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폐쇄형 소셜미디어 이용이 조직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Closed Social Media on the Organizational Justice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우지숙-
dc.contributor.author정재우-
dc.date.accessioned2022-04-20T07:10:46Z-
dc.date.available2022-04-20T07:10:4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00000016815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838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15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1.8. 우지숙.-
dc.description.abstract정부는 언제나 공정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하고 기업은 윤리경영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외치고 있다. 공정한 사회란 공평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의미하고 윤리경영은 투명하고 공정하며 합리적인 업무 수행을 추구하는 경영정신을 뜻한다. 이렇듯 우리는 언제나 공정하며 윤리적인 조직을 기대하며 그 구성원으로서 살고 있다.
2013년 서비스를 시작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는 지금까지 대한항공 땅콩회항과 물벼락 갑질, 금호아시아나그룹 미투, 스타벅스 고객험담과 최근의 국책은행 직원의 비리, LH사태까지 과거 같으면 수면 아래에서 쉬쉬하고 지나갔을 일들을 외부로 노출시켜 해당 구성원이나 조직의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하였다. 즉, 조직의 불공정한 부분을 고쳐나가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 구성원의 윤리의식 그리고 조직 공정성 인식 등의 자료를 살펴본 후 그 연결고리를 찾아 소셜미디어 나아가 익명성을 바탕으로 하는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의 이용이 조직 공정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더불어 조직에 있어 구성원의 윤리의식에 따라 어떠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조직 공정성 인식으로 설정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직 공정성 인식은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으로 분류하였다. 단, 조직 공정성 인식은 요인분석을 통해 분배 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으로 분류되어 두 개 요인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독립변수는 블라인드 이용과 이용 동기로 설정하였고 블라인드 이용은 이용 여부와 빈도로 나누고, 이용 동기는 선행연구와 요인 분석을 통해 여가 추구, 정보 추구, 이데올로기 추구, 인지된 보안성 등 4개 동기로 추출해 내었다. 조절변수인 구성원의 윤리의식은 선행연구를 통해 청렴 윤리의식, 직무 윤리의식, 사회 윤리의식으로 나누고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성별, 연령, 학력, 직위, 근무기간, 근무소속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국내 31개 주요 공공기관 구성원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를 기본으로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t-tes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블라인드 이용 동기는 요인 분석을 통해 여가 추구 동기, 정보 추구 동기, 이데올로기 추구 동기, 익명성을 의미하는 인지된 보안성 동기 등 네 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블라인드 이용 여부에 따른 조직 공정성 인식의 차이는 t-test를 통해 검증한 결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블라인드 이용 빈도와 동기에 따른 조직 공정성 인식의 영향은 분배 공정성은 모형 자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호작용 공정성의 경우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이용 동기 중 정보 추구 동기는 상호작용 공정성에 정(+)의 영향을, 반면에 인지된 보안성 동기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기관 구성원이 정보 추구 동기를 가지고 블라인드를 이용할수록 상호작용 공정성은 높아지고, 인지된 보안성 동기를 갖고 블라인드를 이용할수록 상호작용 공정성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블라인드 이용 빈도 및 동기와 조직 공정성 인식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윤리의식의 조절효과는 종속변수가 분배 공정성의 경우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 공정성은 블라인드의 정보 추구 동기와 사회 윤리의식의 상호작용항의 계수는 유의확률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사회 윤리의식이 정(+)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의미한다. 이는 정보 추구 동기로 블라인드를 이용하는 공공기관 구성원의 경우 사회 윤리의식이 높을수록 상호작용 공정성에 미치는 효과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석에 따른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면 첫째,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블라인드의 이용 및 동기와 조직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구성원의 윤리의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익명이라는 가면 뒤에서 가짜 정보 또는 무분별한 자료가 내부에 전파되는 것은 도리어 조직의 공정성 인식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근거법령에 의해 철저한 통제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블라인드 게시 글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조직 공정성 인식이 나쁜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넷째, 정확한 정보가 블라인드에 공유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 뿐 만 아니라 조직의 구성원들이 사회 정의에 입각하여 공평성과 형평성을 추구하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사회 윤리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해야할 것이다.
연구의 향후 과제를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는 단일 설문조사를 통해 자기보고방식(Self-Report)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에 자유로울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패널 데이터조사 등을 통한 더욱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둘째, 블라인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후 무작위로 요인을 뽑아내고 이에 대해 설문조사와 요인분석을 통해 블라인드 이용 동기를 뽑아내는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롭게 등장한 미디어의 정확한 특성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다양한 소속의 기업 또는 조직의 연구자들이 모여 해당 기관의 게시 글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더 다양한 블라인드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한다. 넷째,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 사기업을 대상으로 비슷한 연구를 진행해 본다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게 될 것이고 이에 대해 본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여러 공공기관이 아닌 하나의 공공기관 그리고 공무원 조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본다면 또 다른 새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관련 후속 연구들의 좋은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government is always saying that it will create a fair society, and companies will make ethical management a top priority. A fair society refers to a fair and just society, and ethical management refers to a management spirit that pursues transparent, fair and rational business performance. As such, we always expect a fair and ethical organization and live as its members.
The anonymous community BLIND, which started its service in 2013, has exposed the problems of Korean Air's Nut Rage and Water incident, Kumho Asiana Group's Me Too, Starbucks customer gossip, the recent corruption of state-run bank employee and the LH incident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it has played a positive role in correcting the injustices of the organization.
