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란가사의 작가 의식과 시가사적 의의 : The Writer Consciousness and Historical Meaning of War Gas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동규

Advisor
서철원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란가사사대부 시가대외 인식사회 의식자기 표현을묘왜변임진왜란병자호란조선 후기: Korean classic poetryWar Gasa(전란가사)Sadaebu poetry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social consciousnessself-expressionUlmyo Japanese Invastion of KoreaImjin Japanese Invastion of KoreaManchu War of 1636the late Joseon period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1.8. 서철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riter consciousness of War Gasa(전란가사) works by focusing on the continuing or changing aspect of writer consciousness of the pre-war Sadaebu poetry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it in the stream of the Korean classic poetry. Existing research on the War Gasa has mainly dealt with the fact that there seemed to be self-expression based on ideology of Confucianism. In result, there have been negative evaluations that War Gasa repeated the ideational writer consciousness of the previous generation which did not harmonize with the change of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However, such evaluations need to be verified about their validity, considering the common effect of war on human 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another literature genres based on war in the same age. Therefore, this paper works with all 9 pieces of War Gasa works and analyzes the continuing or changing aspect of pre-war writer consciousness after subdividing writer consciousness into three part: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 social consciousness, and self-expression.
This paper, prior to the main argument, goes over not only the social tendency in the war era, which affected the writer consciousness of War Gasa works, but also both background and storyline of each work briefly. As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changed in 16th and 17th centuries when many wars began among Joseon, Japan, and Qing(淸) Empire,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experienced something new that they never did before. Consequently, they realized great military strength of surrounding countries and critically reflected on the contradiction in Joseon society causing heavy damage. In addition, they confronted economic problems caused by the war as well as tried to find a way to make a living. On the sidelines of such changes, they strongly internalized existing Sino-barbarian dichotomy(華夷觀) based on their hostility.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also tried to reconstruct and keep existing order based on Confucianism and Sinocentrism. That is, both change and continuance coexisted in the war era of Joseon society.
In result, there appeared such coexistence in the writer consciousness of War Gasa. First,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 Nanjeongga(남정가), Yongsaeum(용사음), and Taepyeongsa(태평사) which were created during or right after the war considered Joseon civilized(華), and Japan barbaric(夷), and then raised the fact that Confucian culture was destroyed by the war as a problem. It seemed to persist in the writer consciousness based on Sino-barbarian dichotomy from late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Seonsangtan(선상탄) which was created 7 years later than Imjin Japanese Invastion of Korea and Byeongjananriga(병자난리가) which was created after Joseon got to know military strength of Qing Empire in the Manchu War of 1627 acknowledged its great strength and the gap between Joseon and surrounding countries.
Next, in terms of social consciousness, Nanjeongga and Taepyeongsa showed the ideal Confucian society where Ruling by Virtue(王道 정치) was implemented as the aim of postwar Joseon, which means continuance of the writer consciousness of Yon-sijo(연시조) affiliated with Oryunga(오륜가) in early Joseon period. In contrast, Namjeongga, Yongsaeum, and Byeongjananriga critically reflected on Joseon society and rebuked politicians for increasing war damage. The criticism newly appeared with wars in the Gasa literature.
Lastly, in terms of self-expression, Myeongwoleum(명월음), Namjeongga, and Taepyeongsa written by participants in the war recognized the writers identity in the relation between king and subject, and emphasized the loyalty of the writer. It was based on Confucianism and kept the writer consciousness of previous Gasa based on banishment and travel. Conversely, Byeongjananriga written by a war refugee and Jaeilbonjangga(재일본장가) written by a prisoner of war sang miserable circumstances and feelings from poverty caused by the war. It showed the change of writer consciousness since writers faced up to the reality and accepted 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r Gasa become prominent, compared to another genres of poetry literature. Long Chinese Poetry(장편 한시) based on the war focused on revealing war sufferers. In contrast, War Gasa works had various materials by representing multifarious interest related to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 social consciousness, and self-expression. While Yon-sijo in the same age sang sadness about hardly actualizing Confucian ethics, the writer consciousness of War Gasa works wore a double face by going forward to Confucianism and straightforwardly singing feelings from the reality that writers underwent.
Variety of writing materials showed possibility of Gasa for dealing with interests of those days expanded through the war. Moreover, it is relevant that writer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reality minimized intervention of ideology and became closer to the truth of life. It is pointed out as the achievement of th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period; War Gasa works showed such achievement at the head of poetry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period. Although War Gasa works were still led by ideational writer consciousness of previous writers, they were significant. It is because they tried to approach the truth of life by specifying es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war with loyalty, one of the Confucian ideas, and critically reflecting on the real society in those days. Furthermore, the double face of War Gasas writer consciousness was highly meaningful as those works honestly talked about human beings confronting sudden shock.
