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선박수송분야의 사회기술시스템 전환 연구 -국내 해운기업 황산화물(SOx) 규제 대응 사례 - : A study on maritime transportation socio-technical transition -The cases of domestic shipping companies responding to regulations for sulfur oxide(SOx)-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동조

Advisor
윤순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회기술시스템선박연료전환황산화물 배출규제탄소 잠김질적 내용 분석socio-technical systemship fuel transitionsulfur oxide emission regulationscarbon lock-inqualitative content analysi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1. 2. 윤순진.
Abstract
In this study, domestic shipping companies ordered LNG fuelde ship in response to IMO 2020 sulfur oxides regulations as a process of converting existing heavy oil (Bunker C oil) fuel into a new LNG fuel-based system. In the process, I tri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hinder and facilitate the trans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one-dimensional analysis that economically and technically examine the response strategies of the pre-existing studies, an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transition process, this study conducted expert interviews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It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shipping companies, large shipping companies, Korea Shipowner Association, Korea Gas Corporation, and Korean Register of Shipping, and conduc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The factors that hampered the conversion of LNG fuels by domestic shipping compan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technology system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hipping industry, where global competition was overheated, shipping companies had no choice but to suspend their choice of eco-friendly technologies that required a lot of investment and make short-term decisions. Second, high LNG supply prices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med by the exclusive supply structure of LNG fuel suppliers have been a stumbling block to LNG fuel choice. Third, uncertainty and low reliability in the direction of IMO greenhouse gas regulations leave questions about whether LNG fuel will be the next generation's representative fuel compared to ammonia, bio, hydrogen and electricity promotion, or just a bridge's fuel that buys time to develop next generation decarbon fuels. Under these circumstances, shipowners who had to use the ship for 20 years were given a wait and see strategy until uncertainty was reduced. Fourth, compared to European and Japanese shipping lines, domestic shipping companies tended to take a passive attitude and decision on the eco-friendly fuel market that would turn into a new paradigm due to its path-dependent and conservative tendencies.
In the case of the only mid-sized shipping company to place orders for four LNG-fueled bulk carriers, the company minimized investment risk distribution by increasing the contractual term of the long-term contract, and solved the barrier through a network with other agents, shipper/LNG. Above all, the company manager's strong willingness to convert fuel and the company's sustainable management direction made fuel conversion possible.
Barriers and drivers that hinder the conversion of LNG fuel in response to the sulfur oxide regulations found as a result of the study help us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the social technology system in the ship transportation sector. This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policy measures to effectively induce fuel conversion to eco-friendly vessels. In addition to LNG fuel, research on decarbon fuels aimed at zero carbon emissions such as ammonia, bio, hydrogen, and electric propulsion is actively underway in the ship sector. If further research on the next-generation fuel conversion is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energy conversion process in the ship transportation sector will be more closely examined in a multi-layered manner.
본 논문은 국내 해운선사가 IMO 2020 황산화물 규제에 대응하여 LNG 추진선을 발주하는 과정이 기존의 중유(벙커C유)연료를 중심으로 한 사회기술시스템
의 새로운 LNG 연료 기반 시스템으로의 전환 과정이라고 보고, 그 전환을 저해하는 요소와 촉진하는 요소를 살펴보고자 했다. 기존 연구에서 선사들의 대응 전략을 경제성과 기술적으로 검토하는 일차원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 전환 과정에서 실무적 관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적용한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했다. 주요 행위자로 판단되는 국내 중소형 해운기업, 대형 해운기업, 한국선주협회, 한국가스공사, 한국선급의 담당자와 반구조화 인터뷰를 진행했고, 사회기술시스템의 전환 관점의 탄소잠김 현상을 분석 틀로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s analysis)을 했다.
사회기술시스템 관점에서 국내 해운 기업의 LNG 연료 전환을 저해한 요소와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경쟁이 과열된 해운업계에서, 선사들은 많은 투자 비용이 필요한 친환경 기술 선택을 보류하고 단기적 관점의 결정을 할 수밖에 없었다. 둘째, LNG 연료 공급사의 독점 공급 구조로 인하여 형성된 높은 LNG 공급 가격과 부족한 인프라 시설은 LNG 연료 선택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셋째, 강화될 IMO 온실가스 규제 방향의 불확실성과 낮은 신뢰도는 LNG 연료가 암모니아, 바이오, 수소, 전기추진과 비교하여 차세대 대표 연료가 될지, 차세대 탈탄소 연료 개발까지 시간만 벌어주는 브릿지 역할의 연료에 불과할지에 대한 질문을 남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박을 건조하면 20년을 사용해야 하는 선주들은 불확실성이 낮아질 때까지 기다리고 지켜보는(wait and see) 전략을 취하게 되었다. 넷째, 유럽과 일본의 선사들과 비교하여, 국내 선사들은 경로 의존적이고 보수적 성향으로 인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뀔 친환경 연료 시장에 대해 소극적 태도와 결정을 취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터뷰 대상자 중에 유일하게 LNG 추진 벌크선을 4척 발주한 중형 해운기업의 사례에서는 이미 확보한 장기계약 운송건의 계약 기간 조건을 늘림으로써 투자 위험 분산을 최소화하고, 다른 행위자인 화주/조선소/LNG 공급사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장벽 문제를 해결했다. 무엇보다 회사 경영자의 강력한 연료전환 의지와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 방향이 연료 전환을 가능하게 했다.
연구 결과로 밝혀진 황산화물 규제에 대응한 LNG연료 전환을 저해하는 장벽과 동인 요소는 선박수송분야 사회기술시스템이 가진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친환경 선박으로의 연료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구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선박 분야에서는 LNG 연료 이외에도 암모니아, 바이오, 수소, 전기추진 등의 탄소 배출량 제로를 목표로 하는 탈탄소 연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향후 차세대 연료 전환과 관련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된다면, 선박수송분야의 에너지 전환 과정을 다층적으로 더 면밀히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1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