Thus, this study examines data such as social media, members' Ethical Consciousness, and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finds links to find out how the use of anonymous community BLIND affects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what kind of adjusting effect appears according to the Ethical Consciousness.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set as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and based on previous studies,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was classified a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However,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was classified as Distributive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through factor analysi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factor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set as BLIND Use and Motivation, and BLIND Use was divided into Use and Frequency, and the Motivation for Use was extracted into four motives: leisure pursuit, information pursuit, ideology pursuit, and perceived security through prior research and factor analysis. Ethical Consciousness, which are the adjustment variables, was divided into Integrity Ethics, Work Ethics, and Social Ethics through prior research and confirmed through factor analysis. In addition,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working period, and working affiliation were set as the control variables.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members of 31 major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based on collected survey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research problems and hypotheses.
First, the analysis found that BLIND Motivation was four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leisure pursuit motivation, information pursuit motivation, ideology pursuit motivation, and perceived security, which means anonymity. Second,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use of BLIND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s a result of verifying through the t-test. Third, the Distributive Justice model itself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o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the Motivation for BLIND Use. However, for Interactional Justice, the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information pursuit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al Justice, while the perceived security motivation had a negative(-) effect. This means that the more members of a public institution use BLIND with information pursuit motivation, the higher the Interactional Justice, and the more perceived security motivation they use blinds, the lower the Interactional Justi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and the Motivation for BLIND Use and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the adjusting effect of the Ethical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no adjusting effect in the case of the Distributive Justice. However, as for the Interactional Justice, the coefficient of the interactive term of the information pursuit motivation and Social Eth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Social Ethics has a positive(+) adjusting effect.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who use BLIND as a information pursuit motivation, the higher the Social Ethics, the greater the effect on Interactional Justice.
Looking at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firs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IND Use and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which have not been studied so far, and the adjusting effects of Ethical Consciousness. Second, the propagation of fake information or indiscriminate data behind the mask of anonymity can adversely affect the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so thorough control and education are expected by relevant ground laws 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ird, through thorough monitoring of BLIND postings, it will be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does not flow in a bad direction. Fourth, not only continuous monitoring so that accurate information can be shared in the BLIND, but also continuous efforts are made so tha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pursue fairness and equity based on social justice and cultivate the Social Ethics that emphasizes consideration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Looking at the future tasks of the study, first, since this study was measured by a self-report method through a single survey,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be free from common method bias. In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a more accurate analysis can be conducted through panel data survey to overcome these problems. Second, if we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BLIND users, randomly select factors, and conduct a study to extract motives for BLIND use through surveys and factor analysis, we will be able to find out the exact characteristics of newly emerged media. Third, I hope that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for researchers from various affiliated companies or organizations to gather and discover more diverse characteristics of BLIND through text analysis through the postings of the relevant institutions. Fourth, in future research, if a similar study is conducted on private companies, new results will be drawn,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derive insights through comparison with this study. In addition, if we conduct a study on one public institution and civil servant organization rather than several public institutions, another new result can be obtained. As such,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good guide for related follow-up studi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1

