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성권번과 조선권번의 음악적 성향 연구 : A Study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anseong and Joseon-GwonBeon -Focusing on vocal music from 1928 to 1936-
1928~1936년 가창 종목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원

Advisor
김우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성권번조선권번유성기음반경성중앙방송정가잡가음악성향Hanseong-GwonbeonJ oseon-GwonbeonPhonographic RecordGyeongseong Central Broadcasting Station(JODK)JeongGaJapgaMusical Characteristi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1. 2. 김우진.
Abstract
본 연구는 유성기음반과 경성중앙방송을 통해 활동했던 한성권번과 조선권번 소속 여성 음악인들의 가창 종목을 통해 그 음악 활동 양상을 살펴보고, 두 권번이 1928년에서 1936년에 걸쳐 형성하였던 음악적 성향을 구명(究明)한 것이다.
한성권번은 정가류 악곡 중에서는 시조 가창이 주를 이루고, 사당패 소리를 이어받은 경서도 잡가를 주로 가창하였다. 실제 악곡의 가창에 있어, 정가류 악곡은 속소리의 사용이 제한적이며 비교적 폭이 넓은 서도소리 요성을 사용하였다. 잔가락의 출현이 적었고 음의 지속에 있어 짧은 박으로 끊어내듯이 표현하는 경향을 보여 씩씩하고 거친 음색으로 표현되었다. 잡가류 악곡의 가창은 통속적인 사설을 사용하고 다양한 출현음과 절 마다 후렴의 선율이 변화한 것을 통해 잡가류 악곡의 유연한 가창이 가능할 수 있을 만큼 능숙한 역량을 갖추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권번은 정가류 악곡 중에서는 가곡 가창이 주를 이루고, 뚜렷한 지역적 시김새가 드러나는 잡가류 악곡을 주로 가창하였다.
실제 가창을 통하여 나타난 조선권번 정가류 악곡은 속소리의 사용이 빈번하고 자유로웠으며 폭이 좁은 정가 요성을 주로 사용하였다. 긴 호흡으로 하나의 음을 지속하며 인접한 음을 통한 다양한 잔가락이 출현하여 비교적 유려하고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잡가류 악곡은 한시의 어구를 차용한 사설을 사용하고, 제한적인 음의 출현과 박자 단위로 짧게 구분되는 박의 명확성으로 인해 단조롭고 간결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한성권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셈여림과 다이내믹이 정가와 잡가류 음악에 모두 나타난 점을 통해 음색과 음향을 통한 음악적 변화를 추구했으며, 이와 같은 음악적 표현에 높은 기량을 갖추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매체의 발달로 인해 음악 유통 과정이 변화했던 1928년부터 1936년에는 관기 출신으로서 궁중 가무 능하여 정통 궁중 문화를 계승했을 것으로 알려진 한성권번과 삼패와 향기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시정 문화에 능하였을 것으로 알려진 조선권번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는 상이한 음악적 성향을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usic activities of the two groups
based on the songs of Hanseong-Gwonbeon and J oseon-Gwonbeon,
who performed on Phonographic Record and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JODK). This aims to reveal the musical
tendencies that two Gwonbeons formed between 1928 and 1936.
First of all, Hanseong-Gwonbeon mainly sang the Sijo among
J eongGa genres music, and sang the traditional J apga of Seoul and
its surroundings, which inherited the sound of Sadang-pae(a
traditional singing group that was active in the 19th century).
- 156 -
In the actual song, J eongGa genre music was expressed in a
bolder and thicker style than a delicate musical expression. J apga
genre music used popular lyrics and more diverse notes than
J oseon-Gwonbeon. This shows that the Hanseong had higher skills
in popular and fashionable music.
Next, J oseon-Gwonbeon mainly sang the song, which was Gagok
mainly of the J eongGa genres music, and mainly sang the J apga
genre music, which clearly revealed the local expression.
In the actual song, J eong Ga genre music was highly professional
with delicate musical expressions. Chinese characters were also used
in J apga genre music, or singing methods such as J eong Ga genres
music. Therefore, J oseon-Gwonbeon was better at expressing
traditional pungryu-bang vocal music.
This study revealed that from 1928 to 1936, these two groups had
a different musical tendency from the previously known
Hanseong-Gwonbeon and J oseon-Gwonbe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92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