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ssessment of urban ecosystem structure and connectivity using multi-scale LiDAR datasets : 다중 규모 LiDAR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생태계 구조 및 연결성 평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희준

Advisor
송영근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iDARAirborne laser scannerTerrestrial laser scannerMobile laser scanner3D point cloudVegetation structureUrban landscape structureUrban ecosystem레이저 스캐닝3차원 데이터식생구조도시경관구조도시생태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2021.8. 송영근.
Abstract
Integrated multiscal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datasets are required for managing urban ecosystems because 1) LiDAR datasets can represent various spatial structures across the urban landscape and 2) the multitemporal LiDAR approach can derive the changes of urban landscape structures. This dissertation aimed to find the various spatiotemporal availabilities (i.e., from the tree-level spatial scale to the city-level regional scale with the multitemporal approach) of LiDAR or laser scanning (LS) datasets for monitoring urban ecosystems in the following three chapters.
Chapter 2: Collecting tree inventory data in urban areas is important for managing green areas. Surveying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 (ALS) is effective for collecting urban tree structures but less efficient regarding the economic costs and its operation. Terrestrial laser scanning (TLS), and mobile laser scanning (MLS) datasets could have the potential in complementing those of ALS in the respect to efficiency. However, to the best of my knowledge, there were limited studies for seeking the similarities and variations among the canopy metrics derived from various LiDAR platforms. In Chapter 2, I compared structural canopy metrics among ALS, TLS, and MLS datasets in the urban parks. The purpose of Chapter 2 was to test whether the estimates of tree metrics differed depending on single or clustered trees and to test whether the errors in LiDAR-derived metrics were related to the tree structures. Small, urban parks were selected for surveying trees using the three LiDAR platforms. The ALS datasets were acquired on 14 May, 2017. The TLS and MLS datasets were acquired from 10–11 May, 2017, and 21–25 April, 2020, respectively. The tree point clouds were classified into single and clustered trees. The structural metrics were compared in each pair (i.e., ALS and TLS, ALS and MLS, and TLS and MLS pairs). The heights related metrics (e.g., percentile height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heights values), the complexity metric (e.g., the Rumple index) and area were calculated for comparisons.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bias,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each metric among the LiDAR platforms. The results showed that ZMAX, max and mean CHM, and area showed good consistencies (RMSE% < 15 %, Bias% < 15 %, and r > 0.900). Especially, the biases of CHM-derived metrics did not 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regardless of single or clustered trees. Moreover, the biases from the comparisons in each pair showed linear relations with the tree heights and vertical canopy complexity (i.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significant; r >
0.29
, p < 0.05). My results could be references when combining multiple LiDAR systems to estimate the canopy structures of urban park areas.
Chapter 3: Understanding forest dynamics is important for assessing the health of urban forests, which experience various disturbances, both natural (e.g., treefall events) and artificial (e.g., making space for agricultural fields). Therefore, quantifying three-dimensional (3D) changes in canopies is a helpful way to manage and understand urban forests better. Multitemporal ALS datasets enable me to quantify the vertical and lateral growth of trees across a landscape scale. The goal of Chapter 3 is to assess the annual changes in the 3-D structures of canopies and forest gaps in an urban forest using annual airborne LiDAR datasets for 2012–2015. The canopies were classified as high canopies and low canopies by a 5 m height threshold. Then, I generated pixel- and plot-level canopy height models and conducted change detection annually. The vertical growth rates and leaf area index showed consistent values year by year in both canopies, whil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canopy and leaf area profile (e.g., leaf area density) showed inconsistent changes each year in both canopies. In total, high canopies expanded their foliage from 12 m height, while forest gap edge canopies (including low canopies) expanded their canopies from 5 m height. Annual change detection with LiDAR datasets might inform about both steady growth rates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changes of vertical canopy structures for both high and low canopies in urban forests.
