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의 정치적 지형에 따른 서양 대중가요의 유입에 대한 분석 : Arrival of Western Popular Music Through Popular Music–Translation (Pŏnan'gayo) – Based on Political Topographical Changes of Korean Society From 1910 To 1987 -
1910년부터 1987년까지의 번안가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소현

Advisor
민은기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번안 가요정치적 지형한국대중음악사서양 대중가요의 유입문화정책정책정치적 이념레코드 산업P nan'gayo ŏPopular music-translationPolitical topographyInstitutional device of musicKorean popular music historyInflow of Western popular music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1. 2. 민은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Popular Music-Translation using political background of Korean society. Definition of Popular Music-Translation is a popular music that changed only lyrics into its own language based on songs that are already created in other countries. Lyrics are changed in order to adapt into different countries society. This music also help a foreign society or foreign listeners to easily accept them.
Popular Music – Translation has been produced in Korean Society from 1910 to 1987, which was before Koreas participation in the WTO TRIPS agreement, and this music have influenced Korean popular music market in many aspects, for example, diversifying popular music genre and played as a bridge that connected Korean society and Foreign popular music.
Interestingly, history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was longer. This music had existed at the very beginning of Korean popular music market. In 1926, was released, which was based on Invanovicis . was the first Korean popular music and also the first Popular Music – Translation in Korean society. This piece vitalized Korean Popular music market, settling standard form of popular music. As this example illustrates, Popular music – Translation was not only the indicator of inflow of foreign popular music but also a large body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from the beginning.
In spite of this importance, Popular music – translations empirical researches were not done vigorously because it was remake of existing song which is not an original song. However,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 in research. Some are focused on lyrical or rhythmic changes comparing Popular music – translation and an original song, and others have demonstrated Modernity through examining popular music – translation due to their origination - mostly from Western countries – which have led into dichotomous discussion. These recent studies might have been able to dig up the fact that had not been covered by former Korean popular music studies but still they are not effective enough to make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As known by the explanations from recent studies, Popular music – translation was a root for variety of genres in Korean popular music market. Analysis on this kind of music equals to analysis on every aspect of Western music that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from 1910 to 1987. More importantly, in order to play a major role in the industry their existence had to be in the same position as the original works. What were the key component that made them possible to remain in the same position as the original work? Although Korean copyright law has existed since 1957, this law was not strictly applied to remake songs at the time. This means that more tremendous power had been applied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And the more tremendous power are as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governments institutional devices, which had changed based on political topographical changes.
Based on the main question, this thesis will use political background in order to analyze Popular music – translations in Korea. According to Korean political topography, the duration from 1910 to 1987 could be divided into 3 separate time lines,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USAMGIK and Presidency of Syngman Rhee (1945-1961), and Presidency of Junghee Park and Duhwan Jeong (1961-1987). For more detailed analysis, each duration is also divided based on the institutional changes made by each government. The samples for this study were based on different sources for each political era due to difference of social aspect and technical background - Korean Sp Archive for the first part, News Archive for the middle, and KBS Music Archive for the last part of this study.
The list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s for each designated time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timeline. Yearly released rate and genre proportion based on the list were suggested and analysis were done at the point where unusual rates or the outliers were found on the graph. These analysis were done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 of political background and Popular music – translation.
As a result, produ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 translation was either increased or decreased based on the political aim of each time line, which means that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music was controlled by government. In Japanese Colonial Era, from 1910 to 1938 government led society to synchronize with Western music which resulted in increase of production rate. However after 1938 dramatical decrease was found due to prohibition of Western music by government. From 1945 to 1961, AFKN and US 8th army show led popular society to get familiar with the American culture and also, the anti-communism - which was main ideology of the government at the time- had provoked society to accept the Western liberal counties culture. This era functioned as a base for the adaptation of Western music afterwards. From 1961 to 1987, Park and Jeons presidencys graph also looks similar to Japanese colonial era, production rate increased until 1975 and dramatical decrease after 1975. At first, Parks regime was positive about the translated popular music but after 1966 there were several attempts made by government to control the popular music which is reflected on the decrease of production rate. and After 1975, when the highest level of inspection was applied to popular culture, production rate has more decreased due to the continuing censorship done by both regime.
The yearly production graphs had proved that the political aim and production rate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have a strong correlation, also meaning that the popular music industry was effected by the institutional device. This institutional devices were based on political ideology which had shown changes in governments attitudes toward Western popular music over the period. Because of these changes made by the government, Popular music – translation had been constantly repositioned in music industry time to time, from alternative to main and from main to minor stream.
By looking at the proportion of Genre, the changes had occured whenever government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Western music. In Japanese colonial era, government prohibited Jazz genre music after 1938 where the proportion of Western popular music genre decreased compared to the former time. Also, after 1975, when government framed Folk and Rock genre as anti-government music in order to control the protest movement, Folk and Rock genres propotion had decreased compared to 1960s. This demonstrates that Popular music - translation genre and political aim were strongly connected.
