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등과학교사의 교육실습 지도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분석 : Analysis of Teaching Practice Guidance of Science Cooperating Teachers in the Perspective of the CHA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태희-
dc.contributor.author김다애-
dc.date.accessioned2021-11-30T06:46:30Z-
dc.date.available2021-11-30T06:46:30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400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662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004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화학전공), 2021. 2. 노태희.-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과정을 CHAT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의 부설학교에서 근무하는 2명의 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육실습에 참관하여 지도 과정과 수업을 관찰하였고, 관련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교육실습의 전, 중, 후에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 지도교사의 수업 중 생활지도 또한 중요하였으며 교과 오리엔테이션은 실습 전에도 추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예비과학교사와의 분업은 지도교사의 업무 부담을 덜기도 하였다. 성적에 민감한 학생들과 같이 공동체 요소의 영향으로 학생 평가를 지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두 교사의 교육실습은 상호협력적으로 이루어져 예비교사만이 아니라 지도교사, 학생들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두 교사의 활동체계에서는 구체적인 지도 방식의 부재와 예비교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모순이 나타났다. 이는 두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에 어려움을 가져왔고, 나아가서는 예비교사들이 실습 중에 겪는 어려움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두 교사는 대안적 방법으로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교육실습 지도를 위한 표준화된 지침, 지도교사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 사범대학과의 긴밀한 연계 등을 요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cience cooperating teacher's guidance of teaching practice in the perspective of the CHAT. Two science teachers working for schools affiliated with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took part in this study. Visiting the entire teaching practice, we observed the processes of guidance and the lessons and collected materials rela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before, during and after teaching practice.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 guidance during the lessons was also important. And the curriculum orientation needed to be carried out before teaching practice. The division of labor with pre-service teachers relieved teachers of work burden. Teachers failed to guide assessment of students due to influences of community element such as students who were sensitive to grades. In both cases, teaching practice were so collaborative that valuable not only for pre-service teachers but also for teachers and students. Two teachers' activity system showed contradictions due to the lack of specific manuals for guidance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These contradictions brought about difficulties in their guidance, which in turn led to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They attempted to resolve contradictions in alternative ways and required standardized manuals for guidance, environments in which teachers could collaborate, and close connections with a college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some ways to improve teaching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내용 및 연구 문제 5
1.3 연구의 제한점 6
1.4 용어의 정의 7

II. 이론적 배경 8
2.1 교육실습 8
2.1.1 교육실습의 의의 및 효과 8
2.1.2 교육실습 영역 및 과정 10
2.2 교육실습 지도교사 12
2.2.1 교육실습 지도교사 12
2.2.2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영향력 14
2.2.3 교육실습 지도교사와 관련된 선행연구 16
2.3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18
2.3.1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18
2.3.2 교육연구에서 CHAT의 활용 22


III. 연구 방법 24
3.1 연구 참여자 및 연구의 맥락 24
3.2 연구 절차 및 자료 수집 방법 25
3.3 결과 분석 방법 26

IV. 연구 결과 및 논의 28
4.1 활동체계의 요소 분석 28
4.1.1 주체 28
4.1.2 객체 30
4.1.3 공동체 34
4.1.4 규칙 36
4.1.5 분업 39
4.1.6 도구 41
4.2 활동체계 요소의 상호작용 분석 43
4.2.1 학생 평가 지도 43
4.2.2 상호협력적으로 이루어진 교육실습 45
4.3 활동체계에 나타난 모순 분석 47
4.3.1 구체적인 지도 방식의 부재로 인한 모순 47
4.3.2 예비교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모순 50

V. 결론 및 제언 54

참고 문헌 57

ABSTRACT 65
표목차 0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13
활동체계를 구성하는 6가지 구성 요소 18
지도교사 활동체계의 6가지 요소 26


그림목차 0

제1세대 활동이론 19
제2세대 활동이론 20
제3세대 활동이론 20
지도교사 B의 오리엔테이션 자료 30
학생평가 지도에 대한 A의 활동체계 43
상호협력적 교육실습에 대한 A와 B의 활동체계 45
구체적인 지도방식 부제로 인한 활동체계의 모순 47
예비과학교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활동체계의 모순 50
-
dc.format.extentiv, 6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실습-
dc.subject지도교사-
dc.subject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dc.subject과학교사-
dc.subjectteaching practicum-
dc.subjectcooperating teacher-
dc.subjectCHAT-
dc.subjectscience teache-
dc.subject.ddc540.7-
dc.title중등과학교사의 교육실습 지도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Teaching Practice Guidance of Science Cooperating Teachers in the Perspective of the CHA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Da-Ae Kim-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과학교육과(화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1-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400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400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