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판소리의 시대별 음운변화 연구: 정정렬제 춘향가 중 이별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Phonics in Pansori over time : Focusing on Ibyeol-ga/Song of parting in Jeong Jeong-ryeol style Chunhyang-g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소진

Advisor
김경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춘향가정정렬김여란최승희이별가chunhyang-gaJeong Jeong-ryeolKim Yeo-ran.Choi Seung HeeI bye ol-ga/ Song of parti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1.8. 김경아.
Abstract
본 논문은 판소리 정정렬제 춘향가 중 이별가에 나타나는 ㅡ 발음의 ㅓ 발음으로의 음운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시대별 음운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정정렬제 춘향가의 1세대 명창 정정렬, 2세대 명창 김여란, 3세대 명창 최승희의 창본을 비교하여 ㅡ 발음의 ㅓ 발음으로의 음운변화 빈도를 살펴보았으며, 시김새, 음절의 가창 길이 및 말붙임새, 인접 음운과의 관계를 통해 음운변화의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정정렬, 김여란, 최승희의 춘향가 중 이별가 창본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창본 중 이별가 초앞에 나타나는 ㅡ ⇒ ㅓ 음운변화는 정정렬 창본과 김여란 창본에서 비슷한 빈도로 나타났고 최승희 창본에서는 2배 이상 많이 나타났다.
둘째, 시김새 측면에서는 꺾는목, 퇴성, 떠는목, 다루치는목이 음운변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 중 꺾는목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빈도가 가장 많았다.
셋째, 음절의 가창 길이 및 말붙임새 측면에서는 한 음절을 길게 부르면서 소리를 힘주어 밀어내는 경우, 말붙임새의 길이가 장-단-장의 순서로 변화하는 경우, 일정하게 길게 부르다가 마지막 음절을 더 길게 부르는 경우, 그리고 2음절 사설의 말붙임새가 단-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음운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인접 음운을 살펴본 결과, ㅡ 음절의 앞 음절 모음이 중모음 ㅓ와 같은 중모음이거나 고모음 ㅡ의 대척점에 있는 저모음인 경우 ㅡ ⇒ ㅓ 음운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이어지는 받침이 있는 경우, 명사·대명사를 꾸며주는 조사로 사용된 경우에도 음운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정정렬제 춘향가 1세대와 2세대에 많지 않았던 ㅡ ⇒ ㅓ 음운변화가 3세대에서 2배 이상 많아진 것은 시대가 지나면서 시김새, 음절의 가창 길이 및 말붙임새, 인접 음운과 같은 음악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음운변화는 판소리가 긴 시간 노래하는 성악 장르인 만큼 사설을 제한된 호흡 안에서 운용해야하는 특성과도 관련된다. 창자들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발성을 위해 발음의 편의성을 추구한 결과 입모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방향으로 음운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또한, 가사 전달이 중요한 판소리에서 명사·대명사에 비해 조사는 발음이 달라져도 의미 전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조사에서 음운변화가 잦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판소리에서 발음의 편의성을 추구하게 된 것은 판소리 완창 문화의 보편화에 따라 발성과 발음을 경제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정렬제 춘향가 중 이별가의 ㅡ ⇒ ㅓ 음운변화가 후세대에 이르러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은 가사 전달을 중요시하는 판소리의 특성, 오랜 시간 노래하기 위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발성과 발음을 찾는 특성 등이 반영되면서 변화되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atterns of phonological changes from ㅡ(eu) pronunciation to ㅓ(eo) pronunciation that appears in the song Ibyeol-ga/Song of parting of pansori Jeong jeong-ryeol style Chunhyang-ga.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honemes of Jeong jeong-ryeol style Chunhyang-ga over tim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phonological changes in the recordings of 1st generation master singer Jeong Jeong-ryeol, 2nd generation master singer Kim Yeo-ran, and 3rd generation master singer Choi Seung-he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comparitive analysis.
First, the change from ㅡ to ㅓ, which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three songs, was similar in frequency in the Jeong Jeong-ryeols and Kim Yeo-rans recordings, and more than doubled in Choi Seung-hees recording.
Second, in terms of the sigimsae(ornamentation), kkeongneun-mok(flow down sound), toeseong(fall of sound), tteouneun-mok(vibration) and daruchineun-mok(decorative sound) affected the phonological change. Among them, the kkeongneun-mok induces the most changes.
Third, in terms of the length and the pronunciation of a syllable, phonological changes appeared in the following four cases: i) the singer pushes a sound away while singing a syllable long, ii) the length of mal-butchimsae changes in the order of long, short, and long, iii) the case that the singer maintains the length of syllables consistently and then sings the last syllable longer, and iv) the length of mal-butchimsae of two syllable lyrics changes in the order of short, then long.
Fourth, an investigation on the adjacent phonemes presents that there is a change from ㅡ to ㅓ if the vowel of the syllable preceding the ㅡ syllable was a middle vowel such as ㅓ, or a low vowel at the opposite point of the high vowel ㅡ. In addition, the phonological change was also found when there is a subsequent final consonant or when the syllable is a proposition decorating nouns and pronouns.
The number of changes in ㅡ sounds, which were not much in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Chunhyang recording, more than doubled in the third generation owing to musical and linguistic factors such as tone, vocal length, voice, and adjacent phonemes. It is also worthy to note that pansori consists of long stretches of singing, so the pansori singers should efficiently use the limited amount of breath. Thus, while pursuing convenient pronunciation for economical and efficient vocalization, phonological changes occurred which helped limit drastic changes of mouth shape. In addition, the pronunciation changes are frequent in postpositions since the changes in the postposition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bility to deliver the meaning of lyrics. As the wanchang (full rendition) pansori performance was popularized, the ability to manage vocalization and pronunciation economically became important and therefore, the pansori singers further pursued more convenient pronunciation.
In conclusion, the phonological changes from ㅡ pronunciation to ㅓ' pronunciation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recording of the later generation because the pansori singers needs to deliver the lyrics precisely and to find the economical and efficient pronunciation method for a long time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7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0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