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n Interpretation of Spatial Heterogeneity through the Compositional Properties of Buildings : 콤포지션을 통한 공간의 다종성(多種性) 해석 : 토폴로지와 상호연락된 공간의 분위기
Topology and the Atmosphere of Interconnected Spac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젤레나

Advisor
백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patial topologyheterogeneous spacedesign conceptspace designarchitectural spacearchitectural composition공간 토폴로지공간의 다종성설계 개념공간 설계건축적 공간건축적 콤포지션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1.8. 백진.
Abstract
본 연구는 콤포지션을 통한 공간의 다종성 해석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아이디어의 배경은 건축과 도시 디자인 모두에서 모더니즘의 공간 전략을 동질적인 공간 효과의 촉매로 여겼던 포스트모던 건축 비평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디자인을 통해 이러한 공간적 효과를 되돌리려는 시도는 1960년대 초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있었는데, 이 중 추상적인 동질성 공간 개념에서는 사람이 공간 체험에 대한 개념을 끌어들이고, 복잡한 공간 형태를 만들어내는 다양한 방법이나 방식을 주목한다. 이질성을 열망했던 많은 접근법들은 과학과 철학에서 차용된 개념을 통해 이론적 확실한 증거를 추구했고, 그 중 건축과의 관계는 종종 표면적이고 명확하게 정의된 인과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개념 중 하나는 수학에서 차용한 토폴로지의 개념으로, 토폴로지의 동적 특성이 개념 자원으로 채택되고 모더니즘과 관련된 유클리드 기하학에 반대하는 복잡한 형태의 생산에서 설계 프로세스 방법론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설계 접근방식이 다루는 문제가 되는 동질성 공간을 조사하고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모더니즘에 나타난 공간의 동질성을 공간 구성의 개방성과 유동성에서 비롯된 낮은 수준의 다양성으로 다시 해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형식적 접근법을 초월하고, 이러한 공간적 효과를 역전시키는 건축 구성 측면에서 공간의 다종성을 구축하고자 하고 상호 연결된 공간 구성 전략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공간 배치에 나타난 공간 분위기를 통해 공간의 다종성을 분석한다.
연구의 논증을 구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는 공간 토폴로지 개념으로부터 건축물에 드러난 공간 상호관계를 통해 공간의 다종성을 해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의 형식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토폴로지의 핵심 측면으로서의 공간 관계와 공간의 구조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토폴로지 개념을 일종의 조합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즉, 이는 각각 공간의 교류를 통해 특정한 공간 분위기를 창조한다. 공간의 다종성은 개체 공간의 차이를 통해 만들어내는 공간 분위기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즉 공간은 개체가 겹치는 방식으로 연결될 때,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다. 또한 공간의 다종성과 토폴로지에는 공간의 대기를 공간의 구성 부분으로써 인간에게 공간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조건을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3단계 논증(위상 - 구성 - 분위기)은 공간 이질성의 이해를 위해서 구성된 이론적 토대이다. 이러한 공간적 효과를 창출하는 데 유리한 건물의 구성 원리를 파악한 후, 이러한 종류의 구성을 아우르는 사례 연구를 분석하고 이론을 테스트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여기에서 언급한 논증을 통해, 본 연구는 동질성과 이질성(공간의 다종성)의 두 가지의 상호 대립 개념(직선과 곡선, 질서와 무질서)에서 공간 관계의 복잡성을 통해 공간의 다양성에 대한 미묘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려 깊은 공간 만들기를 강조하고 난 후 동질성 또는 이질성 중 하나를 선택한다. 토폴로지는 공간 구조와 구성에 대한 방법으로써 공간 구성, 공간 관계, 그리고 공간 경계를 정의함을 통하여 공간의 새로운 의미를 얻는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적으로 다양한 분위기의 이해와 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디자인 지식뿐만 아니라 인간 경험의 의미에서의 가치를 확립한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spatial heterogeneity through the compositional properties of buildings. The background of this idea goes back to the postmodern architectural critique, which deemed Modernist spatial strategies, both in architectural and urban design, to be catalysts of homogenous spatial effects. Attempts to reverse these spatial effects through design have taken several turns since the early 1960s, of which one line was concerned with the critique of the abstract homogenous space and introducing concepts of the human experience of space that is inherently rich with qualities and emotional reactions toward the environment, while the other, design-oriented, was predominantly focused on creating complex forms as a means of diversity. A number of these approaches that aspired to heterogeneity sought theoretical substantiation through concepts borrowed from science and philosophy, of which the relationship with architecture is often superficial and without clearly defined cause-effect relationships. One of the concepts used in this manner is the concept of topology borrowed from mathematics, where the dynamic properties of topology are employed as a conceptual resource and a design process methodology in the production of complex forms that oppose the Euclidian grid geometry associated with modernism.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ritically approaches the problematic homogenous space that the aforementioned design approaches seek to address, and rereads the homogeneity of modernist space as a low level of diversity originating from the openness and fluidity of spatial composition.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surpass formal approaches and to frame spatial heterogeneity in terms of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that reverses these effects, suggesting a compositional strategy of interconnected spaces and reading heterogeneity in the manner such spatial setting renders the atmosphere of space.
To structure this argument, this study commences with the concept of topology, reading it through a network of spatial relationships in the building. Thus, rather than focusing on formal aspects of architecture, it focuses on spatial relationships and the structure of space as the key aspects of topology. It further embodies this concept as a compositional strategy that changes the character of the interior and creates variations in the atmosphere through communications of individual spaces. Diversity of space is created as a diversity of atmosphere through the differences of individual spaces, which arise when the spaces are connected in a way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s overlap. By acknowledging the atmosphere of space as a component, the abstract arguments of heterogeneity and topology of space approach the human experience of space. This three-step argument (topology – composition – atmosphere) constitut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spatial heterogeneity that this study puts forward. After identifying the compositional principles of a building that are advantageous for creating such spatial effects, case studies that encompass this kind of composition are analyzed, the theory is tested, and conclusions are drawn.
With the argument stated herein, this study positions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not as two opposites (rectilinear and curved, ordered and disordered), but it rather gives a nuanced understanding of spatial diversity through the complexity of spatial relationships, aimi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thoughtful making of spaces than the preference for one or the other. The concept of topology as a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space implied through the composition, relationships of spaces, and the definition of boundaries acquires a new interpretation in this context as a denominator of spatial complexity. Hereby this study establishes theoretical grounds and gathers design knowledge for the understanding and design of spatially diverse atmospheres, as well as their value in the sense of human experience.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4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0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