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mmigrants Reactive Civic Engagement and Place Attachment : 이주민의 대응적 시민참여와 장소애착심 : 서울시 대림동의 중국동포 커뮤니티 사례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in Daerim-dong, Seo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지연

Advisor
박인권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외국인 밀집지대응적 시민참여이주민외국인장소애착심구조방정식ethnic placereactive civic engagementimmigrantplace attachmentvolunteerstructural equation mode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1.8. 신지연.
Abstract
한국도 이제 점차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체류 외국인도 우리나라 총인구의 약 4.9%(법무부, 2019)에 이르고 있으며, 특히 그 중 한국계 중국인(조선족)의 비중이 가장 크다(서울 내 외국인 인구의 48.8%, 2019). 이들은 수도권 및 서울 내 외국인 밀집지를 조성하는 등 국내 곳곳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잘 관리되지 않는 밀집지는 점점 더 주변에 비해 이질적으로 변모하며 잠재적인 위험요소로 낙인찍힐 수 있다. 지난 10년간 이주민과 밀집지에 대한 정부의 정책도 상당히 발전하였으나, 지역 내에서 주민 본인들의 지역개선에 대한 관심과 자발적 참여가 함께 어우러져야 지역 내 선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외국인 밀집지 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지역을 가꾸는 시민참여에 나서게 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계 중국인 밀집지 내에서 이주민의 시민참여가 이뤄지는 과정을 규명하되, 특히 장소애착심을 매개로 작용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 지역 내 시민참여가 갖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동에 거주하는 이주민·내국인 총 260명(각각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 내 주민의 시민참여가 장소애착심 정도, 개인 특성 등 요인들에 의해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규명하였다. 또한, 이주민들의 시민참여의 경험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대림동의 범죄예방을 위한 외국인자율방범대에서 활동하며 지역개선을 위한 시민참여를 하는 이주민 봉사자 15명을 대상으로 실제 참여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는 이주민, 내국인 모두 동네 만족도가 높고, 사회관계망이 두텁고, 동네 거주기간이 길수록 시민참여에 더 적극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주민에 비하여 내국인의 시민참여의 강도가 더 높고 장소애착심이 크지만, 내국인의 경우 장소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개인특성(동네 거주기간, 동네만족도, 중위소득 이상 여부, 사회관계망의 두터움)이 시민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이주민에게 유일하게 직접적으로 시민참여를 유도한 중요 요인은 장소애착심인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요인으로는 동네만족도, 거주기간과 사회관계망이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민은 장소애착심이 형성되기 어렵지만, 장소애착심이 생기면 시민참여의 실천으로 연결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시민참여를 정치활동과 지역사회활동으로 나누어 수행한 분석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된다. 다만 내국인은 정치활동에 더 적극적인 반면 이주민은 그 반대 성향을 보여 이는 두 그룹의 우선순위 및 사회·제도적 이유로 인한 현상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를 통한 분석에서는 장소애착심과 시민참여의 인과적 조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외국인 밀집지에 대한 이주민의 장소애착심과 시민참여가 이주사회에서 겪어온 차별에 대한 대응적(reactive)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발견하여 이를 대응적(reactive) 시민참여(reactive civic engagement)로 개념화하였다. 우선 남다른 사명감, 봉사심 및 단체활동을 하는 중국문화적 특성 등 개인적 속성이 영향을 준다. 다음으로 일상생활에서 직·간접적으로 겪은 차별로 인하여 형성된 이주민 정체성 및 이주민 (중국동포)공동체 의식과 한국사회 내 이주민 공동체의 지위 및 둘 간 화합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와 한국사회에서의 인정욕구가 중대하게 작용한다. 세 번째 조건으로 경제적·시간적 여유, 한국인과 상호교류·이해, 한국 내 장기 거주,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 등의 특성이 있다. 마지막 조건으로는 동네를 중국동포 상징지로 인식하면서 이웃이나 동네 안전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를 하는 것이 유의하게 작용한다.

