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초점화를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Multi-focaliz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민경

Advisor
윤대석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초점화초점화 주체다초점화독자반응소설읽기교육focalizationfocalizormulti-focalizationreader-responsenovel-reading-educ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1. 2. 윤대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method of reading novels through multi-focalization including the focus of the narrator by the learner actively participating in narrative communication as a focalizor.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starts at that the learner's reading in the educational field consists of 'objective reading', which tries to reveal only the author's intention, regardless of the reader's thoughts. and on the contrary, 'subjective reading' that repeats self-identical interpret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text. This study avoided dichotomous reading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possibility of reading to reach self-signification beyond what the text says through multi-focalization.
Gennette separated traditional sense of viewpoint into who sees and who speaks and proposed focalization as a term that refers to the dimension of who sees . In the separation of mood and voice, focalization is presented as a narrative method, and thus focalization becomes an act in which the narrator focuses. However, the reader is immersed in the narrative world through the narrator and at the same time identifies the qualification of the narrator by reflecting the reader's prior knowledge. When the reader's horizon and the narrator's horizon collide, the reader has doubts about the narrator's credibility. In this case,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narrator is what the Narrator-focalizor has seen, the reader can be considered to be suspicious of the focalizor. Afterward, the reader does not believe the Narrator-focalizor, and the reader perceives the narrative world from a different focus position, and the reader's focus position continues to change during the reading process.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analyzed how learners do multi-focalization in the process of reading novels. First, the quality judgment of the Narrator-focalizor showed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target work. In the case of an external focalizor whose narrator focalization was not authoritative, the learners grasped the focalizor without showing a clear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ner focalizor, that is, the person focalizor, wh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ader's understanding, the learners affirm the focalizor by reflecting their prior knowledge, or they are uncomfortable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focalizor and the learner's horizons, and thus negate the focalizor.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focalizor, the learners become the focalizor such as empathetic focalizor based on empathy for similar characters, reverse focalizor criticizing the character focuser, and relative focuser that relativizes the authority of the Narrator-focalizor. Learners perceived the narrative world and showed active focalization. By shifting the focus position, learners showed the appearance of expanding their horizons by encountering themes that deviated from their expectations. However, in the case of learners who consider the meaning of the text as the author's meaning, the judgment on the focalizor was withheld, or by reflecting personal prejudices or stereotypes, the dominant gaze was maintained and the limit was shown indiscriminately criticizing.
Based on this learner's data, the content of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multi-focalization is to recognize the limited gaze recognition of the focalizor while reading the novel, and inducing the learner's focus position shift as a focalizor. It expands the world of experience and makes the narrative world a complex place. Educational methods for this include providing a scaffold to distinguish between focus and narrative behaviors, Sharing interpretations with fellow learners, inducing the activation of internal dialogue through multi-focalization. The ultimate goal through this, is to actively participate in narrative communication as focalizor and to form an active attitude in interpreting nove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the reader's attitude of a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text as the focalizor by moving the subject of focus from the narrator to the reader.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learner's data,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which the learner perceives the narrative world complexly through multi-focaliza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ecures the place of the text that has lost its importance in the process of affirming the reader's free interpretation by paying attention to learner-centeredness in novel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affirming the reader's role as an active participant in narrative communication.
이 연구는 그간 서술자로 한정되었던 초점화(focalization) 주체의 역할을 학습자로 옮겨, 서술자 초점자의 자질을 판단하고 서술자 초점자를 따르기도 하고 비판적 초점자를 통해 대항하기도 하며 여러 초점 위치에서 사태를 복합적으로 지각하고 평가하며 판단하는 것을 다초점화라 명명하고, 이를 통한 소설 읽기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읽기가 독자의 생각과는 상관없이 작가의 의도만을 밝히려고 하는 객관적 읽기와 이와 반대로, 텍스트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동일적 해석을 반복하는 주관적 읽기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이분법적 읽기를 지양하고 다초점화를 통해 텍스트가 말하고 있는 것을 넘어선 자기 의미화에 도달하는 읽기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주네트는 전통적인 의미의 시점(視點)을 누가 보는가와 누가 말하는가로 분리하여 누가 보는가의 차원을 이야기하는 용어로 초점화(focalization)를 제시한다. 서술법(mood)과 음성(voice)의 분리에서 초점화는 서술법으로 제시되어 서술자가 초점을 맞추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처럼 기존의 소설 이론에서 초점화 주체는 언제나 서술자였다. 하지만 소설 읽기 과정에서 독자는 서술자를 통해 서사 세계에 몰입함과 동시에 독자의 선지식에 비춰 서술자의 자질을 파악한다. 독자 지평과 서술자의 지평이 충돌할 때, 독자는 서술자의 신빙성에 의혹을 품게 된다. 이때 서술자의 서술은 초점자가 본 것이 되므로 독자는 초점자를 의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후 독자는 서술자 초점자를 믿지 않고, 다른 초점 위치에서 서사 세계를 지각하게 되는데 읽기 과정에서 독자의 초점 위치는 계속 변화한다.
이와 같은 이론적 틀을 근거로 학습자가 소설 읽기 과정에서 다초점화하는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먼저 서술자 초점자의 자질 판단은 대상 작품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서술자 초점자가 권위적이지 않은 외적 초점자의 경우, 학습자들은 뚜렷한 긍정 혹은 부정의 반응을 보이지 않고 초점자를 파악하였다.한편 독자의 이해에 지대한 영향력을 가지는 내적 초점자 즉, 인물 초점자의 경우 학습자들은 선지식을 반영하여 초점자를 긍정하거나, 초점자와 학습자의 지평 충돌으로 불편함을 느껴 초점자를 부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초점자에 대한 판단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은 초점화 주체가 되어 비슷한 인물에 대한 공감을 기반으로 하는 공감적 초점자, 인물 초점자를 비판하는 대항적 초점자, 서술자 초점자의 권위를 상대화시키는 상대적 초점자를 통해 서사 세계를 지각하며 능동적으로 초점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초점 위치를 이동하면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예상을 벗어나는 테마들을 접하며 스스로의 지평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초점자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거나, 개인적인 편견이나 고정 관념을 반영해 지배적인 시선을 유지하거나,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집중하는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학습자 자료를 바탕으로 할 때, 다초점화를 통한 소설 읽기 교육의 내용은 소설을 읽으면서 초점자가 갖는 한정된 시선 인식을 인식하고, 초점화 주체로서 학습자의 초점 위치 이동을 유도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경험 세계를 확장하여 복합적인 곳으로 서사 세계를 구성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교육 방법은 초점 행위 및 서술 행위 구분을 위한 학습 자료 제공하기, 동료 학습자와 해석 공유하기, 다양한 초점자와 만남을 통한 내적 대화의 활성화 유도하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초점화 주체로서 서사적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설 해석에 있어서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를 둔다.
이 연구는 초점화의 주체를 서술자에서 독자로 옮겨 초점화의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텍스트와 소통하는 독자의 태도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자 자료를 살펴 학습자가 다초점화하며 서사 세계를 복합적으로 지각하는 교수·학습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그간 소설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주의에 주목하여 독자의 자유로운 해석을 긍정하는 과정에서 중요성을 잃었던 텍스트의 자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서사적 의사소통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독자의 역할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9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6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