제 2 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 3 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7

제 1 절 소셜미디어 7
1. 소셜미디어의 개념 7
2. 소셜미디어의 특성 8
3. 소셜미디어의 종류 9
4. 소셜미디어의 속성 12
5.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14

제 2 절 폐쇄형 소셜미디어 22
1. 폐쇄형 소셜미디어의 개념 22
2. 익명성의 개념 23
3. 익명 게시판의 역할 24
4.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 25

제 3 절 구성원의 윤리의식 30
1. 윤리 30
2. 윤리의식 31
3. 윤리의식의 선행연구 34

제 4 절 조직 공정성 37
1. 조직 공정성의 개념 37
2. 조직 공정성의 유형 39
3. 조직 공정성의 선행연구 41

제 3 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6

제 1 절 연구의 분석틀 46

제 2 절 연구문제 48

제 3 절 연구방법 56
1.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56
2. 자료수집 62

제 4 절 표본설계 및 분석방법 65
1. 표본설계 65
2. 분석방법 65

제 4 장 분석 결과 및 가설 검증 66

제 1 절 표본의 특성 66

제 2 절 주요 변인의 요인 분석 69
1. 조직 공정성 인식에 대한 요인 분석 69
2. 구성원의 윤리의식에 대한 요인 분석 71
3. 블라인드 이용 동기에 대한 요인 분석 72

제 3 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75

제 4 절 변수의 기초통계량 77
1. 종속변수의 기초통계 77
2. 독립변수의 기초통계 77
3. 조절변수의 기초통계 79

제 5 절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81

제 6 절 가설 검증 84
1. 블라인드 이용 여부와 조직 공정성 인식의 차이 검증 84
2. 블라인드 이용 빈도 및 동기가 조직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85
3. 블라인드 이용 빈도 및 동기와 조직 공정성 인식에 대한 조절효과 88

제 7 절 가설 검증 결과 105

제 5 장 결론 112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112

제 2 절 연구의 함의 115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18



참고문헌 120

부록: 설문지 133

Abstract 141

표 목 차 .

[표 2-1] 소셜미디어의 특성 9
[표 2-2] 소셜미디어의 기능별 유형화 10
[표 2-3] 소셜미디어의 종류 11
[표 2-4] 모바일 미디어의 특성 13
[표 2-5] 보안 3요소(CIA)의 정의 21
[표 2-6] 공무원 윤리의식 관련 변수 및 하위차원 33

[표 3-1] 연구문제 1과 가설 48
[표 3-2] 연구문제 2 49
[표 3-3] 연구문제 3과 가설 50
[표 3-4] 연구문제 4과 가설 51
[표 3-5] 연구문제 5과 가설 52
[표 3-6] 조직 공정성 인식 측정항목 57
[표 3-7] 블라인드 이용 및 빈도 측정항목 57
[표 3-8] 블라인드 이용 동기 측정항목 58
[표 3-9] 구성원의 윤리의식 측정항목 60
[표 3-10] 설문지 구성 63

[표 4-1]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67
[표 4-2] 조직 공정성 인식 요인 분석 결과 70
[표 4-3] 구성원의 윤리의식 요인 분석 결과 72
[표 4-4] 블라인드 이용 동기 요인 분석 결과 73
[표 4-5] 신뢰도 분석 결과 76
[표 4-6] 조직 공정성 인식 기초 통계량 77
[표 4-7] 블라인드 이용 동기 기초 통계량 78
[표 4-8] 블라인드 이용 빈도 기초 통계량 79
[표 4-9] 구성원의 윤리의식 기초 통계량 79
[표 4-10] 상관관계 분석 81
[표 4-11] 차이검증 84
[표 4-12] 분배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 모형 86
[표 4-13]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 모형 87
[표 4-14] 분배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수 포함 모형 89
[표 4-15] 분배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Ⅰ 91
[표 4-16] 분배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Ⅱ 92
[표 4-17] 분배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Ⅲ 93
[표 4-18] 분배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Ⅳ 94
[표 4-19] 분배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Ⅴ 95
[표 4-20]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수 포함 모형 97
[표 4-21]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Ⅵ 99
[표 4-22]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Ⅶ 100
[표 4-23]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Ⅷ 101
[표 4-24]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Ⅸ 102
[표 4-25]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항 포함 모형Ⅹ 103
[표 4-26] 가설(1-1~1-6) 검증 결과 107
[표 4-27] 가설(3-1~3-12) 검증 결과 107
[표 4-28] 가설(4-1~4-9) 검증 결과 108
[표 4-29] 가설(5-1~5-36) 검증 결과 109


그 림 목 차 .

[그림 2-1] 블라인드로 촉발된 기업 관련 사건 27

[그림 3-1] 연구의 분석틀 47
-
dc.format.extentⅺ, 14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셜미디어-
dc.subject블라인드-
dc.subject익명성-
dc.subject윤리의식-
dc.subject조직 공정성-
dc.subject요인분석-
dc.subject조절효과-
dc.subject이용 동기-
dc.subjectsocial media-
dc.subjectblind-
dc.subjectanonymity-
dc.subjectethical awareness-
dc.subjectorganizational fairness-
dc.subjectfactor analysis-
dc.subjectmoderating effect-
dc.subjectmotivation for use-
dc.subject.ddc352.266-
dc.title폐쇄형 소셜미디어 이용이 조직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Closed Social Media on the Organizational Justice-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EONG Jaewoo-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1-08-
dc.title.subtitle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815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6▲000000000053▲00000016815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