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득분위별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Ability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by Income Quantil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롱

Advisor
정동욱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지털 격차디지털 리터러시ICT학업성취도학교 효과고정효과모형Digital divideDigital literacyAcademic achievementSchool effectivenessFixed effect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21. 2. 정동욱.
Abstract
The recent COVID-19 Pandemic situation has led to a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remote classes expanding altogether. However, rather than positive aspects such as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due to the universalization of remote education, concerns have emerged that the gap between students' home background variables in the remote education environment will lead to a digital utilization gap.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family background and school education on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in an empirical manner to determine whether the gap between families leads to digital utilization and educational results and derive educational policy implication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uture educational policy complementary points by checking whether the effect of students' frequency, time, and ability on academic perform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income class.
Th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is the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ability different by income quintile?
Second, how does the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ability affect academic performance?
Third, is the impact of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ability on academic performance different by income class?
Fourth,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their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problems, panel data answered in all five years of the Seoul Education End Research (SELS) 2010 Data 5th to 9th (2014 to 2018) were utilized. The method used for analysis is a one-way ANOVA and a two-way fixed effect model that fixed the object and year.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was determined using the interaction ter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der control of an individual, home,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 more frequently students use ICT devices for social or entertainment purposes, the higher their ability to use smartphone devices for social and entertainment purposes, the lower their acade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higher the ability to utilize the basics or for learning purposes, the more static it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ICT utilization purpose and ability on academic performance was different for each income class. In particular, for low-income people, the time they used smartphones for social and entertainment purpos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high-income people's use of smartphones for social and entertainment purposes was static.
Third, the activation of digital device-related classes in unit school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mart device-use classes have significant positive interaction effects in the impact of students' ICT device utilization and ability on academic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nfirm that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ICT and smart device utilization in terms of digital capital does not simply have a positive impact on training outcomes, but only when utilized in a meaningful direction for learning. This suggests that the ability to use digital devices and content useful for their own purposes is important. However, the impact of this ICT utilization on academic performance has been shown to vary in size and direction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ome, requiring a stronger policy barrier to prevent real-world gaps from leading to digital ga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school education" can offset some of the differences in the purpose and capabilities of ICT utilization according to family background variables.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principal's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and classes related to education on digital devices and creating a school climate that utilizes digital education, given that teachers use smart devices better in class, the more they use them, the more they use.
Based on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he promo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e spread of smart device utilization classes in unit schools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is proposed. In the same vein, there is a relative lack of training of principals to foster and enhance e-leadership, which is essential for creating a climate where teachers' ICT utilization capabilities are effectively expressed,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operate them.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ducate low-income students on how to use ICT devices and manage the time of use, additional education through class-level classes, and ICT utilization guidance training for low-income parents are suggested.
최근 COVID-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원격수업이 전면 확대되는 등, 교육 환경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원격 교육의 보편화로 인한 교육 기회의 확대와 같은 긍정적인 일면보다는, 원격 교육환경에서 학생의 가정 배경변인에 따른 격차가 디지털 활용 측면의 격차로 이어져 교육 결과의 격차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의 ICT 활용과 교육의 결과에 있어 가정 배경의 영향과 학교 교육의 영향이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가정 간의 격차가 디지털 활용 및 교육 결과의 격차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고 교육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ICT 활용 목적에 따른 빈도와 시간, 활용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소득분위에 따라 차별적인지 확인하고 그 가운데 학교의 교육이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교육정책적 보완점을 찾는 데 있다. 상기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은 소득분위별로 다른가? 둘째,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소득분위별로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가? 넷째,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교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의 분석을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 데이터 5~9차년도(2014~2018년) 5개년도에 모두 응답한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일원분산분석과 개체와 연도를 고정한 이원고정효과모형이다. 학교의 효과는 상호작용항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가정, 학교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생이 친교 또는 유희 목적으로 ICT 기기를 활용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심화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기기를 친교 및 유희 목적으로 오랜 시간 사용할수록 학업성취도는 하락하였다. 반면, 학습 목적으로 활용하거나 기초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분위별로 ICT 활용 목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친교 및 유희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고소득층의 친교 및 유희 목적 스마트폰 활용의 영향은 정적이었다.
셋째, 학생의 ICT 기기 활용 양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위 학교의 디지털 기기 관련 수업 활성화도와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전문성이 유의한 긍정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디지털 자본 측면에서 단순히 ICT 및 스마트 기기 활용 빈도의 증가가 교육의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학습에 유의미한 방향으로 활용할 때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기기 및 컨텐츠를 자신이 목적한 바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하는 역량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러한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가정의 배경변인에 따라 영향의 크기와 방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난 바, 현실 세계의 격차가 디지털 상의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더욱 견고한 정책적 방어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가정 배경 변인에 따른 ICT 활용 목적 및 능력의 차이를 학교 교육이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사가 수업 중에 스마트기기를 잘 활용하고, 많이 활용할수록 학생에게 모델링 효과를 주고 ICT 기기 활용을 통한 학습의 방법을 배운다는 점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과 관련한 교사 교육 및 수업의 질 제고와 디지털 교육을 활용하는 학교 풍토 조성을 위한 교장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단위 학교 내의 스마트 기기 활용 수업의 확산과 질적 제고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제언한다. 같은 맥락에서 교사의 ICT 활용 역량이 효과적으로 발현되는 풍토 조성에 있어 필수적인 교장의 e-리더십 함양 및 제고를 위한 학교장 연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바, 이를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ICT 기기 활용 방법과 활용 시간 관리 등을 교육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수업 중 수준별 수업을 통한 추가적 교육 투입, 저소득층 학부모 대상 ICT 활용 지도 연수 등을 제언하는 바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7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4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