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체적 가정폭력을 경험한 대학생 내담자의 변화과정 : The Change process of College Clients with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정인

Advisor
김창대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신체적 가정폭력대학생 내담자상담 경험근거이론domestic violencecollege clientscounseling experiencegrounded theor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1. 2. 김창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evelop a fundamental theory on the counseling experience and change process of college clients with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how do college clients with past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process of change? Seco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change process of college clients with past domestic violenc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They were college students that had suffered from domestic violence and had voluntarily disclosed related episodes when engaging in individual or group counseling for more than 8 sess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3 individual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approach (Strauss & Corbin, 19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09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extracted from the categorizing of the interview data through open co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was analyzed. The central phenomenon is deciding to break through the violent memory instead of avoiding it.The casual condition is wanting to break free from the influence of violence.The context that allows this is change of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to counseling.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re rediscovering the violence, rediscovering emotions', and linking the self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facilitate or constrain the strategies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experience in counseling.The consequences o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n the central phenomenon are feeling empowered against the violence, a new point of view on family, having the capability to sway between hope and confusion, caring for myself and broadening of new relationships.
Second, confronting the memory of domestic violence in counseling and experiencing changes in self and other perceptions is the core category related to the change process of college clients with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They disclose their experiences of violence in counseling, endure their physical pain and inner discomfort, slowly recover the self, and relate genuinely to others.
Third, analyses of the change process through counseling illustrate that the first stage is the manifestation of pain stage which appears prior to the central phenomenon. The second stage is confronting the violence trauma stage when they rediscover the domestic violence, rediscover past/present feelings, and experience reconnection and integrity of self. The third stage is the hope stage in which although the fact that they had suffered from violence does not change, individuals feel stability in their body and feelings, and understanding of self expands.
Finally, theoretical propositions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above are proposed. Individuals may display differences in levels of confrontation in their counseling process, and this may lead to differences in the scope of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s.
Core categories, the change process of college clients with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proces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lso presented.
This study contributes to building the initial theory on the process of how college clients who have undergone domestic violence disclose their past memories in counseling and move toward change. Also,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how counseling may help college students start to perceive, process, and eventually change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violence. Thus it may serve as a basic structure for providing profess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programs, or educational materials for supporting college students with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It may also further contribute to facilita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covery of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 가정폭력 경험이 있는 대학생 내담자가 상담에서 어떠한 과정을 경험하며 변화해 가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설명하는 실체 이론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가정폭력을 경험한 대학생 내담자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변화를 경험하는가? 둘째, 신체적 가정폭력을 경험한 대학생 내담자의 변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을 적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신체적 가정폭력을 겪었고, 개인상담 혹은 집단상담을 8회기 이상 참여하면서 신체적 가정폭력 경험에 대해 자발적으로 개방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모집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3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내용을 근거이론 접근방법(Strauss & Corbin, 1990)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 과정을 거쳐 면담 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총 109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중심현상은 폭력기억을 회피하지 않고 돌파해 나가기로 결심함이다. 인과적 조건은 폭력의 영향에서 벗어나고 싶음이며, 맥락적 조건은 환경적 변화와 상담에 대한 접근성이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폭력에 대한 재인식 과정을 거침, 감정을 재인식함, 폭력 경험과 자기를 연결 지음이었으며, 이를 촉진 혹은 저해하는 중재적 조건으로는 개인의 특성과 상담에서의 관계 경험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폭력에 대항할 힘이 생김, 가족을 새로운 시각으로 봄, 희망과 혼돈을 오고 갈 힘이 생김, 나를 세우고 보살피게 됨, 새로운 관계 경험을 넓혀감이 도출되었다.
둘째, 신체적 가정폭력을 경험한 대학생 내담자의 변화과정에 대한 핵심 범주는 상담에서 신체적 가정폭력 기억을 직면하며 자기 이해와 타인 이해의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이다. 가정폭력 경험을 상담에서 개방하고, 신체적 고통감과 내면의 불편감을 견디어 나가면서, 점차 자기를 회복하고, 타인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진정성 있게 경험해 나가는 과정이었다.
셋째, 신체적 가정폭력을 겪은 대학생이 상담을 통하여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첫 단계는 중심현상 전 단계로 고통의 발현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폭력 외상경험에의 직면 단계로 신체적 가정폭력 외상경험 재인식, 과거와 현재 감정의 재인식, 자기와의 연결과 통합 등을 경험한다. 세 번째 단계는 안정화 단계로 과거 신체적 가정폭력을 겪었다는 사실은 변함없지만, 이전과 달리 신체와 감정의 안정감을 경험하고 관계와 자기에 대한 이해가 확장됨을 경험한다.
마지막으로 앞서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가설적 관계를 진술문으로 정리하였다. 상담 과정에서의 과거 신체적 가정폭력에 대한 직면의 수준에 따라 자기 이해 및 타인 이해의 변화에 차이가 있음을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핵심범주, 신체적 가정폭력 대학생 내담자의 변화과정, 변화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 나아가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 가정폭력을 경험한 대학생 내담자가 상담에서 과거 기억을 개방하며 변화해 나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초기 이론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이 되어 상담 과정에서 신체적 가정폭력 경험을 처리하여 변화해 나가는 과정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향후 신체적 가정폭력을 경험한 대학생들을 돕는 전문적인 상담 개입 전략 및 프로그램, 교육자료 등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신체적 가정폭력을 경험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을 촉진하는 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4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1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