중심현상으로 앞의 4가지 인과적 조건이 성립되면 모국문화와 이주민 공동체를 상징하는 공간인 외국인 밀집지와 그들의 동포정체성이 동일시 되는 등 장소애착심이 형성된다. 이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으로서 이주민들은 지역을 가꾸고 개선하는 시민참여(봉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영향을 주는 거시적 맥락적 조건으로는 한국사회 내 이주민(중국동포)과 외국인밀집지에 대한 집단적 차별의 일환인 부정적 여론을 들 수 있다. 처음에는 이러한 여론에 대한 대응으로 이주민 공동체의 명예회복을 위해 이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봉사를 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사례지역인 대림동에서 중국동포들에 의해 전개되는 시민참여는 대응적(reactive) 시민참여로 개념화된다. 이러한 봉사활동은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효과 및 봉사활동의 자체적 발전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며, 점차 봉사를 통해 장소애착심이 더 강화되는 선순환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처음에는 차별로 시작하게 되었으나 점차 봉사를 통해 얻는 긍정적인 효과들이 강한 동기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봉사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하게 되는 모습을 보인다. 한편, 이주민들의 개인적 관계나 단체 등을 통해 형성된 사회관계망도 봉사활동 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이주민의 시민참여는 개인·사회·환경적 효과 및 장소애착심의 강화 등 다양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므로 더욱 적극적으로 장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주민의 장소애착심은 시민참여로 이행되므로 이를 제고하는 물리적, 비물리적 방법 등이 요구된다. 셋째, 이주민 사회관계망은 시민참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외국인 밀집지 내 이주민 네트워크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원해야 한다. 넷째, 이주민에게 주거안정성 등을 포함한 현지적응은 시민참여의 기본적인 인과적 조건으로 작용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주민 봉사자들은 화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강한 인정욕구를 기반으로 그들의 이주민 정체성인 다름을 인정하는 동시에 한국사회에서의 조화로운 공존을 바라는 사회통합형(베리, 1997) 전략, 또는 실용적인 이중문화 모델(Schwartz et al., 2010; Doucerain, 2019) 전략을 추구한다. 이렇듯 다르더라도 서로 이해하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차별을 완화시키기 위한 인식의 전환과 서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상호교육의 기회 확대가 시급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이주민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기회 또한 다양하게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내국인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이주민 지원 정책이 필수적이다. 함께 사는 지역을 공동의 노력으로 개선시키는 프로그램 등 서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South Korea is rapid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e proportion of immigrants now reaches 4.9% of the population, of which the largest immigrant group is the Korean-Chinese immigrants (48.% of immigrants residing in Seoul) (Ministry of Justice, 2019). The Korean-Chinese have formed several ethnic plac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causing changes in society. However, some of these neighborhoods are becoming more isolated from their surroundings, posing a potential risk to society. Government policies for immigrants and ethnic places have developed over the last decade; however, changes should also come from within the ethnic place with its residents engaging. In this context, it is vita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thnic places to identify what factors cause residents to engage as citizens voluntari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civic engagement of the Korean-Chinese residents in an ethnic place by 1) analyzing various factors mediated by place attachment which affect the residents civic engagement, and 2) verifying the effects of civic engagement in ethnic places. To meet these objectives, first, based on a survey on residents (130 immigrants and 130 native Koreans) of Daerim-dong, Seoul, conducted for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applied to investigate how civic engagement is influenced by the level of place attachm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ther factors. Next, to analyze immigrants civic engagement process,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15 immigrants participating in the Foreigners Voluntary Crime Prevention Patrol to improve the ethnic place was conducted.

The SEM analysis showed that neighborhood satisfaction, social ties, and months in the neighborhood were both dominant determinants of civic engagement for both groups, indirectly and directly. While the degree of civic engagement and place attachment of nat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mmigrants, natives place attachment did not affect civic engagement at all, showing their civic engagement is dependent on their individual traits (length of stay in the neighborhood, neighborhood satisfaction, high income, social ties), rather than being affected by place. For immigrants, the only positive and significant factor directly affecting civic engagement was place attachment, demonstrating that their civic engagement is highly dependent on place attachment. It is difficult for immigrants to be attached, yet, they become engaged once they form place attachment. The findings were mostly consistent even after further analyzing civic engagement categorized into political and community activities. Notably, natives were more active in political activities than community activities, whereas immigrants showed the opposite trend: implying their different priorities for personal and institutional reasons.

The second part of the research identified causal conditions for place attachment and civic engagement for the Korean-Chinese immigrants. It further discovered how initially immigrants place attachment and civic engagement in the ethnic place were primarily reactive to the discrimination they have faced in the host society; thus, conceptualizing this as reactive civic engagement and place attachment. The four causal conditions were 1)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having a strong desire for volunteering and sense of obligation, and Chinese cultural influence regarding collective action; 2) being conscious of the status of the Korean-Chinese immigrant community in relation to Korean society due to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that molded their immigrant identity — which is firmly grounded on their mindfulness of the necessity of harmonious coexistence and strong desire for recognition from society; 3) being well adapted to Korean society — including having the financial stability and time, having mutual interactions and cordial with natives, and having lived for a long period in Korea; 4) having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neighbors and the safety of the neighborhood, and perceiving the ethnic place as a symbolic place for the immigrant community. Once these four conditions were satisfied, they began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ethnic place representing their culture and immigrant community (reactive place attachment). After becoming attached to the neighborhood, they became civically engaged (volunteered) to take care of the place. As a macro contextual condition, publicly expressed collective discrimination in the form of negative public opinion on immigrants and their ethnic place functioned as a catalyst that directly induced their reactive civic engagement behavior to recover their dignity. Although their civic engagement was first motivated by discrimination, as time passed, this civic engagement experience reaped multiple benefits that functioned as an intensive incentive for the immigrants to continue their active civic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irst, more policy efforts should encourage immigrants civic engagement, considering its positive chain reactions affecting different dimensions. Second, more endeavor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immigrants place attachment by focusing on both the built environment and social ties. Third, more suppor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ocial ties, such as cooperating with the immigrant network in ethnic places. Fourth, as a significant precondition to civic engagement, immigrants adaptation, including residential stability, should be further supported. Fifth, immigrants civic engagement in this study was close to the social integration model ideally suggested by Berry (1997) or the practical bicultural model (Schwartz et al., 2010; Doucerain, 2019) in that although the immigrants accepted that they were different and preserved their immigrant identity, they pursued harmonious coexistence with natives in the host society based on their strong desire to be recognized. Reflecting this, to create an inclusive society in which differences can be accepted while peaceful coexistence is possible, there needs to be more mut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reduce discrimination and increas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and more programs that officially recognize the endeavors of immigrants who contribute to the Korean society. Lastly, it is essential to involve natives when executing immigrant-support policies. Therefore, creating more neighborhood programs that involve both natives and immigrants participation to improve the same neighborhood can be conducive for enhanced mutual interactions and cooperatio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81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3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