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부신뢰와 정치신뢰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and Political Trust on Political Participa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 Political Efficacy
내적 정치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명종

Advisor
엄석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부신뢰정치신뢰내적 정치효능감정치참여투표참여위계적 회귀분석Trust in GovernmentPolitical TrustInternal Political EfficacyPolitical ParticipationVoting Participation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정책학과, 2021. 2. 엄석진.
Abstract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has been growing, including the increase of the turnout and online participation (e.g. petition to the Blue House, political influencer in YouTube). So, it is time to comprehensively expand political participation for equal agenda setting across all classes and ideologies. In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ole and policy implications of government and political actors can be derived by clarifying the impact of trust, the emotional tendency of citizen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and political trust, the sentiment of political system, on voting participation and other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non-voting). In addition, it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 political efficacy, which means each citizen's political knowledge and confid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mming up and organizing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so far by dividing the political trust of citizens into trust in government, political trust, and internal political efficacy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rust and participation in politics by voting and non-voting according to the way they participate in politics.
Using the data of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in 2018~2019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KIPA), 16,000 adults aged 19 to 69 in Korea were selected as samples. SPSS 25 i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They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for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With regard to operational definitions, the votes in the 2016 general election,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2018 local elections were reflected in the voting participation measurement. In the process of factor analysis, non-voting participation was distinguished as non-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including public participation, protests and online participation) and political dialogue. Accordingly, participation in voting, political dialogue, and non-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analyzed respectively. Control variables reflected gender, age, income, education, ideological orientation, party identification and subjective hierarchical aware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rust in government did not affect voting, and in the case of non-voting participation, political dialogue was positive and non-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was negative. Political trust did not affect voting, but it had a positive impact on non-voting participation. Internal political efficacy had a positive impact on voting. About non-voting participation, it did not affect political dialogue but non-institutional participation was positive.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the inner efficacy reinforced the positive influence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trust and non-voting participation, and the rest were not significant. By typ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t was confirmed that voting was only positive for internal political efficacy, while the non-voting participation tend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ependence and moderating variables except in some c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interpreted as follows: In the case of government trust, voters tend to project not only the administration but also the incumbent ruling party in the "government". So, there is a leaving room for individual voters' ideological inclinations to intervene in formation of trust in government. As a result, the impact of trust in government on voting is inconsistent, depending on individual ideological orientation. When the higher the internal political efficacy and the lower the government trust, non-institutional political participation was enhanced. It supports the "Gamson's hypothesis" on political mobilization. Political trust enhances non-voting participation by raising expectations for the political system. Internal political efficac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increasing the utility gained from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tself. To this end, civic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required. Also, political parties should work hard to collect opinions by each policy field, set policy agenda and make policies.
This study has few limitations of the fact that independent and moderating variables do not have statistically strict independence, that the possibility of inverse causality exists, and the reliability problem of measurement according to few questionnaires. Subsequent research needs qualitative researches on the proces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rust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ew measurement questions about political trust and internal political efficacy.
투표율 상승 현상 및 청와대 국민청원, 유튜브 등을 포함한 온라인 참여 등 정치참여의 확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계층별 균등한 정책의제화를 위해 특정 계층·이념에 국한되지 않는 정치참여의 포괄적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시민의 정서적 경향인 신뢰가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정부 및 정치행위자의 역할과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본 연구는 정부신뢰와 정치체제에 대한 정서인 정치신뢰가 투표참여와 비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시민 각자의 정치적 지식 및 자신감을 뜻하는 내적 정치효능감이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는 신뢰의 대상에 따라 시민의 정치적 신뢰 개념을 정부신뢰·정치신뢰·내적 정치효능감으로, 정치참여를 참여 방식에 따라 투표·비투표참여로 구분하여 그동안의 신뢰와 정치참여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고 체계화하는 의의가 있다.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실태조사」의 2018~2019년 데이터를 활용, 전국 19~69세 성인 16,00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통계패키지는 SPSS 25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기술통계,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계수 및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조작적 정의 관련, 투표참여는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참여 여부를 반영하였다. 요인분석 과정에서 비투표참여는 정치적 대화와 그 외 공적 참여, 항의 참여, 온라인 정치참여를 포함하는 비제도적 정치참여로 구별되었다. 이에 따라 투표참여, 정치적 대화, 비제도적 정치참여에 대한 분석을 각각 진행하였다. 관련한 통제변수로 성별, 연령, 소득, 학력, 이념 성향, 정당일체감, 주관적 계층의식을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신뢰는 투표참여에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고, 비투표참여의 경우 유형에 따라 정치적 대화에는 긍정적, 비제도적 정치참여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정치신뢰는 투표참여에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고, 비투표참여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내적 정치효능감은 투표참여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비투표참여에는 유형에 따라 정치적 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비제도적 정치참여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조절효과 관련, 내적 효능감은 정치신뢰와 비투표참여의 관계에서만 긍정적 영향력을 강화시켰고, 나머지 경우는 유의하지 않았다. 정치참여 유형별로 보면 투표참여에는 시민 자신에 대한 내적 정치효능감만이 정(+)의 관계를 맺은 반면, 비투표참여에는 독립·조절변수가 대체적으로 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정부신뢰의 경우, 유권자가 그 대상인 정부에 행정부뿐 아니라 현직 집권 여당을 투영하는 경향이 있어 개별 유권자의 이념 성향이 정부신뢰 형성에 개입할 여지가 있다. 이로 인해 각자의 이념 성향에 따라 정부신뢰가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일관적이지 않다. 내적 정치효능감이 높고 정부신뢰가 낮을수록 비제도적 정치참여가 제고되어 정치적 동원에 관한 Gamson 가설을 지지하였다. 정치신뢰는 정치체제에 대한 기대감을 제고시켜 비투표참여를 높인다. 내적 정치효능감은 자신의 정치참여 자체로부터 얻는 효용을 높임으로써 정치참여 확대에 기여하며, 높은 정치신뢰 보유자의 정치참여도를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는 정치권의 정책분야별 의견수렴 및 정책의제설정 노력과 함께 정치참여의 중요성 및 바람직한 유권자의 태도·가치에 대한 시민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한다. 단, 독립·조절변수가 통계적으로 엄밀한 독립성을 갖지 않는다는 점, 역의 인과관계 가능성, 적은 문항수에 따른 측정의 신뢰성 문제 등 한계를 지닌다. 후속 연구는 정치참여 및 신뢰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의 보완과 신규 측정문항의 개발을 통해 이를 극복하여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1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8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