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현대시의 상징 이해를 통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 A Study on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Symbols of Modern Korean Poet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CAI MENGYING

Advisor
윤여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교육중국인 고급 학습자상징 이해타문화자문화정체성 구성상호문화 능력Korean language educationadvanced Chinese learnerssymbol understandingother culturesself-cultureidentity compositionintercultural abilit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1. 2. 윤여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pecific contents and metho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symbols of modern Korean poetry, focusing on enhancing the intercultural ability of advanced Chinese learners. To this end, advanced Chinese learners residing in Korea (resident learners)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residing in China (overseas learners) read the same poem text, interpret and use symbolic meanings, and understand Korean-Chinese culture. We want to se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some sense, our lives can be seen as built on symbols. Even if they are the same symbol, they can appear diversely in different peoples, countries and languag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ymbols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different language cultures and are important keywords. Therefore, from this point of view, a symbol familiar to Koreans is bound to be a very strange thing for Chinese learners to contain a unique culture. Literature works are the substance of culture expressed in language and have a value as a report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society and culture in which they were created. Because modern poetry contains culture and is an aesthetic product that expresses it in language and an accumulation of symbols, it is useful for learners to approach and interact with other cultures by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ymbols multidimensionally.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and seeks to understand how Chinese learners interact with Korean culture through understanding the symbols of poetry texts and how to devise inter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high-level Chinese learners and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suitable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recruited and analyzed experimental papers, class discussion materials, and appreciation materials written by learners. In addition, the concept of symbols in intercultural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ories related to symbols and mutual culture, and the understanding of poetic symbols and the improvement of intercultural ability were also analyzed. Based on this, the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symbolic understanding are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recognition of the implicit meaning of symbols', 'communication with other cultures through exploration of the context of symbols', and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meaning of symbols. Formation'.
Based on this,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symbol understand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recognition of the implicit meaning of poetry', 'discovering poetic symbols using literary experience', 'indicative meaning inference through activ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and 'intertextual understanding of Korean-Chinese symbols' are divided into and looked at. Second, 'communication with other cultures through the context search of poetry', 'intensifying understanding through the inference of the inner context of the poetry text', 'adjusting the emotional distance through grasp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individual and community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multi-dimensional use'. Third, 'reconstruction of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meaning of poetry' was divided into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revitalization of poetic imagination' and 'reestablishing gender-ho cultural identity through poetic reflection'. In addition to these aspec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learners and Korean learners in each section were also examined.
Based on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identified in the analysis of learners' aspects, a plan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symbol understanding was devised. In the educational design, while dealing with Korean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in the integrated category of Chinese, it took a method of explaining separately if different treatments were needed depe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educational content, 'intercultural understanding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sed on definition', and 'creating an intercultural identity based on semantic composition' were set, and as a method of progressing 'comparing literary works of inter-text', 'Write sentiments based on mutual cultural experiences' and 'Conversation to form a mutual cultural identity' were set.
This study confirmed the aspects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various symbols based on the actual data of learners, and tried to suggest an appropriate educational plan by collecting learners' respons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iving environment is revealed in approaching and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through symbolic understanding and constructing identity by dealing with Korean and Chinese learners together.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상호문화 능력 신장에 중점을 두어 한국 현대시의 상징 이해를 통한 상호문화교육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재한 학습자)와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재중 학습자)가 같은 시 텍스트를 읽고 상징 의미를 해석하고 활용하며 한·중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의 생활은 어떤 의미에서는 상징을 바탕으로 구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같은 상징이더라도 다른 민족, 국가와 언어권에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징은 다른 언어 문화권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고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인에게 익숙한 상징은 중국인 학습자에게는 독특한 문화를 담고 있는 매우 낯선 것일 수밖에 없다. 문학작품은 언어로 표현된 문화의 실체로, 그것이 창작되었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정보들을 담고 있는 보고(寶庫)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대시는 문화를 담고 있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는 미적 생산물이자 상징의 축적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상징의 의미를 다차원적으로 해석함으로써 타문화와 접근하고 상호작용을 하는 데에 유용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시 텍스트의 상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문화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양상을 파악하고 상호문화교육을 어떻게 구안해야 하는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실제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양상을 파악하고 상호문화교육에 적합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작성한 실험지, 수업 토론 자료, 감상문 자료, 인터뷰 자료를 모집하고 분석하였다. 또 상징과 상호문화에 관련 이론을 통해 상호문화교육에서 상징의 개념을 살펴보고, 상징 이해와 상호문화 능력 신장의 내용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징 이해를 통한 한국어 상호문화교육의 원리를 ‛상징의 내포적 의미 인식을 통한 문화 이해', ‛상징의 맥락 탐구를 통한 타문화와의 소통', ‛상징의 의미 구성을 통한 문화적 정체성 형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상징 이해를 통한 한국어 상호문화교육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시의 내포적 의미 인식을 통한 타문화 이해'를 ‛문학적 경험을 활용한 시적 상징 발견', ‛배경 지식의 활성화를 통한 지시적 의미 추론'과 ‛한·중 상징의 상호텍스트적 이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시의 맥락 탐구를 통한 타문화와의 소통'을 ‛시 텍스트의 내적 맥락 추론을 통한 이해 심화', ‛사회문화적 맥락 파악을 통한 정의적 거리 조정', ‛개인적 경험과 공동체적 경험의 다차원적 활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시의 의미 구성을 통한 문화적 정체성 재구성'을 ‛시적 상상력의 활성화를 통한 상호문화적 이해', ‛시적 성찰을 통한 성호문화적 정체성 확립'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양상과 함께 각 항마다 재한 학습자와 재중 학습자 간의 양상에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도 함께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양상 분석에서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상징 이해를 통한 한국어 상호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방안을 구안하였다. 교육 설계에서 재한 학습자와 재중 학습자, 이 두 집단의 차이에 따라 다른 처치가 필요할 경우 따로 설명하였다. 교육 내용으로 ‛상호문화적 관점에서의 타문화 이해', ‛정의에 기반한 상호문화적 소통', ‛의미 구성에 기반한 상호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설정하였다. 교육 내용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상호텍스트적인 문학작품 비교하기', ‛상호문화적 체험에 기반한 감상문 쓰기', ‛상호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대화하기'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학습자와 재중 중국인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상징 이해를 통한 한국어 상호문화교육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이에 적합한 교육 내용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재한 학습자와 재중 학습자, 이 두 집단의 학습자는 서로 어떻게 다르게 상징 이해를 통해 타문화에 접근하고 이해하며 정체성 구성하는 데에 드러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7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