Chapter 4: Although many studies have considered urban structure when investigating urban ecological networks, few have considered the 3D structure of buildings as well as urban green spaces. In Chapter 4, I examined an urban ecological network using the 3D structure of both green spaces and buildings. Using breeding-season bird species observations and ALS data collected, I assessed the influence of 3D structural variables on species diversity. I used correlation analyses to determine if vertical distribution, volume, area, and height of both buildings and vegetation were related to bird species diversity. Then I conducted circuit theory-based current flow betweenness centrality (CFBC) analysis using the LiDAR-derived structural variables. I found that the volumes of buildings and 8–10 m vegetation heights were both highly correlated with species richness per unit a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D and 3D connectivity analysis using LiDAR-derived variables among urban forest patches, boulevards, and apartment complexes. Within urban forest patches and parks, 3D CFBC represented canopy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ll, by showing high variance in spatial distributions. The 3D CFBC results indicated that adjacent high-rise buildings, dense apartment complexes, and densely urbanized areas were isolated, as characterized by low centrality values, but that vegetation planted in open spaces between buildings could improve connectivity by linking isolated areas to core areas. My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3D structure in planning and managing urban ecological connectivity.
In this dissertation, the availability of integrated multiscale LiDAR datasets was found via three standalone studies. It was revealed that 3D information could enhance the quality of urban landscape monitoring and ecological connectivity analysis by elaborately explaining spatial structures. However, the spatiotemporal scales of each standalone study were limited to the city scale and to five years. The recently launched Global Ecosystem Dynamics Investigation (GEDI) would help to solve these limitations. Furthermore, the GEDI dataset could help researcher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system structures and their functions.
본 학위논문은 다양한 시공간 스케일에서 도시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LiDAR 데이터의 활용과 생태적 의미 도출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LiDAR란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어로, LiDAR 센서에서 발사된 레이저가 대상에 도달한 뒤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의 세기와 시간을 계산하여 대상의 위치 정보를 3차원 점군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능동형 원격탐사 도구이다. LiDAR 원격탐사 도구의 등장으로 자연과 도시의 3차원 공간정보의 취득이 기능해짐에 따라, 서식지의 3차원 공간정보와 생물 종 사이의 관계 도출, 시계열 LiDAR 데이터를 활용한 녹지 모니터링 연구 등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항공 LiDAR(ALS), 지상 LiDAR(TLS), 이동형 LiDAR(MLS) 등 다양한 LiDAR 시스템의 개발로 연구 목적에 알맞은 시공간 해상도의 3차원 공간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LiDAR 원격탐사 도구의 다양한 시공간 스케일 적용 측면에서, Chapter 2 항공, 지상, 이동형 LiDAR 시스템 사이 수목구조관련 변수들의 일치성 평가, Chapter 3 시계열 분석을 통한 도시녹지 동태 모니터링, Chapter 4 도시의 생태적 연결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Chapter 2: 도시의 수목정보를 취득하는 것은 도시녹지 관리에 있어 필수적이다. LiDAR 기술의 발달로 도시수목의 3차원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목높이와 수목구조, 지상 바이오매스 등을 높은 정확도로 산출할 수 있게 되었다. 항공 LiDAR는 넓은 범위의 공간정보를 높은 정확도로 측정하는 특성을 지녀 산림 모니터링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항공 LiDAR 데이터의 취득은 항공기 운용비, 장비관련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운용에 있어 전문성을 요구하며 대상의 점군밀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단점을 지닌다. 반면 지상 LiDAR와 이동형 LiDAR는 운용하기 편리하고 높은 점군밀도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항공 LiDAR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LiDAR 시스템의 등장과 이를 활용한 생태계 모니터링 연구 시도가 증가하면서 LiDAR 시스템간 효율적인 운용과 데이터의 보완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ALS, TLS, MLS의 3개의 시스템을 통해 취득된 수목 정보를 서로 비교하고, 서로 대체가능한 수목정보를 도출한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의 Chapter 2에서는 ALS, TLS, MLS 통해 취득된 도시의 수목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성을 평가하고, 어떠한 수목구조관련 지표가 세 LiDAR 시스템 사이에서 대체가능한지 다루고 있다. 세부적으로 Chapter 2는 수목구조관련 지표가 단목차원과 군집차원, 수목구조에 따라 ALS, TLS, MLS 시스템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천안시 도시공원 9개소에서 ALS 데이터는 2017년 5월 14일, TLS 데이터는 2017년 5월 10일과 11일, MLS 데이터는 2020년 4월 21에서 25일 취득되었다. 취득된 데이터셋은 수관의 겹침 여부에 따라 단목과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3개의 페어(ALS-TLS, MLS-TLS, ALS-MLS)로 수관의 퍼센타일 높이, 수관복잡성, 면적 등의 수목구조관련 변수들을 1:1 비교하였다. 항공 LiDAR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수목구조관련 변수들을 참조로 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편향(bias), 피어슨 상관계수(r) 등을 계산하고 세 LiDAR 시스템 사이의 일치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ZMAX, CHM관련 수관높이 관련 변수들, 그리고 수관면적이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RMSE% < 15 %, Bias% < 15 %, and r > 0.900). 특히 CHM을 통해 도출된 수관높이 관련 변수들은 단목과 군집에서 세개의 LiDAR 시스템간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반면 퍼센타일 수관높이와 평균 수관높이 등은 매우 낮은 일치성을 나타냈으며, 세 페어에서 도출된 편향은 수고, 수관복잡성과 약한 선형관계를 나타냈다(r >
, p < 0.05).
