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단위화된 층의 활용을 통한 유동적 흐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luidity through the Utilization of Unitized Layers: based on my prints
나의 판화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지원

Advisor
임자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유동성비선형적흐름단위쪼개고 쌓아올리기fluiditynon-linearflowlayerunitdividing and layer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1. 2. 임자혁.
Abstract
To me, Art is something that exists as a possibility rather than providing with a concrete answer. For that reason I try to avoid being stuck in a single position, built by clearly stated regulations.
My work begins with the notion regarding unit such as a layer. However in this paper I try to study what lies beneath such perception and present with the flow of time as the basis. Units and names are given to time. Making a split point by 24-hour creates a boundary between yesterday and today. It also distinguishes last year from this year.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time is something comprised of units, which makes flow of time therefore a combination of such. Unlike the structure of time however, the practical experience based on it is not necessarily linear. If narrowed down slightly to ones time; otherwise ones lifetime, not only every days are punctured by sleeping, but also the sequence of the passed units get mixed up as the memory fades away. Although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 lifetime is filled with repetition of certain units, they continue to be cut off and restructured. Therefore the individual units that make up the whole are not fixed in one place but fluid. In this paper, the word fluidity appears as a term against fixed. In order to avoid being fixed, its necessary to be able to move away from a spot. Since the physical mobility of printed images in which ink permeates and sticks to paper is impossible, thorough printmaking I seek for fluidity instead. By printmaking, its not possible to express directly as brushing in painting. Instead, using a plate as a medium is essential in order to visualize the image in ones head. Such prerequisite makes the layers to exist separately in individual plates. In common case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multicolored prints, such separated layers use to be neatly matched, in order to form the image. In this sense, printmaking could be understood that its made up of units since layers are combined to form an image, or since the image being composed of multiple layers. But I deliberate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layers, making them dislocate from each other. Just as the shape of the final structure varies depending on the way Lego pieces are stacked, changing the position of layers in each paper creates multiple variations. Sometimes I even separate one of the layers and with it move on to a new work. This is possible because layers are themselves individual and independent in my works. Not being used merely as a part of a whole, they could be moved to a different place. Through this, a derived work and work as its starting point share a common ground. However, as the link is derivative, the work that is stemmed from extends to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previous work.
Not only do I use layers in printing process, I also use the paper with stacked layers as another independent layer. Just as the layers move around within the paper, the paper itself also moves its position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Thus, both the image within the paper and the paper itself becomes something fluid, as a possibility among number of cases rather than a fixed result. The individual units that make up the whole constantly move away from their supposed positions, incessantly avoiding being positioned to a single place.
나에게 미술은 분명하고 뚜렷한 답을 제시하기보다는 이럴 수도 있 고 저럴 수도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나는 어떠한 생각이나 그것의 결과가 명징한 규정으로 한자리에 고정되는 것을 피하 고자 한다.
나의 작업은 층(layer)이라는 단위에 대한 관점에서 시작된다. 하지 만 본 논문에서는 여기서 한 층 더 아래로 내려가 우선 그러한 인식의 밑에 놓인 것을 살피고, 그 기저에 해당하는 것으로 시간의 흐름을 제 시한다. 시간에는 단위가 부여되며, 그러한 각 단위들에는 이름이 붙여 진다. 24시간이라는 하루의 단위로 분할점을 만듦으로써 어제와 오늘의 경계가 생기고 작년과 올해는 구별된다. 그러므로 시간은 단위로 이루어 져있는 것, 그리고 시간의 흐름은 이와 같은 단위들이 모여 만들어지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단위화된 시간의 구조와는 달리 그에 기반한 실질적인 체감이라는 것은 반드시 선형적이지는 않다. 방대한 시 간을 한 사람의 시간, 다시 말해 한 사람의 삶으로 기간을 한정해보았을 때 24시간의 하루라는 각각의 단위에는 잠으로 인한 구멍이 생기기도 하고 기억이 옅어짐에 따라 그 순서가 뒤바뀌기도 한다. 그렇게 한 사람 의 시간이라는 전체의 시작과 끝 사이는 일정한 단위의 반복으로 채워지 면서도 계속해서 단절되고 계속해서 재구조화된다. 따라서 여기서 전체 를 이루는 개별적인 단위들은 한 자리에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이다. 본 논문에서 유동이라는 단어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정에 대항하는 단 어로 등장하게 된다. 고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그 자리에서 벗어 나 이동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이에 잉크가 스며들어 고착되 는 판화 매체에서 이미지의 물리적인 이동(mobility)은 불가능한 것이기 에, 나는 그 대신 판화를 통해 유동적인 상태(fluidity)를 꾀한다. 판화에서 는 회화처럼 붓에 물감을 묻혀 캔버스에 바로 그리는,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방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머릿속의 이미지를 구현해내기 위해서 는 판이라는 매개체를 거쳐야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건으로 인해 판화의 층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판으로서 존재한다. 기존의 판화, 그 중 에서도 다색판화에서는 이렇게 분할된 층들이 가지런히 꼭 맞음으로써 하나의 이미지가 된다. 여러 층이 모여 하나의 이미지가 된다는 점에서, 혹은 이미지가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판화 또한 단위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의도적으로 층의 위치를 바꾸어 그것들이 서로 어긋나게 한다. 마치 레고 조각을 쌓는 방식에 따라 최종 구조물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과 같이 종이마다 층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여러 경우의 수를 만들어낸다. 때로는 그러한 일련의 층 중 하나를 분리 해내 새로운 작업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이는 여러 개의 층을 개별적이 고 독립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각 층들을 전체의 부분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기에 그 중 하나를 아예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 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렇게 만들어진 일종의 파생된 작품과 그 시작 점이 된 작품 간에는 분리해내는 추출의 요소로 인해 실질적으로 공유 되는 부분, 즉 연결점이 생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이 연결 은 파생의 성격을 띠기에 그렇게 갈려 나와 생긴 작품은 이전 작품과 의 선형적 관계에서 벗어나 다른 방향으로 뻗어나가게 된다.
나는 한 이미지 내에서의 층뿐만이 아니라 그렇게 층을 쌓아올린 종 이 또한 마치 층을 다루듯 사용하기도 한다. 종이 안에서 여러 층들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작품의 설치과정에서 각 장의 위치 또 한 달라진다. 그리하여 종이 안의 이미지도,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가 자 리 잡는 종이도 유동적인 것, 하나의 명확한 결과이기보다는 일종의 경 우의 수로서 존재하게 된다. 전체를 이루는 개별적인 단위들은 고정되어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움직이며, 그렇게 한자리에 고정됨을 피해간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