisaeng acts as a literary device for the wish-fulfillment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to whom she provides comfort and hope. However, the trickster gisaeng in these tales also possesses the power to destabilize the restored social order again at any time according to her desires.
Nex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ways in which the gisaeng re-establishes herself at the centre of the society she has transformed. In some tales, this is achieved in the form of an elevated social status, while in others it is achieved by the gisaeng changing the social order from one that rejected her to one that embraces her. The gisaeng of the Yakjajoryeok-hyeong tales are like other female tricksters in the sense of achieving social change more easily than male tricksters by using the patriarchys tendency to assume womens ignorance to her advantage. The gisaeng of the Gangjajoryeok-hyeong tales, however, are unique in that they are able to transform society because of the recognition they receive from men for their ability and wiliness.
Finally, in Chapter 5, this thesis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the trickster gisaeng in oral folktales to that portrayed in written literature. Firstly, in the versions of the tales that are transmitted in the form of written text, the gisaengs abilities and role as a trickster are diminished. Secondly, the portrayal of gisaeng in written literature tends to be more simple and straightforward. In contrast, in orally transmitted versions of the same tales, the gisaeng enjoys more power and freedom as a symbol of the naturalness of sexual desire, the hope of escape from repression and the potential for social change. She is accepted into society as a woman who is both lewd and 'virtuous', destructive and restorative. The flexibility of the gisaeng as a marginal figure is activated to its full potential within orally transmitted tales due to their nature as stories that are crafted for the sake of entertainment without concern for consistency or the preservation or assertion of moral ideas and values. The trickster gisaeng demonstrates the oral folktales ability to bring minority figures who sit on the brink of society into the centre stage.

Keywords: Korean Oral Folktales, Gisaeng Folktales, Gangajahwaejeolyeong, Yakjajoryeokhyeong, Trick, Trickster, Feminity, Patriarchy
국문초록