이 논문은 전란가사의 작가 의식을 전대 사대부 시가의 그것이 지속 혹은 변모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의의를 시가사의 흐름 속에서 밝히고자 했다. 기존 연구는 전란가사에 유교 이념에 근거한 자기 표현이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 결과 전란가사가 대내외의 환경 변화와 어울리지 않는 전대의 관념적인 작가 의식을 되풀이했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도출되었다. 하지만 전란이 일반적으로 인간 의식에 미치는 영향이나 전란을 소재로 한 동시대 다른 문학 장르가 보여준 성격 변화를 고려할 때, 기존의 분석은 그 타당성 여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전란가사 9편 전체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작가 의식의 영역을 대외 인식, 사회 의식, 자기 표현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에 나타난 전대 작가 의식의 지속과 변모 양상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시가사의 흐름 속에서 전란가사의 의의를 재평가하는 데까지 나아가고자 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본고는 먼저 전란가사의 작가 의식에 영향을 미친 전란 당시의 사회적 동향을 살폈다. 그리고 작품별 창작 배경과 내용 구성을 개략적으로 검토했다. 16·17세기 동아시아 국제 질서 변동에 따라 조선과 日本, 淸 간의 국제전이 잇따르면서, 조선의 사대부층은 전에 없던 전란 체험을 경험했다. 그 결과 주변국의 강성한 군사력을 실감했으며, 피해를 키운 당대 조선 사회의 모순을 비판적으로 돌아보았다. 그리고 전란으로 인한 곤궁한 처지를 직시하고, 삶을 이어나가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한편 사대부층은 이러한 변화와 별개로, 적개심을 바탕으로 기존의 華夷觀을 더욱 강하게 내면화했다. 정부 차원에서도 유교 이념과 중화사상에 근거한 기존의 질서를 복원하고 유지하려는 기조를 취했다. 곧 전란 당시 조선 사회에는 변화와 지속의 움직임이 공존했던 것이다.
그 결과 전란가사의 작가 의식에도 전대의 그것이 지속되거나 변모하는 양상이 동시에 나타났다. 먼저 대외 인식 면에서 전쟁 중이나 직후에 창작된 「남정가」, 「용사음」, 「태평사」는 조선을 華로, 日本을 夷로 인식하고, 전란으로 인해 유교 문물이 파괴된 것을 주요한 문제로 제기했다. 고려 말부터 이어진 華夷觀에 근거한 대외 인식을 지속해서 표현한 것이다. 이에 비해 임진왜란 종전 7년 뒤에 창작된 「선상탄」이나, 정묘호란에서 청군의 전력을 한 차례 실감한 뒤에 창작된 「병자난리가」의 경우 저들이 강성한 군사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전란 체험을 통해 인지한 군사력의 격차를 근거로 대외 인식의 변모를 보여준 것이다.
다음으로 사회 의식 면에서 「남정가」와 「태평사」는 전후 조선 사회의 지향점으로서 王道 정치가 구현된 유교적 이상 사회의 모습을 제시했다. 이는 조선 전기 오륜가 계열 연시조의 사회 의식을 지속한 것이다. 한편 「남정가」, 「용사음」, 「병자난리가」는 당대 조선 사회를 비판적으로 돌아보고, 전란 피해를 키운 조정 신료들의 부도덕함을 꾸짖었다. 이러한 비판적인 사회 의식은 전란을 계기로 가사 문학의 내용으로 새롭게 등장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기 표현 면에서 참전 작가가 창작한 「명월음」, 「남정가」, 「태평사」는 君-臣 관계 속에서 작가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작가가 가진 忠臣의 면모를 부각했다. 이는 유교 이념에 근거한 것으로 전대의 유배, 기행가사의 작가 의식을 지속한 것이다. 한편 피란 작가의 「병자난리가」와 포로 작가의 「재일본장가」 등은 전란으로 인한 곤궁한 처지와 그에서 비롯된 비참한 심경을 노래했다. 이는 작가가 처한 실제 현실을 직시하고 수용한 것으로 자기 표현의 변모를 보여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여타 시가 장르의 특성과 비교하면 전란가사의 특성을 더욱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란을 소재로 취한 장편 한시는 民의 참상을 고발하는 데 집중했다. 이에 비해 전란가사는 대외 인식, 사회 의식, 자기 표현에 걸친 다방면의 관심사를 형상화하여 소재의 복합성을 보여준다. 동일한 전란을 배경으로 하는 연시조는 유교 윤리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슬픔을 노래했다. 이에 비해 전란가사는 유교 이념에 대한 지향과 함께, 작가의 곤궁한 현실 체험을 직시하고 그에서 비롯된 솔직한 심회를 형상화하여 작가 의식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소재의 복합성은 전란을 계기로 확장된 당대인들의 관심을 가사가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현실 체험을 중시하는 작가 의식은 이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삶의 진실에 곧바로 다가간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은 조선 후기 문학의 성취로 지적된 것으로, 전란가사는 조선 후기 시가사의 앞자리에서 이러한 성취를 보여주었다. 한편 전란가사는 여전히 전대의 관념적인 작가 의식에 이끌렸다. 하지만 이 가운데 유교 이념에 대한 지향은 忠의 실천 행위였던 참전 체험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사회 현실을 비판적으로 돌아보도록 추동했다는 점에서 역시 가사가 삶의 진실에 한발 다가가게 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전란가사의 작가 의식이 가진 양면성은 갑작스러운 충격에 대응하는 인간의 모습을 진실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6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