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유림의 협력 관리와 산촌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 Collaborative forest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of forest-dependent commun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소희

Advisor
윤여창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산촌지속가능성생계협력적 산림관리산림이용권forest-dependent communitysustainabilitylivelihoodcollaborative forest managementaccess to forest resource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산림환경학전공), 2021. 2. 윤여창.
Abstract
우리나라 산촌은 생태계 보전과 공익 기능 제공을 위해 사회경제적으로 발전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산촌주민의 삶은 매우 빈곤해졌으며 산촌의 지속가능성까지 위협받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산촌 문제의 원인이 산림 이용 규제 정책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산림 이용 규제 완화는 산림 황폐화를 초래하여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저해할 수 있다. 정부와 산촌주민이 함께 산림을 관리하는 협력적 산림관리는 산촌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협력적 산림관리가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이익과 산림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산촌주민의 생계가 지속가능할 때 산촌의 지속가능성이 달성될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에 산촌주민이 생계를 지속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협력적 산림관리에 참여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촌주민의 협력적 산림관리제도 참여와 생계 전략 선택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협력적 산림관리제도 참여가 산촌주민의 생계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협력적 산림관리제도 중에서 정부와 산촌주민이 함께 국유림을 관리하는 사례로서 국유림 보호협약 및 국유임산물 양여제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2개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가설은 협력적 산림관리제도 참여 여부에 따라 산촌주민의 생계 전략 선택이 달라진다는 것이고, 두 번째 가설은 협력적 산림관리제도에 참여하면 산촌주민의 생계가 지속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산촌 생계(SRL) 이론 틀과 사회생태계(SES) 이론 틀을 통합하여 협력적 산림관리제도가 산촌주민의 생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남부학술림의 고로쇠나무 수액 채취 계약에 참여하여 협력적으로 산림을 관리하고 있는 전라남도 광양과 구례의 마을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차분석, 다항 로짓 모형, 순서화 로짓 모형,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생계 전략 선택에 따른 가구 단위 생계 성과는 가구 소득수준으로 평가하였으며, 마을 단위 생계 성과는 생계 지속가능성으로 평가하였다. 생계 지속가능성은 평균 가구 소득수준을 경제적 지표, 빈곤 가구 비율을 사회적 지표, 임목축적을 생태적 지표로 선정하여 세 지표를 통합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고로쇠나무 수액 채취 계약 현황과 마을 현황 자료는 2015년을 기준으로 남부학술림 직원과 마을 대표에게 조사하였으며, 가구의 특성과 생계 현황 자료는 2015년, 2016년, 2018년, 2019년에 가구 단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17개 마을의 257가구로부터 얻은 응답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수액 채취 계약에 참여하는 가구는 다각화 전략을 선택하는 비율이 매우 높지만, 참여하지 않는 가구는 다각화 전략을 선택하지 않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제도 참여 여부에 따라 생계 전략에 차이가 있다. 둘째, 가구 대표의 연령이 낮을수록,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마을 조직 수가 많을수록, 이용 가능한 농지면적이 작을수록, 계약 산림까지 거리가 가까울수록, 계약 산림의 생산성이 낮더라도 저지대일수록 가구가 고로쇠나무 수액 채취 계약에 참여하여 생계를 다각화하는 전략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액 채취 계약에 참여하여 생계 다각화 전략을 선택하는 가구가 계약에 참여하여 임업 집중화 전략을 선택하거나 기타 소득원 의존 전략을 선택하는 가구보다 소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액 채취 계약에 참여하는 가구 비율이 높은 마을일수록 가구가 생계 지속가능성이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협력적 산림관리제도는 생계자원을 갖지 못한 저소득층에게 소득 창출 기회를 제공하여 빈곤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협력적 산림관리에 참여하여 산림자원을 많이 이용하더라도 생태적 안정성이 떨어지지 않아 산촌주민의 생계를 지속가능하게 하였다.
이 연구는 산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산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협력적 산림관리 비율이 낮은 지역의 협력적 산림관리를 확대하여 더 많은 빈곤층에게 소득 창출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촌주민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임산물 생산성 증대를 위한 산림관리 등 지역사회 수요를 반영한 국유림 관리 및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며, 마을 내에서 원주민과 귀촌민 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형평성 있는 이익 분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As policies to conserve forest ecosystem and provide public benefits have negatively impacte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mountainous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est-dependent communities were not able to gain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livelihoods and became more impoverished while facing threats to their sustainability. In this research, it is proven that the poverty in forest-dependent communities is attributed to the regulation of forest utilization. However, the deregulation of forest utilization can potentially lead to forest degradation and unsustainable use of forest resources. Collaborative forest management (CFM), which provides local people with access to national forest resources in return for managing national forests can be an alternative strategy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forest-dependent communities. Thus, there is a need to evaluate CFM outcome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FM on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for forest-dependent communities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Given that the sustainability of forest-dependent communities is based on the livelihood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memb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households participation in the CFM program to ensure livelihood sustainabil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s participation in CFM and their choice of livelihood strategy, as well as the impact of households participation in CFM on livelihood sustainability. For these objectives, the State Forest Protection Agreement and Concession of State Forest Products were analyzed as examples of CFM programs where the government cooperates with local people to manage national forests.
The study has two hypotheses: First, household participation in CFM is related to their choice of livelihood strategy (H1). Second, household participation in CFM program makes their livelihood more sustainable (H2). To test the two hypotheses,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integrates theoretical frameworks such as the sustainable rural livelihood (SRL) framework and social-ecological system (SES) framework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Gwangyang-si and Gurye-gun, Jeollanam Province around the Southern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Forests, where local people are given the rights to utilize forest resources by collecting maple sap. To test the hypotheses, statistical analysis using chi-squared test, multinomial logit model, ordered logit model, and binary logit model was conducted. Livelihood outcomes were evaluated by household income level at the household level and livelihood sustainability at the village level, which was measured by integrating economic (average household income level), social (proportion of poor households to total village households), and ecological (average growing stock) indicators. The author collected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SNU Forest and village resources by interviewing the Southern SNU Forest management officers and village leaders of local communities with access to the forest resources in the Southern SNU Forest. Interviewers trained by the author surveyed household head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 2015, 2016, 2018, and 2019. Data collected from 257 households across 17 villag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First, CFM participating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choose diversification strategies than non-CFM participating households. Second, given that human, social, and physical capital and forest resources provided through CFM programs affected a households choice of livelihood strategies, households whose heads are younger and have been residents of the villag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larger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choose CFM participating diversification strategies. Also, households of villages with more village organizations, less agricultural lands, located at shorter distances away from the Southern SNU Forests, and with easy access to forest resources in lowlands are more likely to choose CFM participating diversification strategies. Third, households who choose CFM participating diversification strategies have a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a higher income level than households who choose CFM participating forestry-based strategies or strategies that rely on other income sources such as subsidies and remittances. Lastly, households of villages that have a higher ratio of CFM participating households to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livelihood sustainability. This study found that CFM programs contributed to poverty reduction and forest conservation by providing poor households with access to national forest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o generate income from non-timber forest products (NTFPs) while ensuring ecological stability and the sustainable use of forest resour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som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forest-dependent communities. The expansion of national forests covered by CFM programs can be considered to help the poor secure their income sources. To foster cooperation with forest-dependent communities in CFM programs, the study suggests that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demands of forest-dependent communities such as NTFP production b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stronger networks among new and old villagers and an equitable benefit-sharing system be established in villag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48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5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