본고는 한국 구전설화에 확인되는 기생의 트릭스터적인 성향에 주목하여 기생설화의 새로운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구전설화 속 트릭스터 기생의 복합적인 양상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살펴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거짓말이나 가식, 혹은 은밀한 방법을 통해 남을 속이거나 조종하는 의미의 트릭이란 개념을 기준으로 삼아 강자훼절형과 약자조력형이라는 새로운 유형 분류를 설정하였다. 이 두 유형의 설화는 어떤 갈등에 대한 해결책으로 트릭이 실행되는 핵심 서사를 공유하지만 강자훼절형 설화에는 트릭의 주된 목적이 강자를 훼절시키는 것이며 약자조력형 설화에는 트릭을 통해 약자를 구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유사한 핵심 서사를 기준으로 각 유형을 3가지 하위 유형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2장의 유형 분류를 기반으로 각 유형에서 확인되는 기생의 여성성의 양상과 가부장적 사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강자훼절형의 설화에는 남성의 성욕을 정당화하는 동시에 기생으로 상징되는 여성의 성욕을 경계하는 가부장적 가치관이 반영된다. 하지만 기생은 이러한 가부장적 가치관을 구현하면서도 적극적으로 그 가치관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활용하기도 한다. 약자조력형의 설화에는 기생이 괴로워하는 약자를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나서는 도덕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으로 표현된다. 또한 성적 매력을 능동적으로 발휘하면서도 열녀로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실제로 기생이 이룬 것은 남성의 이상과 소원 혹은 하층민의 소원이며, 설화 속 기생의 모습은 여성의 행위주체성을 긍정하는 현대주의 사고방식이라기보다는 설화 향유자의 소원을 성취하는 문학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결과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두 유형 모두에서 파괴적이면서도 회복을 이루는 이중적 성향을 지닌 기생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통제되어야 마땅한 주체성과 힘을 발휘하면서도 긍정적인 특권을 누리고 가부장제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움을 누리는 입체적인 인물의 모습을 갖는다.
4장에서는 기생이 자신의 주변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사회를 변화시키고 자기가 변화시킨 사회 중앙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기준으로 삼아 진정한 여성 트릭스터임을 확인하였다. 강자훼절형 설화에는 기생이 트릭을 통해 남녀 관계를 중심으로 엄격했던 기존 질서를 인간성과 동정심을 우선시하는 변이된 질서로 대체한다. 그 결과 남성 간에 커뮤니타스가 형성되며 이는 곧 남성 제보자들로 인해 조선 시대를 거쳐 20세기에까지 이 설화들이 계속해서 전승되고 향유되는 이유가 된다. 한편으로 트릭스터 기생은 남성에게 유리한 도구로 여겨지기도 하며, 다른 한편으로 사회적 유대감과 평화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인물로서도 기능하여 진정한 트릭스터다운 이중적 성향을 지닌다. 약자조력형 설화의 기생은 트릭을 통해 강자를 몰락시키고 약자에게 권력을 넘기는 방식으로 사회를 뒤집는다. 기생은 이런 면에서 정의를 이루고 사회 약자의 소원을 성취시켜줌으로써 그들에게 위안과 희망을 제공하는 문학 장치로서 기능한다. 때문에 약자조력형 설화는 남녀노소로부터 보편적인 호소력을 갖는다. 하지만 이는 한편으로 트릭스터 기생이 언제든지 사회를 자발적으로 다시 조율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음을 반증한다.
다음으로 본고는 사회 변두리에 위치했던 트릭스터 기생이 자신이 변화시킨 사회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신분 상승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고, 기생의 정체와 모순되던 기존 질서를 기생의 정체를 포용하는 질서로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약자조력형 설화의 기생은 능력과 지능을 무시당하는 여성으로서의 신분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남성보다 쉽게 이루는 전형적인 여성 트릭스터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강자훼절형의 트릭스터 기생은 남성으로부터 능력과 교활함을 지닌 여성으로 인정받음으로써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는다는 측면에서 독특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문헌설화 속 트릭스터 기생의 면모와 기능을 구전설화 속 트릭스터 기생과 비교하였다. 첫째, 구전설화에서 확인되는 사회적 변화를 일으키는 기생의 능력이 대다수의 문헌설화 각편에서는 축소된다. 둘째, 문헌설화에서는 구전설화에서보다 기생의 면모와 성격이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경향이 있다. 문헌설화에서는 기생을 남성의 명령에 따라 몸을 바치는 여성, 남성을 홀리는 뛰어난 미를 지닌 여성, 남성을 끌어내릴 수 있는 저급한 여성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이 반영된다. 또한 문헌설화와 소설에서는 양반 채록자·작자가 자신의 도덕성을 증명하고 교훈을 주려는 노력에 의해 기생에 대한 표현이 제한적이다. 대부분의 문헌설화에서는 기생이 사회윤리에 어울리는 모습을 취해야만 사회 변두리에서 사회 중심으로 들어간다.
이와 달리 구전설화에서 기생은 사회 변두리에 위치한 특권을 누리는 인물로서 성욕의 자연스러움, 억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 사회적 변혁의 가능성 등을 상징하는 역할을 한다. 구전설화에서 기생은 문헌설화에서보다 복합적인 인물로 표현되고, 복합적 모습 그대로 인정을 받고 사회 중심에 자리매김한다. 주변적 인물로서 기생이 지닌 유연성이 구전설화의 흥미 위주의 전승 성향과 맞물려, 구전설화의 기생은 문헌설화에서보다 사회를 변화시키는 트릭스터로서 더욱 생명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생의 모습을 통해 사회적 변두리에 있는 인물을 무대의 중앙으로 끌어오는 구전설화의 기능을 엿볼 수가 있다.

주요어 : 한국구전설화, 기생설화, 기생, 강자훼절형, 약자조력형, 트릭, 트릭스터, 여성성, 가부장제
학 번 : 2016-27551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78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