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과 조정자 신뢰가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Youths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and Mediator Trust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eer Conflict Medi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혁-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22-04-20T07:07:43Z-
dc.date.available2022-04-20T07:07:4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853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344-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34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1.8. 박성혁.-
dc.description.abstractPeer conflicts among youth may be a constructive experience in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depending on how they are managed and resolved. In order to develop peer conflicts into a positive experience, it is important not only to apply appropriate conflict resolution methods, but also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youth in conflict resolution with positive expectations. However, existing studies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conflicted parties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subjective perceptions of peer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The studies also objectified peer conflicts or focused only on resolution procedures, supplemented the objective validity of conflict resolution methods, and promoted the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ies of conflicted parties, so they could accept various resolution methods.
However, a conflict resolution process not considering the partie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eer conflicts and conflict resolution as well as their subjective perceptions has limits in draw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Negative attitudes toward peer conflicts and conflict resolution can negatively affect not only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but also attitudes toward various institutions and norms that resolve conflict. Thu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egative attitude of conflicted parties to be positive.
Conflicted partie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nd subjective perceptions of peer conflict resolutio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but have been neglected so far. Taking note of this, the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of conflicted parties to participate in conflict resolution and verifies their effectiveness. By doing so, this study seek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conflicted parti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conflict resolution process to effectively resolve peer conflicts and to develop their experience of resolving peer conflicts into a constructive and educational conflict resolution experience.
In order to establish educational and practical measures for conflict resolution, this study divided the factors affecting youth'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nflict resolution into individual tendenc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mong the various conflict resolution methods, this study focused on informal medication to resolve conflicts in daily life, as peers or teachers quickly intervene as mediators to help the conflicted parties resolve conflicts on their own. Based on the review of prior studies and theori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youth's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and trust in mediator affect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informal peer and teacher mediation. The study also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mediator, in the impact of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informal mediation. Specific hypothese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of youth can influence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eer conflict mediation.

[Hypothesis 2] Trust in mediator can influence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eer conflict mediation.

[Hypothesis 3] Trust in mediator can adjust the impact of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eer conflict mediation.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se hypotheses, four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first through third grader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r types of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and the moderator variables were four types of trust in mediator.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eer mediation and teacher mediation), and it measured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mediator. Finally, the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ach sub-element of youth's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and trust in the mediator has a significantly different effect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eer mediation and teacher medi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rust in mediator had a different moderating effect for each sub-component.
These findings provide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of conflicted parties before selecting a method to resolve a peer conflict. As shown by the study results,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informal mediation varies depending on what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the youth have. Thus, to select a conflict resolution method that can draw a high willingness to participat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of the conflicted parties and select the appropriate method. Next, peers and teachers who can participate in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as mediators should be trusted as mediators. In addition, if conflicted parties with a specific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have a low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n informal medi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strengthen the sub-elements of trust in mediator to increase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 experience of con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by conflicted parti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will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contributing to producing better results for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In particular, the youth will grow into democratic citizens who cooperate with others and society and respect various conflict resolution methods and social norm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con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
dc.description.abstract청소년기 또래갈등은 어떻게 관리·해결되는가에 따라 건설적인 교육 경험이 될 수 있다. 또래갈등을 교육적인 경험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갈등해결방법을 적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갈등당사자가 갈등해결 과정에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또래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갈등당사자의 또래갈등 및 갈등해결에 대한 참여의지와 주관적 인식에 주목하기보다는 또래갈등을 객관화하거나 정해진 절차를 이행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또한, 갈등당사자가 특정 갈등해결방법을 거부할 때 그 방법의 구조나 절차를 보완하거나 갈등당사자의 갈등해결력을 증진하려는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그런데 갈등당사자의 또래갈등과 갈등해결에 대한 참여의지와 주관적 인식을 고려하지 않은 갈등해결 과정은 갈등당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어렵다. 갈등당사자가 갖는 또래갈등과 갈등해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갈등해결 과정에 참여하지 않으려는 태도는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갈등해결과 관련된 다양한 제도, 기관, 규범 등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갈등당사자의 부정적인 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소홀하게 다루어져 온 또래갈등해결에 대한 갈등당사자의 참여의지와 주관적 인식에 주목하여 갈등당사자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갈등당사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고 또래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갈등해결방법 중 일상생활 속에서 갈등을 해결하는 비공식적 조정에 특히 집중하였다. 비공식적 조정은 조정자로 개입한 또래친구 또는 교사와 함께 갈등당사자가 자율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비공식적 조정은 더 나은 또래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회복적 갈등해결방법이자 갈등해결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선행 연구 및 이론을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비공식적 조정에 해당하는 또래조정 및 교사조정에 대한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성향 요인인 개인의 규범문화배경과, 사회 환경 요인인 조정자 신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종속변인은 또래조정 및 교사조정 참여의지고, 독립변인은 규범문화배경(계층주의, 개인주의, 평등주의, 운명주의)이다. 조절변인은 조정자 신뢰(태도 기반, 소통 기반, 동일시 기반, 역량 기반)이다.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과 조정자 신뢰가 또래조정 및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규범문화배경이 또래조정 및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조정자 신뢰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은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1]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은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은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조정자 신뢰는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또래조정자 신뢰는 또래조정 참여의지를 증가시킬 것이다.
[가설 2-2] 교사조정자 신뢰는 교사조정 참여의지를 증가시킬 것이다.

