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후변화 SSI 동아리 프로젝트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 연구 : Analysis of Emo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SSI School Club Project Related to Climate Chan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호

Advisor
김찬종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후변화SSI 교육주제 감정성취 감정통제-가치 이론Climate ChangeSSI EducationTopic EmotionAchievement EmotionThe Control-Value Theor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지구과학전공), 2021. 2. 김찬종.
Abstract
Human activities that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limate change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irreversible, global, and accelerated risks. To address such situations, civil support and practice are important (IPCC, 2014). In this context,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resented Vision Ⅲ of scientific literacy, and socio-scientific issues (SSI) education that emphasizes action and participation (Sjöström & Eilks, 2017).
Emotions are multi-component, coordinated processes of psychological subsystems including affective, cognitive, motivational, expressive, and peripheral physiological processes (Pekrun, 2006). Emotion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learners experience in learning situations (Sansone & Thoman, 2006; Song & Choi, 2011). In SSI education, in particular, emotions affect students action (Hodson, 2014), and is more important due to its involvement in the reasoning process (Sadler & Zeidler, 2005). There have been studies on emotions on climate change abroad (Lombardi & Sinatra, 2012; Meijnders, 2011; Weber, 2006), but few studies conducted in Korea. Since emotions are influenced by culture and content (Song & Choi, 2011), it will be essential to examine the emotion of climate change for Korean students for SSI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and intens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through SSI club activit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Moreover, we analyze how the activities within the club project influenced the students emo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0 first year students from G high school located in Gimpo, Gyeonggi-do. The activities were conducted 14 times for 7 weeks. The activities consist of modeling about the causes and impacts of climate change, exploration on how to deal with practical problem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and social action planning and participation.
The data collection consists of pre-survey, post-survey and surveys after each activity,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s of activities. The students' emotion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the control-value theory,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at first, the emotions toward climate change among students was strongly negative such as confusion, anxiety, nervousness, fear, overwhelmedness. Second, the global, accelerated, and irreversible nature of climate change led students to a new mixed value appraisal. Also, due to the nature of climate change, students experience confusion, anxiety, nervousness, fear, overwhelmedness regardless of value and control appraisal. Third, value appraisal had a greater affect on emotions than control appraisal. Fourth, students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when learning about climate change. By contrast, student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in climate change resolution activities. Fifth, emotions that led to action were guilt, anxiety, and expectation.
These findings will help to add and complement the emotional aspects within SSI programs related to climate change, which will help to cultivate citizens who can make informed decisions and actions on climate change.
인간의 활동으로 야기된 기후변화에 대한 전-지구적, 가속적, 비-확실적 위험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이러한 상황에 대처해나가기 위한 것으로 시민의 지지와 실천이 강조되고 있다(IPCC, 2014). 이에 과학교육에서는 참여와 실천을 강조한 과학적 소양 Vision Ⅲ를 제시했으며(Sjöström & Eilks, 2017), SSI(Socio-Scientific Issue) 교육, STEPWISE(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Promoting Wellbeing for Individuals, Societies and Environments) 프로그램 개발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감정(emotion)은 학생들의 인지적·생리적·행동적·동기적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것(Pekrun, 2006)으로 학습상황에서 학습자의 경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선 필수적이다(Sansone & Thoman, 2005). 특히 SSI 교육에서 감정은 학생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Hodson, 2014), 추론 과정에 관여하여(Sadler & Zeidler, 2005)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이에 반해 기후변화와 관련된 감정에 관한 선행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감정은 소속된 국가의 문화나 주제에 따라 각각 다른 특수성을 가지므로(송인섭 & 최지혜, 2011), 한국 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을 조사하는 것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SSI 교육에서 필수적일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우선, 기후변화 관련 SSI 동아리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의 유형과 수준을 탐색하고, 이를 통제-가치 이론을 활용해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동아리 프로젝트 내 활동들이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김포시 소재의 G 고등학교에 다니는 1학년 학생 10명이며, 프로젝트 활동은 7주 동안 14차시로 진행되었다. 연구 자료는 사전 및 사후 감정 설문조사, 활동 중 감정 설문조사, 심층 면담, 활동 관찰로 이루어진다. 감정 분석은 3인의 과학교육 전문가와 함께 논의를 거쳐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기후변화에 대해 혼란, 불안함, 조바심, 두려움, 막막함 등 부정적인 감정을 강하게 느꼈다. 둘째, 기후변화가 가진 전-지구적, 가속적, 비-확실적 특성에 의해 혼재(mixed)라는 새로운 가치 평가를 경험했고, 가치 평가와 통제 평가와 관계없이 혼란, 불안함, 조바심, 두려움, 막막함을 경험했다. 혼재는 기존의 통제-가치 이론에서는 없던 유형으로, 학생들은 상황에 따라 활동과 결과물의 성공과 실패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셋째, 가치 평가와 통제 평가 중 가치 평가가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에 주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통제 평가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식 이해 활동에서는 부정적 감정을, 해결 활동을 진행할 때에는 긍정적 감정을 경험했다. 특히 기후변화 해결과 관련된 막막함과 기대감은 전반적인 활동에 거쳐 경험되었는데, 지식 이해 활동에서는 막막함이 우세하였으나 활동을 진행하면서 기대감으로 바뀌었다. 다섯째, 실천을 이끈 감정은 죄책감, 불안함, 기대감이었다. 죄책감과 불안함은 기후변화 이해 활동에서, 기대감은 기후변화 해결 활동에서 경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와 관련된 SSI 프로그램 내에 감정적 측면을 추가 및 보완한다면, 기후변화에 대해 타당한 의사결정과 실천을 할 수 있는 시민을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1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0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