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2기 수도권 신도시 자족성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of Self-sufficiency in New Towns in the Metropolitan A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상천

Advisor
이제승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신도시 개발방식경제적 자족성생활환경 자족성신도시 자족성 확보 방향New town development methodEconomic self-sufficiencyLiving environment self-sufficiencyDirection of securing new city self-sufficienc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1. 2. 이제승.
Abstract
From 1960 to the present, the government has planned new cities in various regions and on various scales. In particular, cities planned in the metropolitan area with the aim of distributing the population concentrated to Seoul and stabilizing housing supply by the central government's plan after the late 1980s are called the first and second new cities. These new cities were planned with the main goal of solving the problem of soaring house prices and shortage of housing supply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However, jobs and self-sufficiency are not secured, and a new city focused on housing supply becomes a bed town, which cannot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of housing pric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successful new city, it is important to secure self-sufficiency within the city and perform self-sufficiency functions in the planned direction.
In the first phase of the new city, which had no specific self-sufficiency plan and legal system, a plan for business and commercial facilities was established by predicting the land population. As a result, due to the absence of adequate incentives for the installation of self-sufficient facilities and real estate regulations, the site remained unsold for a long time in the new city. Afterwards, through a large-scale change of permitted use, most of the sites were permitted to have residential functions, and facilities different from the initial plan came in, and securing self-sufficiency in the new city was not developed according to the plan direction. The 2nd new town, planned from late 1990 to early 2000, used several urban design methods and development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of not securing self-sufficiency of the 1st new town. Representative of them are the introduction of self-sufficient functional papers established in 1995 and changes in the way of business development. Pangyo New City has successfully secured economic self-sufficiency by utilizing self-sufficient functional lands that enable the location of urban support facilities and business facilities.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secure self-sufficiency in the early stages of the new city through joint private-public project financing (PF) rather than the collective land sale method used in the first new city. However, public opinion and some studies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second-tier new cities, like the first-tier new cities, have difficulty in securing self-sufficiency.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consider the changes in self-sufficiency in the first and second new towns that have been developed, identify effective urban development methods to secure self-sufficiency, and present them as data that can be used for the 3rd new town where the plan is in progress and the new town that has arrived at the time of re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self-sufficient new towns and a framework for evaluating self-sufficiency are prepar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review of prior studies, and the methods of developing new cities in the first and second phases, and business and commercial land development are examined. After that, through the research method, the target site and timing of the first and second new town research are set, and the self-sufficiency items to be evaluated through the framework of analysis are set. To collect self-sufficiency items, local government data plazas and statistical offices are used, and self-sufficiency by new city is arranged in time series to find out the changes in self-sufficienc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organized data, the self-sufficiency of the first and second new cities is identified and the level and timing of securing self-sufficienc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Later, based on self-sufficiency evaluation, we will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curing of self-sufficiency in new cities.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self-sufficiency of the 1st new town and the 2nd new town planned to overcome the self-sufficiency problem of the 1st and 1st new towns 30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the current plan is planned for the 3rd new town and the new town planning and redevelopment I hope it becomes the basic data for development.
196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부는 여러 지역에 다양한 규모로 신도시를 계획하였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이후 중앙정부의 계획에 의해 서울로 집중되는 인구를 분산하고 안정된 주거공급을 목표로 수도권 지역에 계획된 도시를 1,2기 신도시라 부른다. 이러한 신도시들은 서울 및 수도권의 집값 폭등문제와 주택 공급 부족 문제의 해소를 주요 목표로 계획되었다. 하지만 일자리 및 자족성이 확보되지 않고 주택공급 위주의 신도시는 베드타운이 되고 이는 근본적인 수도권 집값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성공적인 신도시 개발이 되기 위해선 도시 내 자족성을 확보하고 계획한 방향대로 자족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인 자족성 확보 계획 및 법적 제도가 없던 1기 신도시는 토지 수용 인구를 예측하여 업무 및 상업시설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그 결과 자족시설 설치를 위한 적절한 유인책 부재와 부동산 규제로 인해 신도시에서 해당 용지가 장기간 미분양 상태로 남게 되었다. 이후 대규모 허용용도 변경을 통해 대부분의 용지에서 주거기능을 허가하며 초기 계획과는 다른 시설들이 들어오게 되었고 신도시 내 자족성 확보는 계획 방향대로 개발되지 못했다. 1990년 말에서 2000년 초 계획된 2기 신도시는 1기 신도시의 자족성 미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도시 설계 방법 및 개발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1995년 제정된 자족기능용지 도입과 사업 개발방식의 변화이다. 도시지원시설 및 업무 시설의 입지가 가능하게 한 자족기능용지의 활용으로 판교신도시는 성공적인 경제 자족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1기 신도시에서 사용한 일괄 토지 매각 방식이 아닌 민·관 합동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하여 신도시 초기 자족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여론과 일부 연구에서 대다수의 2기 신도시도 1기 신도시와 마찬가지로 자족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개발이 완료된 1,2기 신도시의 자족성 변화를 고찰하고 자족성 확보에 효과적인 도시개발 방식을 파악해 계획이 진행 중인 3기 신도시 및 재개발 시기에 도래한 신도시에 활용 가능한 자료로써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선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자족적 신도시에 대한 정의와 자족성을 평가하는 틀을 마련하고 1,2기 신도시 개발방식과 업무 및 상업용지개발 방식을 살펴본다. 이후 연구방법을 통해 1,2기 신도시 연구 대상지와 시기를 설정하고 분석의 틀을 통해 평가할 자족성 항목을 설정한다. 자족성 항목 수집을 위해 지자체 데이터 광장 및 통계청을 활용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족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계열적으로 신도시별 자족성을 정리한다. 정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1,2기 신도시별 자족성 파악하고 비교분석을 통해 자족성 확보 수준과 시기를 알아본다. 이후 자족성 평가를 바탕으로 신도시 자족성 확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성이 완료된 30년이 지난 1기 신도시와 1기 신도시의 자족성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계획하였던 2기 신도시 자족성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봄으로써 현재 계획이 예정중인 3기 신도시와 재개발시기에 도래한 신도시 계획 및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되길 바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8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