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ctual Long-term Survival after Resection of Stage III Soft Tissue Sarcoma : 제 3기 연부조직 육종의 수술적 절제술 후 실제 장기 생존율과 관련된 요인 고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도원

Advisor
한일규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arcomaSoft tissue sarcomaActual survival육종연부조직 육종실제 생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1. 2. 한일규.
Abstract
Actuarial survival based on the Kaplan–Meier method can overestimate actual long-term survival, especially among those with factors of poor prognosis. Patients with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e III soft tissue sarcoma (STS) represent a subset with a high risk of STS-specific mortality. Therefore, we aimed to characterize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actual long-term survival in patients with stage III S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16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or stage III STS with curative intent between March 2000 and December 2013. Long-term survivors (n = 61), defined as those who survived beyond 5 years, were compared with short-term survivors (n = 36), who died of STS within 5 year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a tumor size <10 cm [odds ratio (OR) 3.95, p = 0.047], histological grade of 2 (OR 8.12, p = 0.004), and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score of 1 (OR 11.25, p = 0.001)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ctual 5-year survival. However, 66% of the long-term survivors exhibited factors of poor prognosis: 36% had a tumor size >10 cm and 48% had a histological grade of 3. Leiomyosarcoma (3 of 10)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tual long-term survival. Actual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stage III STS was associated with tumor size, histological grade, and ASA score. However, majority of the actual 5-year survivors exhibit factors of poor prognosis, suggesting that aggressive treatment should be offered for a chance of long-term survival in these patients.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들에서 카플란-마이어 방법을 이용해서 생존율을 추정하는 것은 실제를 과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제 3기 연부조직육종 또한 질병 특이적 사망 위험이 높은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3기 연부조직육종 환자의 실제 장기 생존율 및 관련된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2000년 3월부터 2013년 12월 사이에 제 3기 연부조직육종에 대해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받은 116 명의 환자들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했습니다. 5년 이상 생존한 장기 생존자들 (n = 61)을 5년 이내에 연부조직육종에 의하여 사망한 단기 생존자들 (n = 36)과 비교했습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 따르면 10cm 미만의 종양 크기 [승산 비 (OR) 3.95, p = 0.047], 조직학적 등급 2 (OR 8.12, p = 0.004), 미국 마취과 학회 (ASA) 점수 1 (OR 11.25, p = 0.001)이 실제 5년 이상 생존과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장기 생존자들의 66%는 불량한 예후 요인을 갖고 있었습니다. 36%의 환자들은 종양 크기가 10cm이상이고 48%의 환자들의 육종은 조직학적 등급이 3이었습니다. 이는 이러한 환자들에 있어서도 장기 생존의 기회를 위해서 적극적인 치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합니다. 평활근육종 (3/10) 은 실제 장기 생존과 부정적으로 연관되었습니다. 요약하면, 제 3기 연부조직육종 절제술 후 실제 5년 이상 생존은 종양 크기, 조직학적 등급 및 ASA 점수와 각각 독립적으로 연관이 있었습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0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6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