Analysis on Popular music – translation has revealed several important facts and also captured significant moments in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And as this study has proved through Popular music – translation, popular music is not only art but also a political and social product due to the relationship of society and popular music, which exhibited strong bond between popular music and society. And most importantly, by the method using political backgroun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history of Korean popular music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hanges of political topography as Popular music – translation represents large part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번안가요란 타국에서 이미 창작된 곡을 바탕으로 가사만을 자국 언어로 변환한 가요를 의미한다. 타국의 음악은 대게 자국의 언어로 번안된 번안가요를 통해 정착된다. 가사가 자국의 언어로 변환됨으로써 언어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대중들이 수용하기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와 같이 매스미디어를 통해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 이전에 국가들 간의 음악적 교류는 번안가요를 통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1987년 저작권 협회 가입 이전까지 번안가요가 다량으로 발매되었다. 한국 상업음악 시장 속 번안가요는 서구권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의 대중음악을 한국으로 정착시키는 동시에 한국 대중음악 장르의 다양화를 촉진시켰다.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1960년대 포크와 락 장르의 시작도 번안가요에 의한 것이었다.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달리 번안가요의 역사는 한국 대중가요의 시작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6년 발매된 첫 대중가요인 는 을 원곡으로 하여 번안한 것이다. 이 작품은 레코드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이끌었던 동시에 한국 음악계에 대중가요의 형식의 도입을 가능케 했다. 이처럼 번안가요는 한국 대중가요의 시초였으며, 이후 서양 대중가요 유입의 지표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번안가요는 1차 저작물이 아닌 2차 저작물이라는 점에 있어서 연구의 필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대부분의 창작가요가 번안가요를 통해 유입된 다른 국가의 대중가요를 기반으로 발전되었음에도 아직까지 한국 대중음악사는 창작가요를 기반으로 기술되고 있다. 최근 10년간 학계에서 번안가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연구가 활발히 되기 시작했으나, 음악내적 요소에 대한 분석 혹은 혼종적 정체성에 대한 분석에서 그쳤다.
한국 대중음악사 속 번안가요의 중요성은 번안가요가 생산될 수 있었던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러한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서는 그 당시의 제도적 장치에 접근해야 할 것이다. 흔히 대중음악의 제도적 장치라 함은 저작권법을 가리키는데, 한국 사회 속에서 저작권법이 1957년에 정식으로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번안가요가 지속적으로 생산되었던 것은 그와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시 말해, 번안가요의 생산 과정에는 저작권법이 아닌 더 큰 힘을 기반으로 한 제도적 장치가 작용되었던 것이다. 그렇기에 번안가요는 정치적 맥락을 기반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번안가요의 중요성에 대한 정당한 이유뿐만 아니라 한국 대중음악의 정착부터 여러 전환점까지 한국대중음악사의 전체적 맥락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본문에서는 1910년부터 1987년까지 3 개의 시기로 분류하여 정치적 맥락에서 번안가요를 해석하였다. 일제강점기(1910-1945), 미군정기와 이승만 정부 시기 (1945-1961), 박정희 정부와 전두환 정부 시기 (1961-1987)로 나누었고, 각각의 기간은 정책기관의 변화에 따라 세분화했다. 일제강점기의 경우 조선총독부가 실시한 조선 교육령에 따라 4 개의 시기로, 미군정기와 이승만 정부시기는 정책에 따라 3 개의 시기로, 마지막으로 박정희 정부와 전두환 정부 시기는 정책기관에 따른 3 개의 시기로 분화했다.
분석에 사용된 1차 자료는 각 기간별 발매된 번안가요였으며, 1차 자료를 바탕으로 번안가요를 통해 유입된 서양대중가요의 형태를 분석했다. 각각의 목록에 기초하여 연도별 생산 수치 그래프와 장르별 분포 비율 그래프를 작성하였고 이러한 통계자료에 대한 분석을 상세히 서술했다. 이 자료들을 통해 정책과 번안가요의 긴밀한 연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1910년부터 1987년까지 분석을 행한 결과 번안가요를 통한 서양 대중가요 유입의 형태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했다. 우선, 번안가요의 연도별 통계 수치 분석을 통해 정권의 정책의 방향에 따른 서양대중가요 유입량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각기 다른 정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번안가요 생산에 대한 장려정책과 검열정책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유입량의 변화가 발생했던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장려정책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번안가요가 하나의 저작물로 인정될 수 있었던 요인이 있었음을 명확히 하였다.
두 번째로 원곡의 장르별 분포 비율은 서양 대중가요에 대한 정권의 접근 방식 혹은 작용방식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일제강점기 초기부터 서구권 제국의 음악 수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있었던 반면, 후반기에는 전쟁을 거치면서 재즈를 중심으로 한 서구권 음악 금지 정책이 펼쳐짐에 따라 유입된 장르의 비율에 변화가 일어났다. 해방 이후 반공이데올로기와 미군의 선전정책은 대중들로 하여금 서양대중가요를 수용해야 하는 음악으로 인식하게 하였으며, 1960년대 이후 서양대중가요 장려정책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나 1975년 포크, 락 과 같은 특정장르를 역문화, 반정부적인 음악으로 해석함에 따라 발매된 번안가요의 원곡 장르 비율 분포에서 큰 변화가 발견된다. 이처럼 번안가요를 통해 유입된 서양 대중가요의 특정장르들은 정권의 접근방식에 따라 장려 혹은 검열되면서 정치적 지형에 따른 장르별 분포가 다른 양상을 띄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발매된 번안가요는 한국 대중음악사에 여러 변화를 야기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당시 대중가요 장르인 재즈송이, 1950년대 이후에는 스탠다드 팝이, 1960년대 이후에는 포크송, 락, 댄스 등이 번안가요를 통해 한국사회로 흘러들어오면서 새로운 장르의 정착을 가능하게 하였다. 번안가요는 한국 대중가요사 속 타국 음악의 정착과 동시에 전환점을 일으키는데 큰 영향력을 미쳤던 것이다.
번안가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혔듯이, 대중가요는 정치적 사회적 산물이며 지배 계층에 의해 정치적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대중가요는 음악이기 전에 하나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큰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에 있어서 사회의 질서를 마련하고 사회를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번안가요가 한국 대중가요사에서 큰 흐름을 형성한다는 점에 있어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적 흐름 또한 정치적 움직임에 따라 형성되었음을 입증하는 동시에 대중가요가 순수한 그 자체의 음악으로만 해석되기보다도 정치적 맥락을 통해서 분석되어야 하는 현상임을 주장하는 바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9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0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