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the Effect of Koreas Emission Trading Scheme on the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시행이 기업 재무성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민규

Advisor
구민교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nvironmental regulationIndustrial competitivenessEmission Trading Scheme (ETS)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Industrial policyEnvironmental policy환경 규제산업 경쟁력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기업 재무성과산업 정책환경 정책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 2021. 2. 구민교.
Abstract
2015년에 체결된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을 필두로 글로벌 환경규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는 화석연료 중심의 기존 에너지 사용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 추세는 한국을 비롯한 제조업 중심 국가들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ETS) 1차 계획기간(2015-17) 시행결과 배출권 할당대상업체의 재무성과에 부정적 영향이 있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ETS 규제를 받지 않은 기업의 같은 기간 재무성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기업 규모나 업종 등을 통제하였을 때도 ETS 영향이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은 2014년 ETS 대상업체로 지정된 524개 업체 중, KIS-Line(기업정보포털)과 KIS-Value(기업정보서비스)를 통해 기업 재무정보 확인이 가능한 299개사(이상치 3개사 제외)이다. 통제집단인 ETS 규제를 받지 않은 기업은 코스피(KOSPI) 상장기업 중 비금융사로 설정하였으며, 업체수는 ETS 1차 계획기간 동안 본 연구에서 필요로 하는 기업 재무정보 확인이 가능한 380개사이다.

이중차분(DID) 분석 결과 ETS가 기업 재무성과에 반드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었다. ETS 시행으로 매출은 유의하게 감소, 영업이익은 오히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자산수익률(ROA)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ROA 수치는 증가하는 등 ETS의 영향이 재무지표에 따라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다. ETS의 부정적 영향이 미미하고, 영업이익, 자산수익률 등에는 오히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는 여러 가지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목표관리제(TMS) 등 ETS 시행 전 기업들이 이미 유사한 온실가스 규제를 경험하여 ETS에 쉽게 적응했을 가능성, ETS 1차 계획기간에 배출권을 100% 무상할당 하는 등 규제 강도가 낮았던 점, 기업들의 전체 생산비에서 에너지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체로 5% 미만으로 크지 않은 점, 기업들이 당장 심각한 재무적 타격을 겪지 않았으나 미래의 불확실성과 잠재적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표명한 점 등이 당초 우려했던 만큼 재무성과에 큰 충격이 발생되지 않은 원인일 수 있다.

앞으로 정책 당국은 환경이슈의 특성을 고려해 장기 비전을 제시하고, 규제와 동시에 이행수단을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적정한 규제의 강도와 규제의 속도 조절도 규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배출권 거래시장의 효율화를 위해 가격 상한제도 필요하다. 나아가 ETS의 상호 연계 및 외연 확대를 위해 국제사회의 ETS 참여를 독려하고, 에너지 효율 기술 및 환경설비 분야에 대한 국내기업의 진출도 적극 장려해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ETS를 포함하여 미래에 지속적으로 심화될 에너지 및 환경규제에 대응하여 환경 정책과 산업 정책이 조화롭게 추진될 수 있는 방향성을 고민해 보았다. 환경정책의 지속 가능성과 성공 가능성도 결국 피규제집단인 기업들의 규제 순응과 규제의 적극적 활용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엄격한 규제의 이행에 앞서 피규제집단의 규제 이행 능력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규제이행 역량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 대책도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간에 환경 이슈를 형평성 있게 부담하려면 국제기구 등을 통해 ETS와 같이 한국이 앞서 있는 환경 정책을 알리고 회원국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어야 한다. 이는 비단 배출권 거래시장의 외연을 넓히는 의미로서만이 아니라, 국내 규제대상 집단에 대해 국내 환경규제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정부의 역할이다.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deepening, such as the 2015 Paris Agreement on Climate Change. This calls for a fundamental shift in the existing energy use paradigm from fossil fuels. The global trend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untries with a high proportion of manufacturing like Korea.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at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subject to Koreas emission trading scheme (ETS) was negatively affected by ETS Phase 1.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non-ETS regulated entities with that of the ETS-regulated entities over the same period. Besides, this study also looked at whether the ETS effect exists even when controlling the size of the company or industry. Out of 524 companies designated as ETSs targets in 2014, the experimental group is 299 companies (excluded three outliers) that we were able to check corporate financial information through KIS-Line or KIS-Value. Among the KOSPI-listed companies, non-financial companies that ETS does not regulate were set as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companies in the control group is 380, which allows us to identify the financial information we need in this study during ETS Phase 1 (2015-17).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in-Difference (DID) analysis, we could not see that ETS necessarily harms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ETS, revenue decreased significantly, operating profit rather increased significantly, and RO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ROA itself increased. Therefore, the impact of ETS did not appear consistently according to financial indicators. We can estimate various reasons why the negative impact of ETS was insignificant, and it had a rather positive impact on some indicators. Before the ETS, companies experienced similar greenhouse gas regulations such as the Target Management System (TMS) and were likely to have easily adapted to ETS. The fact that energy costs accounted for less than 5% of the total production cost which is not large, and that companies did not suffer a serious financial impact right away, but they actively expressed future uncertainty and potential risks may be the cause that did not give such a negative shock to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future, policy authorities need to present a long-term vis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provide measures for implementation at the same time. Adjusting the strength and speed of regulation as appropriate is also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regulation. To make the emission trading market more efficient, a safety measure such as a price ceiling is also necessary. Furthermore, countries that are implementing the economy-wide ETS, including Korea, should encourag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articipate in ETS for mutual linkage and expansion of the carbon market. The policy authority also needs to actively encourage domestic companies to invest in energy-efficient technologies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Finally, this study considered the direction in which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policies can be implemented harmoniously in response to the energy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sustainability and success of environmental policies largely depend on the compliance and active use of regulations by the regulated group.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regulated groups' abilities to follow the regulatory standards. It should also prepare differentiated support measures for the regulated groups according to regulatory implementation capabilities. Also, it is necessary to inform Korea's leading environmental policies such as the economy-wide ETS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lea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member countries to bear the environmental burden equally between countries. This is not only meant to expand the scope of the emission trading market, but also an essential role of the government to emphasize the legitimacy of domestic environmental regulations for groups subject to domestic regulation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2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