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 거주 미혼부 영유아 자녀의 건강 관련 영향요인 및 맥락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Health-related Factors and Contexts among 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 in Urban Area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현아

Advisor
유승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혼부 영유아 자녀영유아 건강건강불평등질적연구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Health of young c hildrenHealth inequalityQualitative stud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1. 2. 유승현.
Abstract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Health-related Factors and Contexts among 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 in Urban Areas

Hyuna Ja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ensures lifelong health for individuals, and affects the health potential of a population a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 health of nex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Domestic studies have looked at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of early life mainly in the field of children study and health science, most of which wer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Overseas studies have continued to report that family structure affects the health of children in their early years of life. In this situation, there is a family structure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ts a unwed single father family. The reasons are as follows. There are problems with birth registration of children of unwed fathers and social vulnerability of single father family.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children of unwed fathers are unlikely to be affected by their biological mother from the time they are born, which is a point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single father families. In the absence of study on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rection of policymaking to improve their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the health-related factors and contexts among 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 Accordingl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with 10 unwed fathers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clusive analytic procedures. The codes derived under the inclusive anlaytic procedures are classified ba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are named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The researcher derived a total of 98 codes, 38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from the analysis. Because the categories were scattered, the researcher described them in three main areas. The three areas are the health concept of young children recognized by fathers, the health-related factors of young children, and the fathers response strategy for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Area is not a term used in the inclusive anlaytic procedures and is a term used arbitrarily by this researcher.
The health concepts of young children recognized by fathers were the fulfillment of a childs basic needs, the good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hild, the balance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nd the healthy environment around a child. Based on the health concepts of young children recognized by fathers, factors such as the difficulty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the world of only a child and me, fathers mental health and absence of care means, the lack of resources and opportunities for unwed single father family and the unfulfilled basic human rights were negatively affecting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 The fathers were responding in their own way. They were responding to the preparation for childrens meal in their own way, were trying to establish material stability for their children, and were doing their best for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their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policies for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 We need to find ways to manage mental health of unwed fathers. In addition, initial response-related support from field offices such as community service centers, hospitals, and single-father facilities is required. This could also be considered for online forms such as sites for unwed single father family or emergency and counseling calls. Ultimately, the issue of birth registration of 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 should be resolved. Finally, support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unwed fathers is required.

Keywords : Young children of unwed fathers, Health of young children, Health inequality, Qualitative study
Student Number : 2019-20183
요약(국문초록)
도시 거주 미혼부 영유아 자녀의 건강 관련 영향요인 및 맥락에 관한 질적연구

장현아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전공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영유아기의 건강은 일 개인에게 평생 건강을 확보하게 하며, 한 사회 인구집단의 건강잠재력에 영향을 미쳐 차세대 국민건강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영유아 건강에 대한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내에서는 주로 아동·보건학 분야에서 생애 초기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는데, 그 요인들은 대부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였다. 가족구조가 생애 초기 어린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해외에서 계속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가 주목해야 할 가족구조가 있다. 바로 미혼부 가족이다. 그 이유는 첫째, 미혼부 자녀의 출생신고 문제, 둘째, 부자가족의 사회적 취약성 문제, 셋째, 다른 부자가족과 구분이 되는 지점이기도 한데 태어난 시점부터 친모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미혼부 영유아 자녀의 건강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부 영유아 자녀의 건강 관련 영향요인 및 맥락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영유아 자녀의 주요 양육자인 미혼부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1:1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도출된 코드를 유사점과 차이점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하위범주 및 범주의 이름을 붙였다. 분석 결과 총 98개의 코드와 3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들이 흩어져 있어 연구자가 이를 크게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3가지 영역은 각각 아빠가 인지한 영유아 자녀의 건강 개념, 영유아 자녀의 건강 관련 영향요인, 영유아 자녀의 건강을 위한 아빠의 대응 전략이다. 영역의 경우 포괄적 분석절차에서 사용된 용어는 아니며 본 연구자가 임의로 사용한 용어이다.
아빠가 인지한 영유아 자녀의 건강 개념은 아이의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는 것, 아이의 성장과 발육 상태가 양호한 것,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이 균형을 이루는 것, 아이를 둘러싼 환경이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빠가 인지한 영유아 자녀의 건강 개념에 기반할 때, 일-가족 양립의 어려움, 아이와 나뿐인 세상, 아빠의 정신건강 상태와 관리 수단의 부재, 미혼부 가족을 위한 자원과 기회의 부족, 충족되지 못하는 기본권의 요인들이 미혼부 영유아 자녀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빠들은 이에 나름의 대응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의 식사 준비에 나름대로 대응하고 있었고, 아이를 위해 물질적 안정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아이와의 관계 더 나아가 아이의 사회적 관계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혼부 영유아 자녀의 건강을 위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언하였다. 우선 아빠의 정신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주민센터, 병원, 미혼부 시설 등 일선기관에서의 초기 대응 관련 지원책이 요구되며, 이는 미혼부 가족을 위한 사이트 혹은 긴급·상담 전화 등의 온라인 형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미혼부 영유아 자녀의 출생신고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혼부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주요어 : 미혼부 영유아 자녀, 영유아 건강, 건강불평등, 질적연구
학 번 : 2019-20183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7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14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