Chapter 3: 수관동태는 숲의 건강성을 반영한다. 특히, 자연적·인위적인 교란에 의해 발생한 숲틈은 숲 내부에 빛의 투과율, 온도, 습도 등에 영향을 끼쳐 주변 환경의 변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숲틈을 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숲의 동태를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항공 LiDAR 센서를 활용할 경우 위성영상이나 항공사진 등 2차원 데이터로 탐지하기 어려운 숲틈 또는 개방공간의 탐지와 수관의 3차원 형상의 취득이 가능하다. Chapter 3에서는 2012년도부터 2015년도 4개년의 항공 LiDAR를 활용하여 자연형 도시공원(봉서산)의 수관과 숲틈의 수평적 수직적 변화양상을 추정하였다. 수관은 높이 5m를 기준으로 상층부와 하층부 수관으로 분류되었으며, 수관높이모델(canopy height model, CHM)을 생성하여 연간변화를 탐지하였다. 연구결과 상층부 및 하층부 수관의 수직생장량과 엽면적지수는 일정한 연간 변화양상을 보인 반면, 수평적 변화와 엽면적밀도는 불규칙적인 연간 변화양상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상층부 수관은 높이 12m에서 측방향 생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층부 수관 중 숲틈에서는 높이 5m에서 측방향 생장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LiDAR 데이터의 연간 변화 탐지를 통해 자연적으로 형성된 숲틈의 경우 생장과 교란 측면에서 매우 활발한 동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형성된 개방공간의 경우 수관의 동태가 다소 침체됨을 도출하였다.
Chapter 4는 도시 내 건물과 녹지의 3차원 구조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도시의 생태적 연결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다룬다. 도시 내 생태적 연결성 도출과 관련한 연구는 도시와 녹지의 형태 등을 주요 변수로 하여 진행이 되고 있다. 그러나 3차원적인 특성인 도시 건물의 부피, 수목의 수직적인 구조 등을 고려한 연결성 분석은 많이 진행된 바 없다. 연구 대상지는 천안시 시청을 중심으로한 4 km × 4 km 지역으로, 2015년에 취득된 항공 LiDAR와 같은 해 취득된 조류 종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도시 내 건물과 녹지의 3차원 구조와 조류 종 다양성 사이 관계를 살피고, 2)조류 종 다양성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3차원 구조변수를 활용하여 전류흐름기반 매개중심성 연결성 분석(CFBC)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건축물의 부피와 수목높이 8-10m의 녹지 부피비가 면적당 조류 종 풍부도와 스피어만 순위상관관계에서 높은 상관관계(
ρ
> 0.6)를 나타냈다. 연결성 분석의 결과는 입력변수의 공간차원(2D 및 3D)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도시숲, 대로변, 아파트단지내 녹지 등에서 2D 기반 CFBC와 3D기반 CFBC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도시녹지의 3D 기반 CFBC의 경우 같은 녹지 면적임에도 수관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높은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3D CFBC 분석결과를 통해 고층 건물 주변부, 고밀도 아파트단지, 고밀 시가화지역 등이 낮은 중심성을 보여 고립지역으로 나타났으며, 건물 사이 공지 내 식생은 연결성이 고립된 지역과 핵심지역을 연결하는 기능을 나타냈다.
이 학위논문은 서로 다른 LiDAR 시스템을 활용하여 단목, 경관 지역단위 등 다양한 공간 스케일에서의 도시경관구조 분석, 도시녹지구조와 토지이용 등에 따른 시간적 변화양상, 도시경관구조가 가지는 생태적 의미 등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향후 Global Ecosystem Dynamics Investigation(GEDI) 미션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본 학위논문에서 다루는 지역규모의 연구를 국가단위, 대륙단위 등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도시생태계 구조와 그 기능 사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4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