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중국어 비이동 구문 연구 : 现代汉语非移动构式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Mingjiao HUA

Advisor
박정구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이동 ‘来/去’지시성자주성종결성타동성상황 유형어휘화문법화유형론정보구조구문의미非移动 “来/去”指称性情状体自主性终结性及物性,语法化信息结 构构式义语法化类型学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21. 2. 박정구.
Abstract
在现代汉语中,无空间移动义的S+来/去+VP构式的用法多样,使用频率也非常高。本文旨在究明无空间移动义的S+来/去+VP构式的整体语法特征。对此,我们进行了详尽的考察。
本文的主要结构如下:第一章提出问题并阐明研究方法及内容。第二章为了理清名词性成分的制约因素,分析主语和宾语的指称性。第三章为了掌握动词的制约因素,对其语义特征及其情状体(situation aspect)特征进行考察。第四章为了更清楚地了解何种动补式能够进入此构式,对其动词内部补语的语义特征,语法化程度等进行分析。第五章通过信息结构理论,总结S+来/去+VP构式所存在的焦点结构类型。与此同时,归纳出不同焦点结构类型的构式义。第六章从类型学的角度考察come,go类动词的语法化过程。并由此探索汉语无移动义来、去的意义功能及二者的区别。
研究结果如下:
第一,在S+来/去+VP构式中,主语通常是有定的。但在强调主语(S)是谁时,少数特殊情况下,主语也可以是无定成分。其次,强调S的情况下,宾语通常是有定成分,但不强调S的情况下,有定成分和无定成分皆可出现在宾语位置。
第二,在S+来/去+VP构式里的动词通常必须遵守【+自主性】和【-终结性】。在强调S的情况下,除了少数特例之外,基本上遵守【+及物性】,但是在不强调S的情况下,也可以出现自动词。
第三,根据信息结构理论,我们发现在强调S时,该构式主要是主语-焦点结构,整个构式具有责任义。这时重要的是强调行为者是谁,通常S可以伴随着明显的重音。但需要注意的是,如果话题也具有对比义,并且没有相应的预设信息时,构式则是句子-焦点结构。在不强调S时,该构式主要是谓语-焦点结构,但其中作为始发句使用的S+来+VP构式,则是句子-焦点结构。
第四,在非主语-焦点结构的情况下,来、去的使用环境有明显的差异。来的使用环境通常是具体的和日常的,要求在说话时听者和话者同时在VP发生的现场一起进行该活动。并且这种【+现场性】也可以借助网络等媒介组成的虚拟空间来实现。构式义是在发话之后,听者和话者(参与VP的人)在近将来一起做VP的提议和请求。相反,去的使用环境是很抽象的,具有很强的书面色彩。并且相比与来而言,去后的VP具有不确定性,也很难描述VP发生的场所。构式义是在发话之后,(对听者/读者)在相对远的未来应该如何做的勉励和劝告。这种远将来义是与不确定性有关的。
第五,从类型学的角度,整理出了come、go类将来时标志的语法化过程存在方向性的原因,进而在汉语中加以验证。come类主要会发展成近将来(immediate future)时标志,go类可以发展出远将来(remote future)时标志,汉语的来、去也存在这种倾向。但是通过考察,目前无移动义的来/去主要表达说话人的意志,还未脱离【+intention】的范畴。另外,本文指出无移动义来的产生和【+现场性】有关,可以是现实的现场,也可以是通过对空间进行虚拟抽象得到的现场。而无实际移动义去则与【+抽象性】有关,是一种在时间上心理上的抽象位移。
현대중국어에서는 공간적 이동의미가 없는 S+来/去+VP 구문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사용빈도도 상당히 높다. 본 연구는 이동을 나타내지 않는 S+来/去+VP 구문의 전체 어법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에 주로 주어와 목적어의 선택제약, 동사의 선택제약, 구문의 정보구조적 특성, 구문의 의미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장에서는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방법 및 내용을 제시했다. 2장에서는 명사구의 선택제약을 연구하기 위해 주어와 목적어의 지시성을 살펴봤다. 3장에서는 동사구의 선택제약을 고찰하기 위해 동사의 의미와 상적 특성을 살펴봤다. 4장에서는 어떠한 동보형식이 구문에 들어갈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동사구 내의 보어의 의미자질 및 문법화 정도를 살펴봤다. 5장에서는 정보구조를 바탕으로 S+来/去+VP 구문의 초점구조 유형을 귀납하고 유형에 따라 구문의미를 정리했다. 6장에서는 범언어적인 관점에서 come, go 류 동사의 문법화 과정을 고찰하여 중국어의 이동의미가 없는 来, 去에 어떠한 의미기능이 있는지, 서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来/去+VP 구문에서 주어(S)는 일반적으로 한정적이다. 다만 S가 누구인지를 강조할 때, 소수 특수한 경우에 비한정적인 성분도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S를 강조하는 경우에는 목적어에 한정적인 성분이 나타나고, S를 강조하지 않는 경우는 한정적이거나 비한정적인 명사성 성분이 모두 나타날 수 있다.
둘째, S+来/去+VP 구문에 출현하는 동사는 일반적으로 [+자주성], [-종결성] 자질을 지녀야 한다. 그리고 S를 강조하는 경우의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타동성] 제약이 잘 준수되고 있다. 반면 S를 강조하지 않는 경우 자동사도 출현할 수 있다.
셋째, 정보구조 이론을 통하여 S를 강조하는 경우 이 구문은 주로 주어-초점구조이고 구문 전체에 책임 의미가 있다. 이때는 행위자가 누구인지가 중요하고 보통 뚜렷한 강세를 수반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하는 것은 화제에도 대조가 있고 앞에 전제적인 정보가 없을 때 문장은 문장-초점구조다. 반대로 S를 강조하지 않는 경우 이 구문은 주로 서술어-초점구조이지만 발어문으로 사용되는 S+来/+VP 구문은 문장-초점구조이다.
넷째, 주어-초점구조가 아닌 경우 来, 去가 사용되는 맥락에는 현저한 차이가 존재한다. 来의 사용 환경은 일반적으로 구체적이고 일상적이며 발화할 때 대화 참여자들은 모두 동작을(VP) 수행하는 현장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현장성]은 인터넷 등 매체를 통해 하나의 가상 공간에서 모이는 것도 허용한다. 구문은 발화하고 나서 대화 참여자들끼리 가까운 미래에 무언가를 같이 하자는 것을 의미한다. 去의 사용 환경은 추상적이고 문어적인 색채가 강하다. 게다가 来에 비해 去 뒤의 VP는 불확정적이고 S+去+VP는 [-현장성]의 특성을 가진다. 해당 구문은 화자가 청자/독자에게 상대적으로 먼 미래에 어떻게 해야 할지를 조언하거나 권유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먼 미래는 불확정성과 관련된다.
마지막으로, 유형론적인 관점에서 come, go 류 미래표지의 문법화 과정에 방향성이 있는 원인을 정리하고 나아가 중국어 来/去를 분석하여 대조 및 검증하였다. come류는 주로 가까운 미래표지로 발전하고, go류는 먼 미래표지로 발전할 수 있다. 현대중국어에서 来/去는 이러한 경향성이 있지만, 지금은 주로 의도성을 지니고 아직 미래표지로는 발전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동의미가 없는 来는 [+현장성]과 관련되고 현장성은 실제적 공간과 가상 공간 모두를 포함한다. 공간적 이동의미가 없는 去는 [+추상성]과 관련되며 시간적인 개념을 나타내며 심리적인 추상적 이동으로 실현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4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