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적용한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영향요인 - 연령층별 다중집단 경로분석 - : Factors Influencing Social Distancing on the COVID-19 Us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Multiple-group analysis of a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여혜민

Advisor
유명순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회적 거리두기코로나19계획된 행동이론다중집단 경로분석연령Social distancingCOVID-19Theory of Planned BehaviorMultiple-group analysisAg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1. 2. 유명순.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및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연령층 간의 효과 차이를 탐색하였다.
분석을 위해 지역, 연령, 성별 비례 할당하여 설문조사를 수집하였으며, 총 1,000명을 연구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계획된 행동이론 요인이 사회적 거리두기 의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확인하고, 연령층별 경로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이 수용 가능한 수준의 적합도인 것으로 검증되어 연구에 적용하였으며.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경로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모든 계획된 행동 이론 요인들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를 설명하는 요인인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 모형에서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의도에 태도(β=0.6), 주관적 규범(β=0.37)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행동통제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실천에 지각된 행동통제(β=0.33)와 행동 의도(β=0.23)가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 요인의 영향력을 연령층별로 집단을 분류하여 확인한 결과를 통해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중집단 차이의 유의성 검정에서는 집단별 경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령층별로 경로 분석을 통해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주관적 규범이 40대에서만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20대·30대, 50대 이상 집단과의 차이가 있었다. 행위의도에 대해 20대·30대, 50대는 태도와 사회적 규범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40대는 태도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실천에서는 20대·30대, 50대가 지각된 행동 통제가 의도보다 큰 영향을 미친 반면, 40대는 지각된 행동 통제가 줄어들고 의도가 비교적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결과를 토대로 계획된 행동이론 요인(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다. 도출된 효율적인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화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를 할 수 있는 효능감, 통제감을 증진시키는 전략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령대별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전략을 수립할 때, 20·30대와 50대 이상에게는 태도, 지각된 행동 통제와 더불어 주관적 규범을 함께 강조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기존 연구들에서 나아가 연령대별로 세분화 하여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의도 뿐 아니라 실제 행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차이를 밝혔다는 점에 의미를 가진다. 또한, 국내 감염병 예방 행동의 실천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에 기반한 근거를 제시할 때, 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신속성이 요구되는 감염병 예방 정책 및 소통 전략에서 근거에 기초한 우선순위를 설정 할 때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령층별 차이는 세대에 따른 집단의 특징에 따라 감염병 예방 행위의 동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