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mpact of Indonesia Health Insurance (JKN) policy on outpatient utilization using IFLS data : IFLS 데이터를 통한 인도네시아의 건강보험 정책이 외래환자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아니타

Advisor
이태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Health Insuranceoutpatient utilizationincomeisland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1.8. 아니타.
Abstract
인도네시아 국민건강보험(JKN)은 2014년에 설립되었다. 건강보험에
가입하는 것은 피보험자를 경제적으로 보호하고 그들이 필요할 때, 특히
가난하고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JKN보험전에는 건강보험이 소득 프로파일에 따라 다르게 적용 됐다.
Askes와 Jamkesda의 영향은 외래환자 진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다.
그러나 저소득 계층보다는 3, 4분위 소득 집단에 영향이 집중되었다.
원래 목적은 가난하고 빈곤한 것으로 간주되는 1분위와 2분위
소득집단을 보호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JKN 보험이
외래환자 진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은 선형 확률 모형과 함께 Difference-in-differences(DiD) 방법을
사용했다. 이 모델은 정책 도입 후 세 개의 섬으로 구분되는 다양한
5분위 소득 집단과 주거 지역에서 하위 그룹의 영향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는 IFLS 4(2007)와 5(2014)의 패널
데이터를 사용했고 추세를 정의하기 위한 위약 테스트는 IFLS
3(2000)의 것이었다. 치료 그룹은 2014년 JKN 도입 후 보험에 가입한
응답자였고, 대조군은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응답자였다.
그 결과 JKN이 외래환자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JKN 정책
결과 활용률이 3.8%~21.8% 증가했다. 치료 그룹의 외래 환자 진료
활용도가 대조군 활용도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소득 하위그룹 분석에서,
JKN은 모든 소득집단에 대한 외래환자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최고소득 집단뿐만 아니라 최저소득 집단에서도 정책
활용도를 16-28% 높였다. 섬 하위그룹 분석에서 외래환자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동인도네시아에서 활용률이 34%
증가했다. 연령, 성별, 소득, 개인 보험 소유권, 거주지, 섬 및 건강
상태와 같은 공변량 포함 후 회귀 분석 결과도 외래 환자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Indonesia National Health Insurance (JKN) began in 2014. Having
had health insurance, the Government of Indonesia has protected the
financially insured who can access healthcare whenever they need it,
especially for the poor and unhealthy group. Before JKN, health
insurance had a different scheme based on the income profile. The
impact of Askes and Jamkesda increased their access to outpatient
care. However, in fact, the impact affected the third and fourth quintile
income group instead of the poor.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whether JKN insurance had an impact on outpatient care utilization.
The analysis used the Difference and Difference (DiD) methods
with a linear probability model. This model was aimed to find the
impact towards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y. Moreover, it also
provided a sub-group analysis in different quintile income groups and
in three islands. This study used panel data from IFLS 4 (2007) and 5
(2014), and the placebo test to define the trend from IFLS 3 (2000).
The treatment group were respondents who became insured after The
JKN introduction in 2014, while the control group were respondents
who remained uninsured after the policy introduction.
The result showed a positive impact of JKN towards outpatient
utilization that increased the utilization by 3.8%-21.8% as a result of
JKN policy. It confirmed that the outpatient care utilization of the
treatment group wa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utilization. Under the
income subgroup analysis, it showed a positive impact of JKN on
outpatient care for all income groups which increased the utilization
by 16-28% as a result of the policy not only in the highest income
group but also at the lowest income group.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81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40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