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의 실업상태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Youth Unemployment on Problem Drinking. : Mediating Effects of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이원적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수빈

Advisor
강상경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년 실업문제음주이원적 자아존중감매개효과스트레스-대처 모델Youth UnemploymentProblem DrinkingTwo Dimensions of Self-EsteemMediating EffectStress-Coping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21.8. 강상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unemployment among young adults affects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behavior based on Lazarus & Folkmans stress-coping model and to identify whether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problem drinking.
The youth strive to have jobs and to achieve the developmental task of belonging in their life cycles, which can cause stress. They are prone to drink alcohol as a way of dealing with stress to reduce the tension and negative emotions. An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problem drinking in youth are important because even if the level is low, it can affect rest of their lives.
According to the stress-coping model, stress depends on cognitive process which is a combin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needs and individual resources. Thu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stressful environment are important. In other words, even if individuals are equally unemployed, one can find it stressful while others do not. This is because cognitive appraisals vary depending on the causative antecedents that individuals have for stress and the coping behaviors that are also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Here, the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re in charge of cognitive appraisals according to causative antecedents.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that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could change the cognitive appraisals of stressor, an unemployment, and thus change the level of emotional-focused coping behavior, a problem drinking. Identifying such mediators between stress and coping is important because it can provide alternatives to protect individuals from the impacts of stress.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youth unemployment affect problem drinking levels? Second, does the unemployment affect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That is, is positive(negative) self-esteem of unemployed youth lower(higher) than that of the employed youth? Third, does the unemployment of youth affect problem drinking levels through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13th data (2019) of the Youth Panel (YP 2007) was exploited and 2,682 young people aged 25 to 39 were analyzed who responded to all of questions regarding major variables, except for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The main variables were unemployment as independent variable,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as mediators, problem drinking levels as dependent variable, gender, age, education levels, household income, marriage status, relig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control variables. Baron & Kennys three-stage mediation effect analysis through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and Sobel-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youth unempl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behavior. In other words, unemployed young adults showed a higher level of problem drinking than those employed.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stress-coping model that unemployment causes tension and acts as stress in young people, raising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Second, unemployment was not associated with a positive self-esteem, bu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egative self-esteem. This indicates that unemployment causes psychological difficulties which are increased the negative self-esteem for individuals. Third, positive self-esteem did not medi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problem drinking, but negative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problem drinking. In other words, unemployed young people have higher negative self-esteem than those employed, and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increases through this increased negative self-esteem. Sobel-test result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reveals the impact of unemployment on problem drinking based on the stress-coping model, and demonstrates that negative self-esteem mediates the impact.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importance of cognitive evaluation according to causal prior variables claimed by Lazarus & Folkman (1984) has been verified, especially with the subtype of self-esteem.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cused on problem drinking among the results of unemployment and examined the relevance of the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This is linked to the discussion that for individuals, jobs mean beyond sources of income and also affect psychological internal structures such as self-concept and identity. In particular, by examining increased problem drinking and negative self-esteem, the specific negative effects of unemployment, the study contributed to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unemployed young people, moving from the existing discourse of economic difficulties such as loss of income due to unemployment. Third, by accepting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hypothe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self-esteem into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confirming that the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were properly applied to young Koreans. Fourth, the 13th data (2019) of the Youth Panel (YP 2007) used in this study are national representative panel data sampled from seven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and nine provinces including Jeju Island. Therefore, this study relatively secured the representation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samples.
This study also provides both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intervene youth in problem drinking and confirm that unemployment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terven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unemployed young adults problem drinking and link them with employment centers. Second, in an intervention for problem drinking, efforts to relieve negative self-esteem are required. This can be related to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one of the non-drug treatments for alcoholic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counselings and programs to intervene i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risis of unemployed young people. Currently, there are consultations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jects for unemployed young people in the Regional Job Center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some local governments. But, there is a gap in the amount and quality of service benefits. Efforts to replenish manpower and resources are requested to solve this problem.
