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해체와 창조의 정원 : Le Jardin de la déconstruction et de la création dans Locus Solus de Raymond Roussel
레몽 루셀의 『로쿠스 솔루스』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초록

Advisor
정예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레몽 루셀정원사물해체창조균열공백VideRaymond RousseljardinchosesdéconstructioncréationfenteVid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2021. 2. 정예영.
Abstract
Cette étude a pour objectif de révéler les caractéristiques modernes du monde de lart de Raymond Roussel en examinant les images des objets et les sensations des anecdotes nombreuses dans Locus Solus, son deuxième roman. Cet ouvrage couvre une journée durant laquelle le maître Cantrel présenteé à quelques intimes quil a convié limmense parc environnant sa belle villa. Les spectateurs se promènent avec lui dans le jardin garni de machines et objets, qui montre une apparence originale et moderne.

Lœuvre Rousselienne crée un nouvel ordre en employant le procédé, un moyen propre à lécrivain, qui consiste en lexpérimentation du langage qui déconstruit lunion du signifiant et du signifié et qui produit des images nouvelles et inédites. Ainsi, lauteur essaie de manifester ludiquement son désir dun espace-temps différent du monde quotidien en se laissant entraî̂ner par son imagination, et en entraî̂nant par là son lecteur. Louvrage se disperse en anecdotes fragmentées dans divers espaces-temps, sans fil narratif cohérent et ne suit pas lesthétique traditionnelle autour du personnage et des événements. En revanche, il bâtit un monde dobjets qui le mène à lexpérience de la Jouissance au sens lacanien.

Lœuvre Rousselienne et son procédé commencent tout en créaent la fente, autrement dit, le Vide sur le sens du langage qui supporte lordre du monde. Alors, lécriture Rousselienne fraie des passages comme le labyrinthe en disposant les personnes et les anecdotes partout et conduit les lecteurs à sa à sa suite, sans prôner aucune idéologie fixe et sans forcer les lecteurs à choisir. Non seulement lauteur, mais encore les lecteurs demeurent dans le jardin du labyrinthe comme des agents qui se lancent dans lincertitude du sens et le néant du monde.

Dans cette étude, nous divisons Locus Solus en trois parties. La première partie de létude tente dexaminer lapparence et la matérialité du jardin et danalyser les chapitres 1 et 2. Chapitre 1 couvre les conditions historiques et conventionnelles et chapitre 2 commence lexpérimentation qui a pour but de déconstruire et surmonter les conditions préalables. Puisque lexpérimentation ici a rapport direct au procédé, nous tentons de lexpliciter.
La deuxième partie de létude tente daborder les nombreuses anecdotes et les images ravissantes et bizarres sur Éros et Thanatos dans chapitre 3 et 4. Chapitre 3 et 4 dans Locus Solus sont les parties les plus importantes qui sont le lieu où se réalise ce que lexpérimentation depuis le chapitre 2 vise directement. Les spectateurs et les lecteurs sont censés être amenés à une lexpérience extraordinaire.
Enfin, la troisième partie de létude tente dexaminer le chapitre 5 qui montre le procès de la création artistique et les chapitres 6 et 7 qui déploient la vérité propre à lécrivain et sa philosophie par les représentations diverses. Alors nous abordons les valeurs de lart Rousselien en tant quart moderne.

Lécriture Rousselienne qui conduit tout cela, essaie de surmonter la lettre par la lettre et vise à produire des images nouvelles et des effets extraordinaires. La conclusion finale de notre mémoire est que lécriture Rousselienne est un texte génératif qui étend et fait circuler le monde fermé.
본 논문은 레몽 루셀Raymond Roussel의 두 번째 장편소설인 『로쿠스 솔루스』(1913) 의 사물이미지와 감각적 특징을 중심으로 루셀의 예술세계의 현대적 특징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작품은 기계로 가득 찬 과학자 캉트렐의 정원을 배경으로 현대적이고 참신한 외관을 보여주며 작가의 상상력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때문이다.
작품은 시니피앙과 시니피에의 단일결합을 해체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생산하는 작가 고유의 창작수단이자 언어실험인 기법procédé을 사용하여 텍스트 내에 새로운 질서를 창조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작가는 자신과 독자의 상상력을 추동하여 현실 세계와는 다른 시공간에 대한 욕망을 유희적으로 드러낸다. 작품은 시공간을 달리하는 파편적인 일화들로 분산 구성되어 그것을 관통하는 중심적인 서사를 가지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소설의 미학을 따르지 않는다. 그 대신 새로운 사물 세계를 창조하거나 실재Réel의 향유를 누리고자 한다. 이 때 사물과 언어, 그리고 신체로 표방되는 온갖 물질적인 것들은 인간의 정신 그 이상으로 비중 있게 복원되며 새로운 차원에서 조망된다. 이는 작가 자신이 보편적 영광의 감각이라고 칭한 19세 때의 감각 경험에서 기인한 고유한 진리를 문학의 장 내부에서 드러낸다.
루셀의 작품은 질서정연한 세계의 구조를 지탱하는 언어 의미에 틈, 곧 공백Vide을 만들어 일상의 질서에 균열을 가하는 지점에서부터 모든 것이 시작된다. 그 과정에서 루셀의 글쓰기는 이미 존재하는 세계에 대한 재현과 단일의미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글쓰기와는 다른 길을 택한다. 루셀의 글쓰기는 어떤 고정된 이데올로기나 관습적 입장을 표명하고 선택을 강요하기보다는 다양한 입장의 인물들과 일화를 곳곳에 배치하여 미로labyrinthe와 같은 길을 앞서 터놓는다. 독자 그 자신도 작가와 마찬가지로 의미의 불확정성과 세계의 없음에 던져진 실존적 주체로서 미궁의 정원에 거하며 자신의 다음 거취去就를 선택하는 입장에 있게 된다. 이를 추동하고 매혹하는 루셀의 글쓰기는 문자를 통해 문자를 넘어서고자 하며 상징화된 세계 바깥을 긍정함으로써, 우리에게 다른 세계에 대한 지평을 열어 보여준다. 이 논문은 루셀의 글쓰기가 궁극적으로 닫힌 세계를 확장시키고 순환시키는 창조적이고 생성적인 텍스트임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7장으로 구성된 작품을 다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파악한다. 논문의 본론 Ⅰ장은 『로쿠스 솔루스』에서 드러나는 정원의 외관과 물질성을 알아보고 역사적이며 관습적인 선행 조건을 다루고 있는 1장과 그것을 해체하여 넘어보고자 하는 실험을 다루는 2장과 기법을 연달아 분석한다. 본론 Ⅱ장은 작품의 3장과 4장에 배치된 합일과 죽음을 주제로 한 다양한 일화들과 매혹적이고 기괴한 이미지를 분석한다. 이 부분은 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고 큰 분량을 차지하는 부분으로서, 2장에서 시작된 실험이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체험의 공간이기도 하다. 본론의 Ⅲ장에서는 그 자신이 발견한 고유한 진리와 철학을 다양하고 은밀한 시연으로 드러내는 5장부터 7장까지를 다루며, 이를 통해 루셀 작품의 현대예술로서의 의의를 살펴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