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on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우제

Advisor
김창대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죽음불안이상섭식행동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공포관리이론실존주의 상담범진단적 요인death anxietydisordered eatingthin-ideal internalizationterror management theoryexistential psychotherapytransdiagnostic construc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1.8. 김창대.
Abstract
최근 죽음불안은 다양한 정신병리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범진단적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죽음불안과 섭식장애와의 관련성을 지지하는 근거들도 마련되고 있지만, 두 변인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선행 연구자들은 마른 체형을 이상적인 신체상으로 내면화하는 수준에 따라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제안해왔으나, 해당 가설에 대한 통계적 검증은 이뤄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섭식장애의 위험군인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 있어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소재 대학교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연구를 홍보하여 총 19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반복해서 설문에 응하거나 여대생이 아닌 경우, 그리고 이상값으로 판단된 데이터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79명의 데이터를 가설 검증에 사용하였다. SPSS 20를 활용하여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상적인 마른 체형의 내면화는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마른 체형 내면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죽음불안과 이상섭식행동 사이의 정적인 관련성은 커졌다. 두 번째, 이상적인마른 체형의 내면화 수준을 평균으로 통제했을 때, 죽음불안은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세 번째, 죽음불안 수준을 평균으로 통제했을 때, 이상적인 마른 체형의 내면화는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죽음불안이 범진단적 요인으로서 이상섭식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마른 체형을 이상적인 신체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여자 대학생들의 경우, 죽음불안 수준이 높아질수록 이상섭식행동 역시 악화될 수 있다. 이들의 부적절한 섭식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상담에 있어, 죽음불안을 주요 개입의 표적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Death anxiety is a newly introduced transdiagnostic construct, underpinning a wide range of mental health problems. Although There has been evidence that sup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eating disorders, the role of moderator between these two variables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Especially, previous studies imply that a high level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can be a condition that death anxiety has an positive effect on disordered eating among young wome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among Korean female undergraduates.
For this goal, data on 179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death anxiety, disordered eating, and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n-ideal internaliza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Specifically, for the women whos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the thin ideal was high, death anxi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disordered eating. On the other hand, for the women whos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the thin was low, death anxiety was negatively related to disordered eating. Second, death anxie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isordered eating when the level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was controlled. Third, thin-ideal internaliz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f disordered eating when the level of death anxiety was controlled.
These results support the role of death anxiety as a transdiagnostic construct. Death anxiety can aggravate the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young females, especially when they buy into societal messages about thinness, and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aling with eating problem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0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