본 연구의 목적은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대처 모델을 바탕으로 청년의 실업 상태가 문제음주 행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업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를 이원적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청년기는 생애주기상 직업을 갖고 소속감이라는 발달과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데 이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긴장과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자 스트레스 대처방법으로 음주를 하기 쉽다. 청년기의 문제음주는 그 수준이 낮게 나타날지라도 이후 생애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조기개입과 예방이 중요하다.
스트레스-대처 모델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외부 환경의 요구와 개인의 자원 간 조합으로 인지적 과정이 중심이 되기에 스트레스의 지각과 해석에서의 개인차가 중시된다. 즉, 동일한 실업 상태이더라도 개인에 따라 이를 스트레스로 평가하는 데에는 개인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해 개인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는 원인적 선행변인에 따라 인지적 평가가 달라지고 이에 따른 대처방식 역시 다르게 행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원인적 선행변인에 따른 인지적 평가를 담당하는 것이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이다. 이에 따라 이원적 자아존중감에 따라 스트레스원(stressor)인 실업 상태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달라지고 문제음주라는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의 수준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렇게 스트레스와 대처 사이의 매개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스트레스의 영향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수 있기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실업 상태가 문제음주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년의 실업 상태는 이원적 자아존중감(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즉, 실업 상태 청년의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이 취업 상태 청년의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보다 낮은가(높은가)? 셋째, 청년의 실업 상태는 이원적 자아존중감(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문제음주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청년패널(YP 2007) 13차 자료(2019년)를 활용하였다.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를 제외한 25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2,68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결혼상태, 종교, 주관적 건강상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실업 여부(독립변수)가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매개변수)을 매개로 문제음주 행위 수준(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Baron & Kenny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3단계 매개효과 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Sobel-test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실업 상태는 문제음주 행위 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실업 상태인 청년이 취업 상태인 청년보다 문제음주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대처 모델에 따라 실업 상태가 청년들에게 긴장을 유발하고 스트레스로 작동하여 문제음주 수준을 높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실업이 긍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실업이 개인에게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증가라는 심리적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실업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으나,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실업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즉, 실업자인 청년이 취업 청년보다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고 이렇게 높아진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문제음주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test 결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스트레스-대처 모델을 기반으로 실업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영향을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Lazarus & Folkman(1984)이 주장한 원인적 선행변인에 따른 인지적 평가의 중요성이 검증된 것으로, 특히 자아존중감의 하위유형에 따라 대처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업으로 인한 결과 중 문제음주에 초점을 두어 이원적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개인에게 있어 직업이란 소득원을 넘어 자아개념 및 정체성과 같은 심리 내적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논의와 연결된다. 특히, 문제음주와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증가라는 구체적인 실업의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실업으로 인한 소득 상실 등 경제적 어려움의 담론에서 나아가 실업 상태 청년의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관한 개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셋째, 이원적 자아존중감 가설을 수용하여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행해 한국의 청년들에게도 자아존중감의 이원적 구조가 적절하게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청년패널(YP 2007) 13차 자료(2019)는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 제주도를 포함한 9개 도에서 표본을 추출한 전국 대표성을 지닌 패널 자료로, 본 연구는 표본의 대표성과 외적 타당도를 비교적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청년의 문제음주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청년의 문제음주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실업 상태를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문제음주에 대해 실업 청년을 중심으로 초점화된 개입과 고용센터와의 연계 등이 필요하다. 둘째, 문제음주의 개입에 있어서 부정적 자아존중감 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밝혔다. 이는 알코올 중독자를 위한 비약물치료 중 하나인 심리·사회적 중재와 관련지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업 상태 청년의 심리·정서적 위기상태에 개입하는 상담 및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고용노동부의 지역별 고용센터와 몇몇 지방정부에서 실업 상태 청년들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사업과 상담이 존재하지만, 서비스 수혜의 양과 질에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력과 자원을 보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6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