[가설 3] 조정자 신뢰는 규범문화배경이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가설 3-1] 또래조정자 신뢰는 규범문화배경이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가설 3-2] 교사조정자 신뢰는 규범문화배경이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중학교 4개교의 1∼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과 조정자 신뢰의 각 하위요소는 또래조정 및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정자 신뢰는 하위요소별로 각각 다른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갈등해결방법을 선정할 때 갈등당사자의 규범문화배경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이 지닌 규범문화배경에 따라 또래조정 및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갈등당사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또래관계를 회복하고 갈등해결력을 함양할 수 있는 시민교육적인 갈등해결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갈등당사자의 규범문화배경을 검토한 후 그에 적절한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또래친구 또는 교사가 조정자로서 신뢰받을수록 또래조정과 교사조정에 대한 참여의지를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또래친구와 교사가 신뢰받는 조정자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적, 실천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 규범문화배경을 가진 갈등당사자가 또래조정 또는 교사조정에 참여하고자 하지 않는다면 그의 참여의지를 높이기 위해 집중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조정자 신뢰의 하위요소를 확인하고 그 요소를 특히 강화해야 한다.
청소년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갈등해결력을 함양하고 더 나은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갈등과 갈등해결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해서 다양한 갈등해결방법과 사회규범을 존중하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논문의 구성 및 용어의 정리 8
1) 논문의 구성 8
2) 용어의 정리 8
(1)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 8
(2) 규범문화배경 9
(3) 조정자 신뢰 9
Ⅱ. 이론적 배경 10
1. 또래갈등조정과 참여의지 10
1) 청소년 또래갈등의 특징과 영향 10
2) 또래갈등해결의 시민교육적 의의 12
3) 또래갈등해결과 조정 15
(1) 조정의 의미와 특징 15
(2) 조정을 통한 또래갈등해결의 필요성 24
(3) 또래조정과 교사조정의 의미와 특징 29
4) 조정 참여의지 33
(1) 조정 참여의지의 의미 33
(2) 조정 참여의지의 중요성 36
(3) 조정 참여의지의 특징 37
2. 규범문화배경과 또래갈등해결 39
1) 규범문화배경의 개념 39
(1) 규범문화배경의 의미 39
(2) 규범문화배경의 특징 44
2) 갈등당사자의 규범문화배경 고려의 필요성 47
3) 규범문화배경의 유형 구분 50
(1) 규제성과 상호의존성의 의미 50
(2) 또래갈등에 대한 규범문화배경 유형 52
3. 조정자 신뢰 59
1) 조정자 신뢰의 개념 59
2) 조정자 신뢰와 또래갈등조정 61
3) 조정자 신뢰의 구성요소 63
(1) 태도 기반 신뢰 66
(2) 소통 기반 신뢰 68
(3) 동일시 기반 신뢰 69
(4) 역량 기반 신뢰 70
4. 선행 연구 고찰 71
1) 규범문화배경과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 71
2) 조정자 신뢰와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 74
3) 규범문화배경, 조정자 신뢰,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 76
Ⅲ. 연구 설계 79
1. 연구 가설 79
2. 연구 대상 및 절차 84
1) 연구 대상 84
2) 연구 절차 87
3. 연구 변인과 조사 도구 88
1) 종속변인 :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 88
2) 독립변인 : 규범문화배경 89
3) 조절변인 : 조정자 신뢰 91
4) 통제변인 92
(1) 성별 92
(2) 연령 93
(3) 학업 성적 94
(4) 경제적 배경 94
(5) 평소 또래갈등 수준 95
(6) 갈등해결 절차 참여 경험 96
5) 조사 도구의 구성 97
6) 조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98
(1) 규범문화배경 분석 결과 99
(2) 조정자 신뢰 분석 결과 100
(3) 조정 참여의지 분석 결과 101
4. 분석 방법 102
Ⅳ. 분석 결과와 논의 104
1. 기술 통계 분석 104
2.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106
3. 규범문화배경의 효과 분석 108
1) 규범문화배경의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대한 영향 108
2) 규범문화배경의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대한 영향 111
4. 조정자 신뢰의 효과 분석 113
1) 또래조정자 신뢰의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대한 영향 113
2) 교사조정자 신뢰의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대한 영향 114
5. 조정자 신뢰의 조절효과 분석 116
1) 또래조정자 신뢰의 조절효과 116
(1) 또래조정자 태도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16
(2) 또래조정자 소통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17
(3) 또래조정자 동일시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18
(4) 또래조정자 역량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22
2) 교사조정자 신뢰의 조절효과 125
(1) 교사조정자 태도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25
(2) 교사조정자 소통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28
(3) 교사조정자 동일시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30
(4) 교사조정자 역량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34
6. 논의 135
Ⅴ. 결론 142
1. 연구 요약 142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45
1) 연구의 의의 145
(1) 이론적 함의 145
(2) 실천적 함의 147
(3) 교육적 함의 148
2) 연구의 한계 149
3. 제언 150
참고문헌 155
부록 171
Abstract 177
-
dc.format.extentⅹ, 18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또래갈등해결-
dc.subject회복적 정의-
dc.subject또래갈등조정-
dc.subject조정 참여의지-
dc.subject규범문화배경-
dc.subject조정자 신뢰-
dc.subjectpeer conflict resolution-
dc.subjectrestorative justice-
dc.subjectpeer conflict mediation-
dc.subject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mediation-
dc.subject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dc.subjecttrust in mediator-
dc.subject.ddc370.19-
dc.title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과 조정자 신뢰가 또래갈등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Youths Normative Cultural Background and Mediator Trust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eer Conflict Mediatio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u-Jin Lee-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1-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853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853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