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도르노 미학의 숭고 개념 연구 : On Adornos Concept of Sublime in Aesthetic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아름

Advisor
신혜경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테오도르 아도르노임마누엘 칸트숭고전율예술화해AdornosublimeArtworkshudderReconciliation,kan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21. 2. 신혜경.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Theodor W. Adorno, and to examine his aesthetic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sublime. For Adorno, artwork has the potential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modern society and to imagine a better world.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sublime as an experience of a true work of art, and argue that such an understanding is integral to Adorno's aesthetic theory.
According to Adorno, the prevailing social discord is not a specifically modern phenomenon, but a result of the domination of nature that has continued throughout the human civilization. In this regard, he highlights fear (shudder), an emotion of the primitive nature, which underlies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This emotion stimulates a sense of self-preservation, which leads to the domination of nature, while being a direct experience with the other. Adorno argues that a shudder, a reminder of a relationship that does not subsume the other, should be brought back to memory. However, in the modern era, where natural domination has progressed, there is no place for one to feel the shudder of the past. Thus, Adorno presents the realm of aesthetics as the final refuge that preserves the shudder.
Adorno adopts the immanent critique as his methodology to identify the contradictions of a concept and gives it new meanings in regards to the modern experiences.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cess in which Adorno immanently criticizes and transforms Kant's concept of the sublime. Said method of critique is inherently historical. According to Adorno, the sublime is a fluid and period-specific concept. For Kant, the sublime is the feeling of the inner capacity when a human being is free in the face of overwhelming power. From Adorno's point of view, this determination derived from a specific historical situation of the 18th century. The sublime required today is not a conviction of humanity, but an experience of negativeness that can reveal its vulnerability and confront the domination. Therefore, he proposes self-reflection to overthrow the concept of the sublime that centers around the idea of enhancement.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synthesis process of consciousness, which is also a means of domination of nature. In other words, for Adorno, the sublime is an experience of resisting domination through means of domination.
Furthermore, Adorno attributes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to artworks. Isolated from the dominant principles, artworks occupies a special position in the society, and thus resists prevailing system. Adornos idea of a genuine artwork does not suppress non-identical, while presenting its own autonomy as a comprehensive unity. Since such works of art exist in a way that does not conform to the system of empirical reality, the experience of them puts pressure on us to restructure the preexisting the empirical system. Here, the structure of the work of art follows the principle of the sublime that resists the dominant system through synthesi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a true work of art requires a linguistic interpretation that reaches out to the expression of the others that the work embodies. Such a process realizes the artwork together rather than reducing the meaning of the work to the language of reason. In other words, as an experience of a true work of art, the sublime is a way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non-identical without suppressing it. Moreover,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is an attempt to save those who are marginalized in the era of domination, and an attitude that a recipient of true artworks should have.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미학에 나타난 숭고(Erhaben) 개념을 분석하고. 숭고 개념을 바탕으로 그의 미학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도르노는 현실사회에 내포하는 모순을 드러내고 더 나은 사회를 상상할 수 있는 잠재성을 예술에 부여한다. 이 글에서는 진정한 예술작품의 경험으로서 숭고 개념을 탐구하는 것이 아도르노의 미학적 기획을 이해하는데 핵심이 됨을 보이고자 한다.
아도르노는 사회에 만연한 불화를 현대 시기에 한정된 현상이 아니라 인류의 문명과 함께 이어져온 자연지배의 결과로 본다. 이때 아도르노는 계몽의 기획의 기저에 자리하는 원초적 자연에 대한 공포(전율)의 감정에 주목한다. 이것은 자기보존 욕구를 추동한 감정으로서 자연지배의 원인이 되었으나, 동시에 실제의 타자와 대면하는 직접적인 경험이다. 아도르노는 전율을 타자를 포섭하지 않는 관계에 대한 기억으로서 다시금 회복해야 할 감정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자연지배가 진척된 현대에서 과거와 같은 전율을 느낄 수 있는 장소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아도르노는 전율을 보존할 수 있는 마지막 도피처를 미적인 것의 영역으로 제시한다.
이때 아도르노는 기존의 개념이 품고 있는 모순을 드러내고 이를 현대적 경험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내재적 비판을 자신의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있다. 이 글은 아도르노가 전통적 숭고론으로서 칸트의 숭고 개념을 내재적으로 비판하고 변용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때 이 비판은 본질적으로 역사적이다. 아도르노가 숭고를 유동적이고 시대특정적인 개념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칸트에게 숭고는 외부의 위력 앞에서 자유로운 인간 내면의 힘에 대한 감정이었다. 아도르노의 입장에서 이것은 근대라는 특정한 역사적 상황에서 도출되는 규정이다. 그리고 오늘날 요구되는 숭고는 인간성에 대한 확신이 아니라, 그 존재의 취약함을 드러내고 지배의 상황을 직시할 수 있는 부정성의 경험이다. 따라서 그는 자기반성을 통하여 고양을 핵심으로 하는 숭고 개념의 전복을 추구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이것이 자연 지배의 수단이기도 한 의식의 종합 과정의 매개를 거쳐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아도르노에게 숭고는 지배의 수단을 통해 지배에 저항하는 경험이 된다.
이때 아도르노는 숭고의 경험을 예술작품에 귀속시킨다. 예술작품에서 이러한 경험이 가능한 이유는 예술작품이 사회의 지배적 원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존재하는 특수한 위상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그로써 지배적 체계에 저항하는 구조를 가졌기 때문이다. 아도르노는 개별적 계기들을 억압하지 않되 동시에 하나의 종합적 단일체로서 그 자신의 고유성을 유지하는 양가적인 성격을 진정한 예술작품의 형식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작품은 경험적 현실의 질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존재하게 되므로, 이 예술작품의 경험은 우리가 의존하고 있던 경험적 체계를 수정해야 할 것 같은 압박을 준다. 이때 예술 작품의 구조는 지배의 양식, 즉 종합을 통해 지배적 체계로부터 벗어나는 숭고의 원리를 따른다. 또한 진정한 예술작품의 경험은 작품을 이루는 타자들이 발화하는 의미를 끌어내는 언어적 해석을 동반한다. 이것은 작품의 의미를 합리적 언어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을 함께 실현하는 과정이다. 즉 진정한 예술작품의 경험으로서 숭고는 비동일자를 대면하면서도 포섭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것과 관계를 맺으려는 방식이다. 아도르노에게 숭고의 경험은 지배의 시대에 소외된 타자들을 구제하려는 시도이자 진정한 예술작품과 대면하는 수용자가 갖추어야 할 자세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1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